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부

김정남

기자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드론 공격 받은 러 푸틴…"우리가 뭘 할지 두고 보라"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부채협상 막판 진통에도…'엔비디아 강세' 나스닥 상승
동그라미별표
시계 앞자리 뒷자리 시간전
AI칩 구하기 전쟁…엔비디아,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
시계 앞자리 뒷자리 일전
[단독]클라리다 전 연준 부의장 "美 부채 협상, 다른 국가가 더 타격"
시계 앞자리 뒷자리 일전
[단독]클라리다 전 연준 부의장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 과해…연내 추가 인상할 것"

더보기

미국은 지금 +더보기

  • '중금리 중물가' 시대 왔나…고장난 연준 공격 긴축[미국은 지금]
    '중금리 중물가' 시대 왔나…고장난 연준 공격 긴축
    김정남 기자 2023.05.01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효과는 고장 났나. 연준이 1년여간 역대급 돈줄 조이기에 나섰음에도 예상을 깨고 5% 안팎에서 ‘끈적끈적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저금리 저물가’ 시대가 저물고 ‘중금리 중물가’ 시대가 왔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마냥 긴축에 나서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있다.이 때문에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어느 때보다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공격 긴축을 지속하면 경기 침체는 강하게 오는 와중에 물가는 안 잡히는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온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 제공)◇공격 긴축에도 물가 고공행진2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건대에 따르면 4월 미시건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중간값은 4.6%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4.9%) 이후 최고치다. 사람들이 1년간 4% 후반대 물가 상승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연준이 지난해 3월 이후 금리를 무려 475bp(1bp=0.01%포인트) 인상하는 역대급 긴축을 펼쳤음에도 약발이 먹히지 않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조사하는 1년 기대인플레이션 역시 현재 4.7% 수준이다. 심지어 5년 기대인플레이션마저 3.0%로 전월(2.9%)보다 높아졌다. 연준 목표치를 한참 웃도는 수준이다.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는 “팬데믹 기간의 재정 확대는 미국을 2%대 인플레이션 국가에서 5%대 인플레이션 국가로 만들어 놓았다”며 “경제가 눈에 띄게 둔화하기 전까지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근래 서머스 교수는 2020년대 들어서며 2010년대와는 다른 높은 중립금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 왔다.연준이 주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보고서에서도 그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3월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했다. 직전 월인 2월 당시 상승률(5.1%)보다 낮았다. 2021년 5월 이후 최소 폭 상승이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PCE 근원물가는 예상을 웃돌았다. 1년 전보다 4.6% 상승하면서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4.5%)를 상회했다. 연준 통화정책 목표치(2.0%) 대비 한참 높다. 기조적인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떨어지지 않는 것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하고 있다는 뜻이다. 월가 한 금융사의 채권 애널리스트는 “4월 들어 유가가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4월 물가는 근원물가뿐만 아니라 헤드라인물가 역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고문은 이번 PCE 보고서를 두고 “인플레이션은 예상보다 훨씬 더 끈적끈적하다”고 평가했다.◇6월 이후 연준 고민 더 커질듯또 주목할 만한 것은 개인 소득이 줄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3월 개인 소득은 전월 대비 0.3% 증가했다. 2월(0.3%)과 비슷했다. 노동시장 과열에 따른 임금 상승세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다른 지표들도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무게를 실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전기 대비 1.2% 상승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1.1%)를 웃돌았다. 지난해 4분기(1.1%)보다 오름 폭을 키웠다. 제이슨 퍼먼 하버드대 교수는 “ECI는 임금 상승률이 둔화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에 무게를 싣는다”고 했다.이에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시장은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금리를 25bp 올릴 확률을 83.9%로 보고 있다. 다만 6월 이후부터는 고민의 연속일 가능성이 크다. 시장은 연준이 6월 FOMC 때 추가로 25bp 더 인상해 5.25~5.50%에 이를 확률을 26.8%로 보고 있다. 그 대신 5.00~5.25%로 동결할 것이라는 베팅은 62.2%로 상대적으로 높다. 금리를 올려도 물가가 잘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최근 경기 침체 우려까지 부쩍 커지고 있는 만큼 두 차례 이상 추가 인상은 무리라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자칫 스태그플레이션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일각에서 나온다.
  • 예상밖 호실적에도…월가 리더들은 웃지 못했다[미국은 지금]
    예상밖 호실적에도…월가 리더들은 웃지 못했다
