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적으로 현재 추진 중인 기간산업 안정기금, 협력업체지원프로그램, 상생협력보증 제도 등 금융지원제도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을 개정해 주요전략 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와 지원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항공산업 고도화와 선진화를 통해 2030년대 ‘항공 G7’ 로 진입하겠다는 목표다.
기안기금 활용…중소 항공업체 2~3년간 금융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이러한 내용의 ‘제3차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항공산업을 합리적으로 지원·육성하기 위해 수립하는 10년 단위의 법정계획으로 항공기 개발과 생산 등 제조산업이 대상이다.
산업부는 기본계획 전략 추진을 위해 올해 항공산업 관련 예산으로 스마트캐빈, 수소연료전지기반 카고드론(탑재중량 200kg급) 기술개발 등 총 22개 사업 1153억원을 편성·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코로나 19에 따른 산업위기를 극복하고 기반 유지를 위해 중소 항공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활용해 기존 대출한도 외에 추가 지원하고 업황 회복 때까지 앞으로 2~3년간 지원 프로그램을 유지할 계획이다. 협력업체 운영자금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부품기업 공제조합을 설립해 산업경쟁력 강화와 대외 리스크 극복을 위한 보증 업무, 원자재 공동 구매 등 업계 지원 업무 수행을 검토하기로 했다.
기존항공 시장의 경쟁력 강화도 추진한다. FA-50, 수리온 등 완제기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무장·항전 장비, 동력전달장치 등 핵심 부품 국산화를 진행하고 품질인증 지원, 원자재 공동관리 등 항공산업 수출확대를 위한 인프라도 구축한다.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 지원과 품질인증 지원, 원자재 공동관리, 항공특화제조엔지니어링, 테스트베드 플랫폼 등 항공업계의 수요를 고려한 미래항공전문인력 양성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친환경 항공기 수요 대응을 위한 전기·수소연료 관련 핵심요소기술과 체계개발도 추진한다. 국제공동개발(RSP) 참여 확대를 위한 항공부품 생산공정 혁신과 핵심부품 분야 경쟁력 확보에도 나서기로 했다. IT·OLED 등 국내 기술 강점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캐빈, 통합항공전자 모듈, 네트워크 플랫폼 등 차별화한 항전 분야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글로벌 고부가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분야인 군 MRO 물량의 민간위탁 확대, 기체중정비·화물기 개조 등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미래 비행체 지상·비행시험 인프라 구축을 통한 개발 품목의 시험평가와 상용화도 지원한다. 시험평가센터와 시뮬레이터, 국가공인 비행시험장 조성, 상업화 촉진 실증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ICT 기술과 융합된 고성능·다기능 무인기 개발, 유무인 복합운용체계 개발 등을 통한 신시장 진출 지원으로 미래먹거리 창출에도 나선다.
항공 선진기술개발로 산업 고도화도 이뤄나갈 계획이다. 고효율화·스마트화·친환경화 등 항공산업 미래 기술 수요 선제적 대응을 위한 6대 분야(기체구조, 동력장치, 기계시스템, 전기전자시스템, IT·SW, 지상설비시스템) 25개 부문 100대 핵심기술의 로드맵을 수립하고 세부기술개발 계획과 투자방향을 설정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세계 6번째로 초음속항공기(T-50) 수출, 중소형 헬기(수리온, 소형민수헬기 등)의 개발·양산 등의 성과를 거뒀던 항공업계의 뛰어난 잠재력을 바탕으로 코로나19의 시기를 버텨냄과 동시에 미래 항공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기존 항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재도약할 수 있는 시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