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사이 우리나라 주요 석유화학 업체들의 실적은 최악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누적으로 조 단위 손실이 쌓이자, 몸집을 줄이지 못하면 생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도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지난해 말 내놓은 ‘자율 구조조정’ 정책이 얼마나 효과를 발휘하느냐에 따라 석화 산업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
10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석화 기업들이 수출한 총 제품 규모(3942만8145톤) 중 중국에 팔린 비중은 40.6%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40% 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이다. 그러나 금액(177억2213만달러)을 기준으로 하면 대(對)중국 수출 비중은 36.9%로 오히려 전년 대비 0.4%포인트(p) 떨어졌다. 지난 10년 새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전체 석화제품 수입량 중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비중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량(241만8407톤) 기준으로는 25.7%로 전년 대비 3.3%p가 올랐고, 금액(38억4466만달러) 기준으로는 31%로 2.5%p 상승했다. 우리나라에서 중국에 팔리는 석화 제품 규모는 빠르게 줄어드는 동시에 중국산 석화 제품의 국내 시장 침투 속도는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다.
게다가 미중(美中) 관세 전쟁도 이런 우려를 부추기는 요소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지난 4일 시행키로 하자, 중국은 10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 정책을 실시키로 했다. 양국 관세 전쟁 심화할 경우 중국의 저가 석화 제품이 대량으로 쏟아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
중형 화학기업들의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폴리프로필렌(PP)을 주로 생산하는 효성화학은 중국 저가 제품에 밀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이 9779%에 달했을 정도로 재무상태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효성화학은 위기를 넘기기 위해 알짜 사업부인 특수가스 사업부를 그룹 계열사인 효성티앤씨에 매각하기로 했다.
국내 석화업체들은 구조적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몸집 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투자는 계획 대비 4000억원 축소한 약 1조4000억원을 계획하고 있다”며 “파키스탄 법인 매각은 조만간 결론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LG화학은 “범용사업 구조개편 지속하고 신규 고부가 파이프라인을 확대해 전년 대비 수익성 개선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석화 산업 구조개편 방안이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도 관건이다. 정부는 석화 산업 재편을 자율에 맡기되 이를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침을 정했다. 산업계가 과잉설비 규모를 자체 판단하고 재편 방안을 검토하면 위기 선제대응지역을 지정하고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방안을 수립하는 식이다. 정부는 올 상반기 내 업계 목소리를 종합해 금융지원 등 후속 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