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국제결제은행(BIS)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G20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의 국가총부채가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우리나라 국가총부채 비율은 266.3%로 G20 평균(267.7%)에 비해 1.4%포인트 낮았다. 다만 2017년 당시 우리나라 국가총부채 비율이 217.8%로 G20 평균(248.1%)보다 30.3%포인트 낮았던 것과 비교하면 해당 기간 우리나라 상승폭은 48.5%포인트 늘었고 이는 G20 평균(19.6%포인트)보다 약 2.5배 높다.
특히, BIS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 대비 국가총부채 비율이 2017년부터 계속 증가하는 데 반해, G20 국가의 평균은 코로나19(2020년) 이후 그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G20 국가는 2020년 대비 2021년 3분기 평균 국가총부채 비율이 23.8%포인트 감소한 반면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에도 가계·기업·정부 부채가 모두 늘어나면서, 평균 국가총부채 비율이 8.1%포인트 증가하는 등 부채 위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게 한경연 지적이다. 임동원 한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5년간 국가총부채 비율이 급격히 늘어 다른 국가들과 그 격차가 없어진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했다.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계실질소득은 2021년 1분기와 2분기에 전년동기대비 각각 -1.0%와 -3.1%를 기록하며 4년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고물가와 이자 부담 증가에 가계 실질소득은 더욱 줄어들며 가계부채 리스크가 늘어 경제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임 위원은 “지속적으로 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재정·금융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며 “인위적인 부채 감축보다는 규제개혁 등으로 성장력 제고 및 소득 증가를 유인해 가계·기업부채를 줄이고, 정부부채도 재정준칙 도입 등 재정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