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차세대전지연구센터의 조우석 수석연구원은 이에 대해 “핵심 소재인 전고체전지를 저가화하기 위한 생산 공정 기술 확보와 황화리튬(Li2S) 원료의 저가화 양산 기술의 국산화 기술 확보가 우선시 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 수석연구원은 세계 전고체 연구의 1인자로 알려진 일본 도교공업대학 칸노 료지 교수의 지도를 받은 전고체 배터리 전문가다.
조 수석연구원은 “황화물 고체전해질은 수분이 제어된 환경에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벤처 및 중소 소재 업체들에게는 다양한 기술 시도를 하기 위한 환경적 제약이 많다”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차원에서의 기반 연구 시설 구축을 통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전고체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도 제안했다. 조 수석연구원은 “전고체전지 셀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들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실패의 확률도 높기 때문에 자본력이 풍부한 대기업이 아니면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정책적으로 전고체전지 셀 개발을 위한 거점 연구소를 지정해 다양한 시도가 가능한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완성되더라도 당분간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주로 사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조 수석연구원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확보한 기술이라 모바일 등 다수 영역에서 주로 사용될 것”이라며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 전기차 등 특정 분야에 중점적으로 사용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소형에서 대형으로의 점진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