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정부는 핵심 광물이나 설비 등 공급망 전반의 안보를 위해 2027년까지 55조원 이상의 재정·금융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공급망안정화기금(공급망 기금)을 통한 민관 공동투자 등 민관 협력 역량도 키우기로 했다.
|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1차 공급망안정화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첨단 산업과 민생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큰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품목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23년 70%였던 경제안보품목들의 특정국 의존도를 오는 2030년 50% 이하로 떨어뜨리겠다는 것을 목표로 삼아 133개 세부과제에 따른 시행 과제를 보다 구체화했다.
정부는 품목별 평가 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거쳐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오는 2분기 중 각 부처에 배포할 계획이다. 또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따라 선정되는 경제안보품목의 목록도 오는 6월 새롭게 만든다. 여기에 각 물품에는 HSK코드(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를 붙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 자체적인 ‘공급망 생태계’를 키울 수 있도록 기업 등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영역의 밸류체인을 분석해, 단지 간 협력을 통한 ‘국내 공급망 강화 협력모델’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 국내에서 공급망 관련 생산시설 투자를 하는 경우 금융·재정·세제 지원을 이어가고, 공급망 분야 중소기업 선도사업자에게는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등 2027년까지 55조원 이상의 지원을 강조했다.
한편 공급망 분야의 민관 협력과 연구 역량도 키운다. 정부는 수출입은행 내 ‘공급망분석팀’을 새롭게 만들어 분석 업무를 고도화한다. 또 학계와 산업계 등이 함께하는 ‘공급망 정책 연구포럼’을 여는 것은 물론, 내달부터는 협력 네트워크를 운영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개발연구원(KDI)에도 전담연구조직을 신설해 ‘싱크탱크’ 기능도 강화해 나간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