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딸에게 외가 식구들을 만나게 해주고 싶다”
프랑스인 남편이 딸을 출산하자마자 임신중독증으로 숨진 프랑스 입양 한인 아내를 대신해 가족 찾기에 나섰다.
| (왼쪽부터)프랑스 입양 한인 고(故) 김순영 씨의 어릴 적 모습. 성장 후 성인 시절 모습.(사진=연합뉴스) |
|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최근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에는 프랑스에 입양된 고(故) 앤 로르 아밀(한국명 김순영·사망 당시 31세) 씨의 남편 프레데릭 그라낫(52) 씨가 보낸 사연이 도착했다.
그라낫 씨의 아내 김 씨는 1978년 4월 11일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출생 직후 대구시청을 통해 백백합보육원에 인계된 김 씨는 그해 9월 27일 홀드아동복지회를 통해 프랑스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김 씨는 프랑스 3대 도시인 마르세유에서 그라낫 씨와 만나 결혼해 2009년 6월 1일 딸을 출산했다.
당시 불과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였던 김 씨는 출산 사흘 뒤인 6월 4일 임신중독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 프랑스 입양 한인 고(故) 김순영 씨(오른쪽)와 그의 남편 |
|
그라낫 씨는 “딸은 엄마와 자신이 한국인의 혈통이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표현하는 것 같다”고 소개했다.
이어 “최근 엄마가 어떻게 태어났고, 왜 버려져야만 했는지, 엄마의 한국 가족은 어떤 사람인지 등 엄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 한다”며 “내년에 함께 한국을 방문해 딸이 한국인이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고 싶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