    김정남 기자 2023.04.16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더 높은 금리가 오랜 기간 지속할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연방준비제도(Fed)가 50bp(1bp=0.01%포인트) 혹은 75bp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할 겁니다.”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미국 주요 금융기관들이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의 반사이익을 누리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보였지만, 월가 수장들은 결코 웃지 못했다. 각 금융기관은 시스템으로 묶여 있는 만큼 추가 파산이 현실화할 경우 또 언제든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010년대와는 다른 ‘더 높은 금리’ ‘더 높은 물가’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왔다.이번 깜짝 실적은 은행 위기 이후 처음 나온 금융기관 ‘성적표’라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 다만 실적 그 자체보다 월가 리더들의 한마디 한마디에 이목이 더 모아졌다.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 (사진=AFP 제공)◇다이먼 “높은 금리의 영향 연구중”선봉에 선 이는 ‘월가 황제’ 다이먼 회장이었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체이스를 2004년부터 20년째 이끌고 있는 베테랑인 그는 이번 SVB 사태 때 주요 은행들을 불러 모아 돈을 걷은 뒤 위기를 초기에 수습해 주목받았다.JP모건은 유독 두드러진 깜짝 실적을 공개했다. 올해 1분기 4.10달러의 주당순이익(EPS)을 올리며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41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매출액은 383억5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361억3000만달러)를 상회했다. 특히 지난달 말 고객 예금은 지난해 12월 말보다 370억달러 급증한 2조3800억달러로 나타났다. 미국인들이 중소형은행에서 돈을 빼 대형은행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은행 위기가 JP모건체이스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한 셈이다.그러나 컨퍼런스콜에 나선 다이먼 회장의 목소리는 그리 밝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6%에 가까운 기준금리가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며 “JP모건체이스의 모든 고객들에게 ‘당신의 기업과 당신의 비즈니스와 당신의 투자가 더 높아진 금리에 따른 과도한 위험에 처하지 말게 하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중소형은행 불안은 결국 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에 벌어졌다는 의미로 읽힌다. 다이먼 회장은 “다른 지역은행들도 꽤 좋은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추가적인 은행 파산의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다이먼 회장은 “소비자들은 계속 돈을 쓰고 있고 기업들은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지난 1년간 봤던 경제 먹구름은 여전히 남아 있고 은행권 혼란은 이런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은행권 불안 △매파적인 연준 △불확실한 대(對)중국 관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을 거론하며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들”이라고 했다.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 (사진=AFP 제공)◇핑크 “50bp 혹은 75bp 추가 인상”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큰 손’ 블랙록의 이끄는 핑크 회장 역시 금리 위험을 강조했다. 블랙록은 올해 1분기 7.93달러의 EPS를 기록하면서 월가 예상치(7.78달러)를 웃도는 호실적을 보였다.핑크 회장은 CNBC와 만난 자리에서 “내년 초에는 경기 침체가 닥칠 수 있지만 올해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며 다소 낙관론을 폈다. 그는 그러나 인플레이션 고공행진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 침체 가능성은 연준이 벌이는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 달려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당분간 더 오래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연준이 50bp 혹은 75bp 금리를 더 올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 4.75~5.00%에서 최고 5.50~5.75%까지 인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월가 컨센서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핑크 회장은 “금융시장은 이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지금 고객들은 까다로운 경제 환경에 대비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더 탄력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며 “그것이 지금 보고 있는 일”이라고 했다.미국 3위 은행인 씨티그룹은 1분기 1.86달러의 EPS를 올리며 시장 전망치(1.69달러)를 넘는 호실적을 발표했다. 제인 프레이저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콜에 나와 “(최근 은행권 불안이) 올해 말 미국 경제의 얕은 침체를 유발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며 “특히 1분기 내내 소비 지출이 눈에 띄게 약해졌다”고 말했다.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제공)
  • "S&P 4600 간다" vs "약세장 랠리일 뿐"[미국은 지금]
    "S&P 4600 간다" vs "약세장 랠리일 뿐"
