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경찰 인사가 시작되자 일선 경찰관들은 한숨 돌리는 모양새다. 통상 경찰 인사는 12월 시작돼 2월까지 전체 인사가 마무리된다. 그러나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했고, 지난달 19일 서부지법 폭동까지 발생하면서 경찰의 인사 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이에 정기 인사를 시급히 진행해야 한다는 현장의 불만도 컸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사건사고가 많아서 인사 일정을 잡기가 어려운데 늦어진 만큼 최대한 해당 부서에서 검토해보겠다”며 “법상 경정 이하 인사는 1~3월 마무리하게 돼 있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반면 고위직 인사를 둘러싸고는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은 경찰청장 바로 아래 계급인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됐다. 윤석열 정부 들어 초고속 승진한 인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사검증팀,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파견 근무를 거쳐 경찰 조직 내 친윤 인사로 분류된다. 치안감 승진자 3명 중 2명도 대통령실을 거쳐간 인물들로 논란을 심화시켰다.
박 국장은 7일 서울청장 직무대리로 발령났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자경위)는 지난 6일 오후 4시30분부터 박 국장을 서울청장으로 추천하는 안건을 논의해 이튿날 경찰청에 회신했다. 통상 자경위는 후보 수명을 추천하는데 이번 박 국장은 단독 추천됐다.
야당은 경찰청과 행정안전부, 대통령실 모두 직무대행 체제인 상황에서 경찰 고위직 인사를 내는 것이 부적절하다고도 주장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신정훈·윤건영·김성회·모경종·박정현·양부남·용혜인·위성곤·이광희·이상식·이해식·정춘생·채현일·한병도 의원은 “이번 경찰 인사는 원점 재검토돼야 한다”며 “경찰의 국회 봉쇄와 언론사 단전단수 등 비상계엄 가담 의혹이 제대로 규명되지도 않았는데 기습적으로 경찰 최고위급인 인사를 단행했다”며 비판하는 성명문을 냈다. 그러면서 “현행 경찰공무원법은 경찰 총경급 이상 인사는 경찰청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행정안전부 장관이 제청해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으로 돼 있다. 직무대행 3인이 인사 만행을 저질렀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는 오는 18일 긴급 현안 질의를 위한 전체회의를 연다. 박 국장 등 승진 내정자들에 대해 인사 경위 등을 질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