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인도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5월 중국으로 수출한 철강제품은 6억1713만달러(약 7325억원)로 전년 동월 대비 706.5%나 급증했다고 한국무역협회는 밝혔다. 특히 5월 한 달 간 증가폭은 1390%에 달한다.
지난해까지 인도의 철강제품 상위 수출 대상국은 이탈리아, 벨기에, 네팔, UAE 등 유럽과 접경국 중심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사태 이후 이들 국가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든데다 반해 경기 반등에 성공한 중국이 수입량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인도의 철강 수출이 6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경신했는데, 중국의 수입이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2020~2021년 회계연도 들어 인도의 30대 수출대상국 가운데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국가는 중국이 유일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중국과 인도 간 국경 분쟁이 지난 수년간 지속됐던 데다 중국도 이번 문제를 키우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양국 외교장관은지난 10일(현지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만나 국경 지역의 현 상황은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평가하고, 갈등이 격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무엇보다 중국 기업에 있어 인도는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인도 휴대전화 시장에서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의 중저가 제품은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앱 틱톡만 해도 인도 내 유저가 1억2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오히려 인도가 틱톡을 비롯한 많은 중국 기업의 앱 사용을 금지하고, 5세대(5G) 이동통신 구축 사업에서 화웨이를 배제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중국산 등 수입 물품의 원산지 조사를 강화하고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예고하며 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다.
김문영 코트라(KOTRA) 서남아지역본부 본부장은 “인도 내 제조기반 확장 유도를 위해 인도 정부가 중국산을 포함한 주요 수입산 부품, 중간재 및 완성품 규제를 지속할 것”이라며 “특히 모디 정부가 장기적으로 ‘자주 인도(Self Reliant India)’ 정책을 위해 한국, 중국 등 주요 수입국을 대상으로 수입 규제·수입 대체화 및 인도 내 제조업 육성정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