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은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 상생룸에서 출입기자들을 대상으로 ‘25년 설 명절 온누리상품권 판매현황과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갖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벤트 기간 동안 디지털상품권 판매액이 전체 판매의 82%를 차지할 만큼 크게 늘었다. 지난해 설날이 포함된 동일 기간 총 판매액이 5794억원 늘어난 데 비해 디지털상품권 판매액은 7377억원 증가해 디지털상품권 위주로 판매액이 대폭 늘어났다.
중기부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매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상품권 할인율 10%→15%로 상향하고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의 15%를 환급하는 한편 △온라인전통시장관 결제시 5% 할인쿠폰, △3만원 이상 디지털상품권 결제시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를 시행했다.
혜택이 늘어나면서 실제로 상품권을 사용해 물건 등을 구매한 실적도 크게 증가했다. 설 포함 한달간 상품권 총 사용액은 5286억원이고 이중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총 사용액의 약 71%인 373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일 기간 대비 총 사용액은 1815억원, 디지털상품권 사용액은 2770억원 증가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에 디지털상품권이 더 많이 활용된 것이다.
온라인전통시장관에서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은 한달간 54억원으로 지난 한 해 연간 온누리상품권 결제액 74억원의 73%를 기록할 정도로 증가세가 뚜렷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자 역시 463만명(카드형 225만명, 모바일 238만명)으로 ’24년말 대비 80만명이 증가했다.
중기부는 이번 설 기간 온누리상품권 판매 및 사용에서 나타난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상품권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우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통합앱 출시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내달 1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이 하나로 통합되면 하나의 앱에서 카드형과 모바일 상품권 중 선택해 결제가 가능해진다.
다만 3월 1일 통합앱 출시 준비를 위해 ‘25년 2월 15일 00시부터 2월 28일 24시까지 기존 카드형 및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앱의 모든 기능이 중단된다.
사용처 확대를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늘리고 디지털상품권 가맹점 확충에도 힘쓴다. 골목형상점가를 누적 600곳까지 확대하기 위해 지정권한이 있는 지자체와 협력해 관련 조례의 제·개정을 도모한다.
신규 가맹점 등록 시에는 지류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카드형 상품권 모두를 결제수단으로 취급하도록 개선해 지류 뿐만 아니라 모바일 및 카드형 등 디지털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늘릴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이번 설 기간 골목형상점가 등에서 디지털상품권 사용이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면서 “3월 동행축제기간 소비촉진을 위해 약 2주간(3.17~3.28)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가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