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시장 분위기와 달리 국내에서는 수조원에 달하는 매물이 매각 작업에 나서는 등 사뭇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덩치 큰 매물에 대한 리스크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각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
글로벌 사모투자 분석업체 프레킨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PEF 운용사의 펀딩 규모는 1067억달러(140조3851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같은 기간 PEF 운용사들이 모금을 마무리한 펀드도 166개로 53%나 급감했다.
PEF 운용사들이 자금을 모집하는 데 있어 가장 믿을 구석은 연기금을 필두로 한 기관투자가다. 이들이 사모 투자에 어느 정도 비율을 할애하느냐에 따라 전체 펀딩 규모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올해는 기관투자가들의 출자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게 시장 분석이다.
실제로 미국 연기금들은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각) 버기스(Burgiss) 그룹 지수를 인용한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까지 12개월간 연기금들의 사모펀드 투자(벤처자금 제외) 수익률은 -0.96%를 기록했다. 2009년 3월(-30.45%) 이후 처음 마이너스로 내려온 셈이다.
더 큰 문제는 미 연기금들이 출자 규모를 늘릴 계획이 사실상 크지 않다는 점이다. 미국 최대 연기금인 캘리포니아주 공무원연금(CalPERS·캘퍼스)은 사모투자 손실 공개와 함께 “다음 분기도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모투자 손실이 가시화한 상황에서 공격적인 출자를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미 캘퍼스는 1분기 미국 금융권 연쇄 파산 여파로 40억 달러의 손실을 보기도 했다.
|
상황이 이렇자 미국 자본시장 안팎에서는 과도한 인수금융을 끼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이른바 ‘스몰딜’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인수금융 없는 거래에 집중하는 미국 자본시장과 달리 국내는 조 단위 매물이 시장에 줄줄이 대기 중이다. 몸값만 최소 5조원에서 최대 9조원에 육박하는 국내 최대 해운사 HMM(011200)이 매각 작업에 나선 가운데 한온시스템(018880), 롯데카드, 맘스터치, 버거킹, 모던하우스 등의 조 단위 잠재 매물이 등판을 기다리고 있다.
HMM의 경우 매각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PEF 운용사 등 재무적투자자(FI)들이 인수전에 등판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지배적이다. 뒤이어 나올 조 단위 매물들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온전히 인수가를 소화할 수 없을 경우에는 FI를 구하거나 비싼 이자가 수반되는 인수금융 확보에 나서야 한다.
스몰딜에 집중하는 미국과 반대로 가는 상황에서 초대형 매물이 새 주인을 찾는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오를 대로 오른 대출 금리에다 인수 이후 치러야 할 추가 투자 비용 등을 감안하면 녹록지 않은 베팅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어김없이 따라 붙는 ‘승자의 저주’ 프레임도 이겨내야 하는 과제도 추가로 남는다.
한 자본시장 관계자는 “최근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매각 규모가 큰 매물은 확실한 사유나 의지가 있어야만 인수 추진이 그나마 가능하다”며 “앞으로 나올 실적 추이 등 재무 상황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해야겠지만, 활황기도 아닌 시점에서 조 단위 매물 인수를 추진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결정인 것만은 부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