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자동차 내수 시장은 최근 5년간 2400~2500만대 수준에서 정체됐으나 생산설비 과잉으로 수출을 확대하며 2019년 100만대 수준에서 지난해 491만대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수출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4%에서 지나해 16.3%로 12.3%포인트 높아졌다.
KAMA 관계자는 “중국 자동차 산업은 자국 내수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 구조 다변화를 통해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으로 부상했다”며 “주요 수출 차종도 상용차 중심에서 최근에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친환경차와 같은 고부가가치 차종으로 확대됐고, 수출국도 유럽을 포함해 선진국의 비중이 갈수록 커졌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 전기차 산업은 정부 지원과 가격경쟁력 등을 기반으로 단기간 가파르게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자국 내수 둔화 및 주요국의 자국 산업 보호정책 대응을 위해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했다고 분석했다.
이를 통해 올해 상반기 중국계 자동차 브랜드가 중국 이외 시장에서 판매한 전기차(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41만9946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해외 판매량(31만3526대)보다 33.9% 증가한 수치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이다.
보고서는 중국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글로벌 확장의 배경으로 중국 정부 지원과 탄탄한 공급망을 기반으로한 우수한 전기차 생태계, 치열한 내수 경쟁에서 성장한 중국 로컬브랜드의 약진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한 중국 전기차를 견제하기 위해 미국, EU 등 주요국의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국내외 전기차 경쟁 환경 악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인상하는 계획을 발표, 우회 수출 차단을 위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EU는 최대 36.3%의 세율을 추가하는 관세 초안을 이해 당사자들에게 통보한 바 있다.
우리나라 또한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중국산 전기차가 지난해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약 1만9000대가 판매됐다. 중국 업체의 한국시장 진출 계획에 따라 향후 국내 내수시장의 전기차 가격 경쟁이 심화할 전망이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최근 전기차 시장은 성장이 둔화 추세지만 앞으로 미래차 시장은 전기차가 대세를 이룰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국가 전략기술 연구개발 투자 지원, 전기차 보조금 확대, 인력 양성 등 지속적 지원과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