|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11~12월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기업 채용동향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채용 브랜딩’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기업(387개)의 61.0%(236개)는 선발과정에서 지원자와 조직문화의 적합성을 살펴보는 ‘컬처핏’ 확인을 하고 있었다. 컬처핏은 ‘컬처(문화)’와 ‘핏(적합)’의 합성어로, 개인의 가치관과 행동 방식이 조직 문화와 얼마나 잘 맞는지 평가하는 개념이다.
|
컬처핏을 확인하는 단계는 1차 면접(57.6%), 최종 면접(36.9%), 서류 전형(32.6%) 순이었고, 14.0%는 별도의 컬처핏 평가 단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컬처핏 평가 방법으로는 인적성 검사(64.0%)를 활용하는 기업이 가장 많았고, 실무 면접(56.8%), 자기소개서(46.2%), 임원면접(41.5%) 순으로 조사됐다.
고용부는 올해부터 구직자들이 본인 특성에 맞는 기업에 취직할 수 있도록 ‘한국형 청년 취업지원 보장제’를 실시하고 있다. 전국 121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졸업생 약 5만명에게 일대일 상담과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청년들이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맞춰 입사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일대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정채용 문화가 안착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