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식의 창과 방패]관용과 절제 VS 증오와 보복

  • 등록 2021-03-04 오전 8:00:00

    수정 2021-03-04 오전 8:00:00

[임병식 서울시립대 초빙교수]올 봄 학기는 대면 수업을 기대했다. 헌데 여전히 마스크 벗는 것도 대면수업도 안 된다. 그래도 새내기는 들어왔고 강의는 시작됐다. 첫발을 디딘 이들에게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까. 극단에 치우치지 말고 넓게 고루 볼 것. 이게 말처럼 쉽지 않다. 수많은 환경에 노출되고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가치관을 형성할 것이다. 진보와 보수, 어디쯤에서 자기 시선을 갖는다.

비개인 하늘에 걸리는 무지개. 우리에게는 일곱 색이지만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귤이 바다를 건너 탱자가 되는 ‘귤화위지(橘化爲枳)’와 같은 이치다. 유럽은 5색(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영어권은 6색(남색 제외), 아프리카는 2색(검정과 빨강)이다. 오행사상을 바탕에 둔 우리도 이전에는 5색이었다. ‘목화토금수’를 상징하는 오방색을 표현했다. 화려한 빛깔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오색찬란하다”는 그 흔적이다.

무지개가 7색이 된 건 물리학자 뉴턴에 의해서다. 뉴턴은 ‘도레미파솔라시’ 7음계를 따 색을 분류했다. 이제는 일곱 색깔 무지개에 대한 환상마저 깨졌다. 현대 과학은 더 이상 5색도, 7색도 아니라는 걸 밝혀냈다. 분광기를 통과한 색은 무려 207개에 달한다. 무지개는 다양성을 상징한다. 다문화가정, 이주노동자, 성소수자를 포용하는 색으로 이용된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공동체는 건강하고 평화롭다.

우리정치에 대입해보자. 일상에서 접하는 정치지형은 우편향에 가깝다. 중앙대학교 김누리 교수는 “겉보기엔 진보에서 보수까지 펼쳐 있지만 실상은 오른쪽에 몰려 있다”고 했다. 제대로 된 진보 세력 없는 극우보수 과두지배라고 규정했다. 우리정치가 시끄러운 건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한쪽으로 치우친 데다 극단화돼 건강하지 못하다. 서로 인정하고 보듬는 대신 배척하고 밀치는 데 익숙하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진보와 보수, 보수와 진보는 공동체를 지탱하는 기둥이다. 한쪽만으로는 설 수 없다. 어느 사회든 보수와 진보는 뒤섞여 있다. 한쪽은 현상을 유지하면서 안정을 추구하려 하고, 다른 한쪽은 뭔가를 바꾸려 한다. 옳고 그른 문제가 아니다. 지향하는 방향이 다를 뿐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사이 간극은 너무 넓다. 건강한 보수, 건강한 진보와라고 부르기엔 극단적이다.

나만 옳다는, 우리만 정의라는 독선이 지배한다. 극단적인 진보, 극단적인 보수가 판치고 있다. 정의를 독점할 때 정상적인 대화는 끊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사이에 반목도 여기에 있다. 서로 인정하지 않은 채 척결 대상으로 여긴다. 정치보복 악순환은 당연한 결과물이다.

미국 헌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임스 매디슨. 그는 수정 헌법에서 극단을 배격했다. 대신 견제와 균형 원리를 담았다. 덕분에 미국 민주주의는 200년 넘는 세월을 지탱해왔다. 관용과 절제는 핵심 덕목이다.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에서 저자는 “상대 정당을 정당한 경쟁자로 인정하는 관용과 이해, 그리고 제도적 권리를 행사할 때 신중함을 잃지 않는 자제는 미국 민주주의 기반을 강화해왔다”고 설파했다.

지난 역사에서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은 서로를 정당한 경쟁자로 인정해 왔다. 그리고 한시적으로 주어진 권력을 정당 이익을 위해서만 사용하려는 유혹에 굴복하지 않았다. 관용과 절제는 미국 민주주의를 지키는 연성 가드레일이다. 가드레일이 훼손된 건 트럼프 때다. 우리 정치에도 절실한 덕목이 관용과 절제다. 언제부터인지 증오와 정치보복은 일상이 됐다. 야당은 무조건 반대하고, 여당은 무절제한 권력 행사에 단맛 들였다.

국민들은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피로감을 호소한다. 피비린내 나는 정치보복의 서막임을 알기 때문이다. 언제까지 퇴행적 정치를 되풀이할 것인가. 새내기 대학생에게만 관용과 절제를 당부하기엔 민망하다. 그들에게만 극단적인 생각을 경계하라는 건 공허하다.

새봄이다. 관용과 절제는 그나마 각박한 정치현실을 완화하는 길이다. 청년세대에게 희망을 제시하는 정치는 어떻게 가능한가. 여야 모두 관용과 절제의 언어를 습득할 필요가 있다. 청년에게 미래를 열어주지 못한다면 진보든 보수든 ‘꼴통’이다. 캠퍼스에 봄볕이 가득하다. 언제까지 해묵은 겨울에 갇혀 있을 것인가.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그림 같은 티샷
  • 홈런 신기록 달성
  • 꼼짝 마
  • 돌발 상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