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04월18일 23시29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기자] 인수합병(M&A) 시장에 보험사 매물이 쌓이고 있다. 적지 않은 보험사가 새 주인을 찾고 있지만 M&A 완주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간신히 본입찰 단계를 넘어서도 실사 끝에 매각이 무산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MG손해보험 매각은 2차 유찰 끝에 3차 매각이 추진 중이고, KDB생명은 매각 5수 실패 끝에 매각 추진을 결국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본입찰까지 진행된 후 끝내 무산된 ABL생명 매각 역시 개점휴업 상태다.
| (사진=연합뉴스) |
|
‘주인 없는 회사’ 신세가 지속되면서 매물로 올라온 보험사들의 재무상태도 악화일로다. MG손해보험은 지난해 3분기 별도기준 589억원의 순손실을 냈고, KDB생명(-179억원), ABL생명(-74억원) 등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보험사 매물 중에선 작년 3분기 2629억원의 순이익을 낸 롯데손해보험만 그나마 사정이 낫다.
새로운 회계기준 하에선 보험사 인수 후보를 찾기가 더욱 어려워질 거란 관측도 나온다. 아직 IFRS17 도입에 따른 이익 추정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제대로 된 기업가치 산정이 더 어려워진 탓이다. 특히 적자가 나는 매물은 그동안 팔아놓은 상품이 부실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기에 원매자 입장에선 기피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매각이 지연되면서 공적자금 투입 규모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 KDB생명 매각을 중단하고 최대 1조원의 추가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까지 산은이 KDB생명에 투입한 금액이 1조2000억원 수준인데, 이와 비슷한 수준의 자금을 추가로 투입하겠다는 구상이다. MG손해보험 매각을 추진 중인 예금보험공사 역시 연내 매각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웃돈을 얹어서라도 원매자를 찾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셈이다.
문제는 이렇게 투입된 공적자금이 대부분 회수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환위기 당시 정부와 예금보험공사는 부실 위기에 처한 우리금융, 대한생명(현 한화생명), 서울보증보험 등에 27조원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투입했지만 이중 전액 회수에 성공한 곳은 우리금융 한 곳뿐이다. 한화생명과 서울보증보험에 투입된 13조8000억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6조6790억원은 여전히 회수되지 못하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금융당국의 움직임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보험사들이 IFRS17 이후 당국의 가이드라인을 반영하기까지 시일이 소요되고, 이 과정에서 적정가치 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인수 후보군으로 꼽히는 금융지주의 경우 은행권을 향한 당국의 상생금융 압박 탓에 보험사 인수에 쏟을 여력이 없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