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김 의원 소유로 추정되는 디지털지갑 ‘클립’의 거래 내역에 따르면 위믹스 이외에도 클레이페이, 메콩코인, 마브렉스 등 신생코인에 수억원 씩 투자한 기록이 확인된다.
지갑 소유주는 작년 2월 16일 33억 규모의 위믹스 코인을 팔고, 전량 클레이페이 코인을 매수했다. 클레이페이는 당시 출시된 지 한 달 밖에 안되는 신생코인이었고,주목받지 않았는데 ‘간 큰 투자’를 한 것이다. 전체 발행량 600만개 중 10%가 넘는 물량을 한번에 사들이자, 1200원이었던 코인 가격도 3000원으로 3배 가까이 뛰었다.
같은 날 위믹스를 팔아 약 3억9000만원 규모의 메콩코인을 사들인 기록도 확인된다. 메콩코인은 당시 인기를 끈 대체불가토큰(NFT) 프로젝트 메타콩즈와 연동된 토큰이다. 메타콩즈NFT를 보유하고 있으면, 메콩토큰을 매일 받을 수 있는 구조다. 당연히 메타콩즈NFT 보유자들 사이에서 관심을 받았는데, 김 의원은 NFT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코인에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 공교롭게 김 의원이 투자한 직후인 2월 19일 메콩코인 가격은 2.6배가량 상승했다. 6800원에서 1만7000원까지 급등한 것이다. 당시 김 의원 보유 물량의 가치는 10억원이 넘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게임업체 넷마블이 만든 코인 마브렉스에도 투자했다. 마브렉스는 작년 3월에 출시됐는데, 김 의원은 출시 한 달 만인 4월 21일부터 5월 초까지 37회에 걸쳐 9억7000여만 원어치 사들였다. 마브렉스는 5월 국내 거래소 빗썸에 상장돼 6만5000원대까지 올랐다.
|
내부자정보 활용 의혹?…매도 시점 놓치고 먹튀 피해 입기도
김 의원은 클레이페이에 30억원을 투자한 이후 일부를 팔아 마브렉스, 메콩코인, 젬허브를 구매하는데 쓰기도 했지만, 지속적으로 보유 물량을 늘렸다. 작년 5월 28일에는 총 247만개까지 물량을 늘렸고, 이를 현재까지 개인 지갑에 보관 중이다. 코인 가치는 작년 5월 시세(100원)로 총 2억4700만원 규모였지만, 현재는 5600만원으로 쪼그라들었다. 클레이페이는 개발사가 사업을 중단하고 잠적한 ‘먹튀(러그풀)’ 사건이 발생하며 가격이 폭락했다. 투자자를 모아 놓고 사업 성과 없이 일방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하는 먹튀 행위를 ‘러그풀’이라고 하는데, 클레이페이 운영진은 지난해 7월부터 커뮤니티방을 폐쇄하고 잠적한 상태다.
메콩코인 매도 시점도 썩 좋진 않다. 최고점을 찍은 2월 19일 보유물량의 18%가량(8000개)을 매도했지만, 이후에는 가격이 하락하는 중에 여러 차례 나눠 매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6월까지 메콩코인을 사고팔기를 반복했는데, 당시 가격은 900원까지 하락한 상태였다.
코인을 발행한 업체들도 내부정보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넷마블 마브렉스 측은 입장문을 내고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계좌를 확인한 결과, 해당 계좌의 소유주는 2022년 4월경 보유하고 있던 다수 코인을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불특정다수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마브렉스를 취득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회사는 2022년 1분기에 상장 계획을 공지했기에 2022년 4월 무렵에는 이미 시장에 널리 알려져 있었던 바, 이는 전혀 가치 있는 정보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또, “어느 누구에게도 비공개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한 적이 없음을 다시 한번 명확히 밝힌다”고 했다.
메타콩즈 프로젝트를 이끄는 멋쟁이사자처럼 측도 입장문에서 “메콩코인 대량 구입이 메타콩즈 NFT 보유없이 이뤄진 점에 대해서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면서도, “김 의원의 메콩코인 거래 시점은 2022년 2월 14일부터 2022년 6월 9일까지로, 해당 거래는 멋쟁이사자처럼이 메타콩즈 경영권 인수 전”이라고 선을 그었다.
일각에서는 에어드랍 방식으로 로비를 받은 것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에어드랍은 코인을 새롭게 발행·유통할 경우 마케팅을 위해 무료로 나눠주는 것을 말한다.
김 의원은 민주당 진상조사단에 에어드랍을 받은 것은 맞으나, 의원 신분이 아닌 투자자로 제시된 조건에 따라 받아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에어드랍’은 ‘클레이스왑’이라는 가상화폐 예치 서비스를 통한 것”이라며 “가상화폐 트랜잭션을 보면 들어가고 나가고, 전부 투명하게 나온다”고 의혹을 직접 해명했다. 이어 이어 “카카오지갑에 들어간 가상화폐 총액과 이체된 총액을 비교하면 정말 엄청난 손해를 본 것이 명확한데도 이렇게 황당한 기사를 쓰다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항변했다.
김 의원의 당초 60억 상당의 위믹스 보유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후 김 의원 소유의 것으로 특정된 디지털지갑이 발견되면서 거래 내역이 공개돼자 △자금출처 △최대 투자 규모 △내부자정보 획득 여부 △상임위 회의 중 코인 거래 여부 등 다양한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는 중이다.
한편 김 의원 소유로 특정된 가상자산 지갑에는 이외에도 클레이, 피블, 보물행성, 젬허브, 자테라, 제미트, 보라, 컴파스, 아지트, 케이스타코인 등 국내 발행 코인을 매입한 기록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