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정부·여당 등에 따르면 권성동 원내대표 등 국민의 힘 원내지도부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4일 비공개로 만나 연금개혁에 대해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
하지만 5일 김상훈 국힘 정책위원장이 “특위에서 여야 합의로 조속히 결론을 도출하겠다”며 “구조개혁은 아무래도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시간을 갖고 논의하는 게 좋겠다는 입장”이라고 기존 입장을 선회했다.
모수개혁은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수급 연령, 의무가입기간 등 제도 내 숫자를 조정하는 것이다. 지난해 9월 4일 정부가 21년 만에 제시한 연금개혁 단일안에는 ‘보험료율 13%(현행 9%)-소득대체율 42%’ 등이 담겼다. 보험료율 13% 인상안은 이미 여야 합의가 이뤄졌고 이젠 ‘소득대체율 42~45%’ 조정만 남았다.
국민연금이 처음 도입된 1988년 보험료율은 3%, 소득대체율은 70%였다. 이후 보험료율은 5년마다 3%씩 올라 1998년 9%에 이른 뒤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소득대체율은 1999년 60%, 2008년 50%로 낮아진 이후 매년 0.5%포인트씩 인하해 2028년 40%에 수렴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기준인 42%를 유지하는 안을 제시한 것이다.
재정안정파인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올해 경제 성장률 2% 달성도 어렵다는 마당에, (소득대체율 44%는) 연금요율(내는 돈)을 10%나 더 올려주겠다는 의미”라며 “‘연금 개악안’이 ‘연금 개혁안’으로 둔갑해 통과된다면 그 부담으로 인해 우리 손자, 손녀세대는 피멍이, 아니 허리가 부러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여야 의견이 접근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인상안은 우선 입법하고 (연금)구조개혁을 1년 이내에 함께 하는 것까지 정치권에서 합의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고선 연금개혁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 중간에 정권이 교체되더라도 연금개혁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