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이유로는 △자국 우선주의 강화로 인한 기업 부담 증가(43.9%) △고강도 관세정책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35.9%) △대중국 통제 강화에 따른 중국 리스크 증가(13.3%) 등을 꼽았다.
중견기업계는 트럼프 당선인의 주요 공약 중 ‘관세정책(39.5%)’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클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통상정책(32.3%) △산업정책(17.3%) △환경정책(7.4%) △세제정책(3.6%) 순으로 조사됐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인이 천명한 대로 일반 국가 수입품 10% 이상, 중국 60% 이상의 고율 보편 관세, 미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국가에 대한 동일 상호 관세 정책이 추진되면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소규모 개방경제의 특성상 실질 국내총생산(GDP) 하락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 차원의 자구책으로는 △환율변동에 대비한 유동성 확보(31.7%) △수출시장 다변화(23.4%) △중국산 원·부자재의 공급처 다각화(20.4%) 등을 주요 과제로 지목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공급망 분절과 보호무역주의 확대에 따른 다자무역체제의 위기 속에 맞이하게 된 트럼프 2기 정부의 급격한 정책 변화는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한층 가중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오랜 우방이자 한미동맹의 선린 우호 관계에 입각한 외교적 대응은 물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