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5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4차 공급망안정화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공급망안정화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요소 수급 안정화 효과와 비용부담, 정책 유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달청이 요소를 구매 후 기업 창고에 보관하고, 기업은 보관관리 및 재고 순환하는 방식으로 비축을 확대(54→70일분)하고 △수입국 다변화를 위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
또한 중동·유럽 등 추가 수입선 확보를 위한 수입단가 차액지원을 강화한다. 현재 중국 외 제3국에서 수입하면 수입단가 차액의 일부를 보조하고 있지만, 낮은 보조율(50%) 탓에 베트만과 일본 등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서만 수입해왔다. 그러나 보조율을 최대 90%까지 끌어올려 중동이나 유럽 등 추가 수입국 다변화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장 건설기간 등을 감안하면 빨라도 2030년부터 생산이 가능해 당장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관계자는 “비축 확대 및 수입국 다변화 조합 방식은 수급 안정화 효과가 국내생산 대비 상대적으로 작지만 비용 부담이 작고 정책 유연성이 높다”며 “어떤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특정국 수입 의존도가 과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수입 다변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설계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정부는 차량용 요소 수급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내년도 예산안에 비축 확대 및 수입 다변화 관련한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