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대형사와 중소형사간 회사채 시장에서 영업 환경이 달라 의견 통일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회사채 주관에서 중하위권 증권사가 부채자본시장(DCM) 시장 점유율을 높여나가려면 캡티브 영업이 필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한하더라도 캡티브 영업으로 인해 들어온 물량인지 아닌지 판단하기도 어렵다.
한 증권사 커버리지본부장은 “주문 건수도 워낙 다양하고, 캡티브냐 아니냐 판단 자체가 주관적”이라며 “시장이 선호하는 종목일 수도 있는데 특정한 잣대를 가지고 캡티브 물량 때문에 금리가 낮아진 것이라 판단하기가 모호하다”고 답했다.
게다가 금투협 의견 청취 직후인 지난해 4분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가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이에 채권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냉각됐지만 캡티브 영업 효과로 일부 발행사들이 회사채 투자 수요를 무난히 확보하는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후 제도 개선에 관한 논의가 흐지부지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증권사 커버리지본부장은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때 캡티브 영업으로 수요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 증권사의 크레딧 애널리스트는 “계열 운용사 투자 제한과 인수 트랜치(만기)가 아닌 경우 참여할 수 있는 등 규정과 관례가 일부 세팅된 상황”이라며 “이러한 부분을 규정 개편과 공식 제도적 지시 없이 단번에 바꾸기는 쉽지 않다”고 했다.
금감원은 ‘시장 금리 왜곡’에 초점을 맞춰 회사채 수요예측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장 금리가 왜곡되느냐 마느냐가 문제이며 기본적으로 자율규제 원칙 하에 세부 원칙을 세우고 있다”면서 “일부 수요예측 과정을 지켜보며 계속해서 시장 의견을 청취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