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포말리스트', 제네릭이 문제가 아니다[블록버스터 톺아보기]

BMS가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포말리스트'는?
'탈리도마이드' 계열...임신 계획 있을 시 복용 금물
레블리미드 사용후 2, 3차 이상 치료제로 허가
보령·광동제약 등 포말리스트 제네릭 특허 회피 성공도
이중항체, CAR-T 치료제 등 포말리스트 대항마로 떠올라
  • 등록 2022-08-13 오후 4:00:00

    수정 2023-03-28 오후 12:10:01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자신이나 가족의 질환 또는 투자 등 목적은 다를 수 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들어봤을 법한 전 세계 블록버스터 약물을 2020년 기준 매출이 높은 순으로 소개한다. 약의 탄생과정부터 그 특징, 비슷한 계열의 경쟁 약물까지 두루 살펴본다.

이번에는 미국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포말리스트’(성분명 포말리도마이드, 유럽 및 러시아 제품명 임노비드)다. 2020년 기준 글로벌 시장 매출액은 약 30억7000만 달러(당시 한화 약 3조6620억원)로 전체 의약품 중 매출 35위를 기록한 블록버스터다.

미국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포말리스트’(성분명 포말리도마이드).(제공=BMS)


포말리스트의 성분인 포말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 임산부의 입덧 증상 완화제억제제로 개발됐다가, 기형아 부작용문제를 일으켰던 ‘탈리도마이드’를 모체로 하고 있다. 이후 1990년대 들어 탈리도마이드에서 혈관 신생 및 골수종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발견됐다.

미국 세엘진이 탈리도마이드 계열의 화합물 포말리도마이드를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2013년 2월 재발성 및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같은 해 6월 유럽의약품청(EMA) 포말리도마이드를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승인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도 이 약물을 2014년에 승인했다.

현재 포말리도마이드는 미국이나 한국 등에서 포말리스트로, 유럽이나 러시아 등에서는 임노비드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2019년 세엘진을 BMS가 인수합병하면서 포말리도마이드에 대한 권리를 획득했다.

포말리스트는 BMS의 ‘레블리미드’(성분명 레날리도마이드) 등 한 가지 이상의 약물로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얀센의 ‘벨케이드’(성분명 보르테조밉)나 덱사메타손 등과 병용하는 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실상 포말리스트가 다발성 골수종 환자 대상 2차 또는 3차 이상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포말리스트의 매출이 동종의 레블리미드에 비해 크게 낮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0년 기준 레블리미드의 세계 매출액은 121억5000만 달러(당시 한화 약 14조6000억원)으로 전체 의약품 중 3위를 기록했다.

포말리스트를 사용해야 할 여성 다발성골수종 환자는 최소 치료 시작 4주 전부터 치료 중단 후 4주 동안 피임을 해야 한다. 또 해당 물질을 치료받은 남성은 여성과의 성적 접촉을 중단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액 속에 포말리도마이드 성분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다발성골수종 치료제가 출시돼 경쟁을 펼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가운데 국내 매출 1위는 미국 암젠의 ‘키프롤리스’(성분명 카르필조밉, 394억원)였으며, 레블리미드는 325억으로 2위를 기록했다. 포말리스트(138억원)와 미국 얀센의 ‘다잘렉스’(성분명 다라투무맙, 109억원) 및 벨케이드(101억원)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업체별로 보면 레블리미드와 포말리스트를 보유한 BMS가 463억원으로 해당 시장 국내 1위이며, 암젠(394억원)과 얀센(210억원)이 그 뒤를 추격하고 있다.

한편 포말리스트의 캡슐제제에 대한 국내 특허는 2030년 7월에 만료될 예정이다. 하지만 국내 보령(003850)광동제약(009290) 등이 포말리스트의 제네릭을 개발했고, 2020년 관련 특허를 회피하기 위한 소극적 권리범위 확인 심판을 청구했다. 양사는 올해 3월 오리지널의 특허 회피에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포말리스트와 그 제네릭의 입지는 향후 더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존 탈리도마이드 계열의 물질과 다른 기전을 갖는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어서다. 일례로 얀센은 지난해 12월 B세포성숙항원(BCMA)과 CD3를 동시 타깃하는 다발성 골수종 대상 이중 항체 신약 ‘테클리스타맙의 허가 신청서를 FDA에 제출했다.

무엇보다 2,3차 이상 재발성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신개념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치료제가 등장하는 중이다. CAR-T치료제는 병의 근원을 치료해, 환자의 완치를 목표로하는 약물이다. BMS가 개발한 최초의 다발성 골수종 대상 CAR-T 치료제 ‘아벡마’(이데캅타진 비크류셀)가 지난해 FDA와 EMA의 승인을 모두 획득했다. 올해 2월 FDA는 얀센과 중국 레젠드바이오텍이 공동 개발한 ‘카빅티’(실타캡타진 오토류셀)을 승인했고, 3월말 EMA도 이를 조건부 승인했다.

이처럼 이중항체나 CAR-T 치료제 등이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포말리스트 처럼 2, 3차 이상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의 매출이 떨어질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2억 괴물
  • 아빠 최고!
  • 이엘 '파격 시스루 패션'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