    김정남 기자 2023.04.03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새로운 강세장의 시작일까. 약세장 중 반짝 랠리일까.뉴욕 증시가 올해 1분기 예상 밖 상승하면서 추후 흐름에 관심이 모아진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지속, 갑작스러운 은행권 위기, 짙어진 경기 침체 그림자 등을 둘러싼 해석에 따라 전망은 엇갈리는 분위기다. 변수 하나하나가 모두 불확실한 만큼 큰 변동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1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기 대비 7.03% 상승했다. 지난달 31일 종가는 4109.31을 기록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6.77% 뛰었다. 특히 나스닥 지수의 상승 폭은 지난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컸다.이는 당초 예상보다 강세를 보인 것이다. 이데일리가 지난해 말 당시 집계한 월가 22개 기관들의 올해 S&P 지수 전망치는 평균 4169.54(전년 대비 8.40% 상승)로 나타났는데, 한 분기 만에 이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오는 2~4분기 때 하락 전환 가능성이 있지만, 그럼에도 긴축 국면을 딛고 올랐다는 점에서 뜻밖의 랠리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사진=AFP 제공)◇“은행 위기 끝나…증시 추가 상승”그렇다면 앞으로 뉴욕 증시 흐름은 어떻게 될까. 일단 현재 강세 분위기를 타고 상승을 지속할 것이라는 주장이 많다. ‘월가 강세론자’ 에드 야데니 야데니리서치 대표는 “최근 은행권 혼란으로 인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금리를 내릴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더 올릴 필요는 없을 정도로 이미 충분히 제한적인 수준에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 위기로 연준의 최종금리가 낮아지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연준이 차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4.75~5.00%로 동결할 확률을 51.6%로 보고 있다. 25bp(1bp=0.01%포인트) 인상(48.4%)보다 약간 높다. 더 나아가 6월과 7월 FOMC 때 이를 유지한 뒤 9월부터는 인하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데 다소 기울어 있다.야데니 대표는 또 “은행 위기는 연준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잘 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올해 말 S&P 전망치를 4600으로 제시했다. 지금보다 12% 가까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는 뜻이다. 그는 이전 예상치(4800)보다 하향했지만, 그래도 지난해 10월 12일(3577.01)을 바닥으로 강세장이 이어지고 있다는 시각은 바꾸지 않았다.CFRA 리서치의 알렉산더 요쿰 분석가는 “최근 약세를 보인 지역 은행주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P 지역은행 상장지수펀드(ETF)는 은행 불안이 수면 위에 오른 지난달 8일 이후 23.99% 급락했다. CFRA 리서치의 연말 S&P 전망치는 4575다. 시장분석기관 펀드스트랫의 연구에 따르면 1950년 이후 12번의 증시 약세장 가운데 6번은 10월에 바닥을 쳤다. 지금도 바닥을 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 리서치 책임자는 채권 변동성 지수(MOVE index)가 지난달 15일 198.71까지 치솟았다가 다시 135.93까지 떨어진 점을 언급하면서 “은행 위기가 끝났다는 중요한 신호”라고 했다.[이데일리 이미나 기자]◇“침체 탓에 S&P 3500선 각오해야”그러나 현재 상승장이 약세장 랠리일 뿐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수석주식전략가는 “일부 투자자들이 은행주 대신 기술주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기업들은 (경기 침체 탓에) 수익 압박에 직면할 것”이라며 “(은행 위기 등) 최근 몇 주간 사태들을 보면 우리의 가이던스는 점점 비현실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당초 올해 S&P 전망치를 3900으로 제시했는데, 이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윌슨 전략가는 “증시를 둘러싼 위험은 지난 6~12개월 동안보다 더 높아졌다”고 했다.블랙록의 웨이 리 글로벌주식전략가는 “연준의 급격한 긴축으로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떠오르고 있다”며 “현재 증시 수익률 전망은 다가올 경기 침체를 반영한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블랙록은 당초 S&P 전망치를 3930으로 내놓았던 기관이다. 리 전략가는 여전히 미국 주식에 대해 ‘비중 축소’를 권고했다. 재무전략 플랫폼 소피의 리즈 영 투자전략본부장은 “연준이 1년 만에 475bp 인상한 후 강세장으로 향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경기 침체는 증시를 무너뜨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15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증시는 최고점에서 58% 폭락했다”며 “이번이 금융위기의 재림은 아니지만 적어도 25% 이상 하락할 것”이라고 했다. 시장이 달아올랐던 2021년 12월 31일 당시 고점(4766.18)과 비교하면 S&P 지수가 적어도 3500선까지는 떨어질 것으로 보는 셈이다.올해 2분기 반짝 상승 후 하락장에 접어들 것이라는 예측 역시 있다. 밥 미셸 JP모건 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금융위기 당시 (2008년 3월에 있었던) JP모건의 베어스턴스 합병 이후 그 다음 분기 때 증시는 15~20% 올랐다”며 “이번에도 2분기에는 위험 자산 선호가 나타날 것”이라고 점쳤다. 그는 하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것”이라며 “미국은 연준의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경제부 뉴스룸

드론 공격 받은 러 푸틴…"우리가 뭘 할지 두고 보라"

김정남 기자 2023.05.31

글로벌 최저한세에 삼성 떠날라…"베트남, 보조금 투입 검토"

김상윤 기자 2023.05.30

머스크, 3년만에 중국 방문…中정부 "환영"(종합)

김겨레 기자 2023.05.30

日, 北 위성발사에 "사실상 탄도미사일…필요시 요격할 것"

방성훈 기자 2023.05.30

러 모스크바 건물에 드론 공격…확전 긴장감 고조

장영은 기자 2023.05.30

엔비디아 CEO "AI로 모두가 프로그래머 될 수 있어"

박종화 기자 2023.05.29

[데스크의 눈]부정적이고 암울한 AI 미래? 규제가 필요할뿐

김보경 기자 2023.05.22

[고영화의 차이나워치] 中리오프닝에 올라타자

김윤지 기자 2023.05.08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