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탄력적으로 학사를 운영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엄격한 학칙 적용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뉴시스) |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3일 의대 운영 대학 총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엄정한 학사 운영을 주문했다. 그는 “정부는 작년 10월 현장 의견을 존중해 대학 판단하에 개인적 사유에 따른 휴학은 자율 승인토록 했지만 2025학년도에는 대학이 학칙에 따라 원칙대로 운영할 것을 말씀드린 바 있다”며 “총장들께서는 권한과 책임을 갖고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를 운영해 달라”고 주문했다.
지난해의 경우 수업 거부 중인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탄력적 학사 운영을 용인했지만, 올해는 이를 더 이상 연장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일부 의대생들이 복귀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부총리는 “학업을 지속하려는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 달라”며 “수업 복귀를 희망하거나 복귀한 학생들이 학습권을 침해받지 않고 마음 편히 학업에 전념하도록 학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길 당부한다”고 밝혔다. 장기간 수업을 거부 중인 학생에 대해서는 유급 등 학칙에 따른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신입생 등을 대상으로 한 휴학 강요 등에 대해서도 엄정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최근 일부 대학에서 수업에 복귀한 학생들에 대한 명단이 유포되거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휴학을 강요하는 등 심각한 사안이 발생했다”며 “교육부는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호하고자 수사를 의뢰하는 등 엄정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학기 개강을 앞두고 향후 교육 계획을 학생·학부모들에게 안내해달라고도 주문했다. 이 부총리는 “대학별로 2025학년도 교육 계획에 대해 학생들과 학부모들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안내하고 대학의 준비사항을 잘 설명해 달라”며 “대부분의 대학이 3월 초 개강을 예정하고 있는데 총장들께서 교육 준비 상황을 철저히 점검해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