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중국의 아이폰 사용 금지 움직임과 관련해 “우리는 분명히 이 사건을 우려의 시각으로 지켜보고 있다”며 “과거에 봤던 미국 기업에 대한 중국 보복 조치의 일부인 것 같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중국이 중앙 정부 기관 직원들에게 아이폰을 사용하지 말 것을 지시했으며 이러한 조치를 국영기업 등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이 애플의 주요 시장인 만큼 아이폰의 사용 금지 소식이 들리자 판매량이 5% 정도 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면서 주가에도 악영향을 줬다.
외신들은 중국이 아이폰 제한에 보도를 반박하면서도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 상황은 더욱 혼란스러워졌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애플 휴대폰과 관련된 보안 사고에 대한 많은 언론 보도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이 사실상 아이폰 사용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내비쳤음을 시사한다고 보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중국과 애플의 긴장은 미·중간 광범위한 대립의 일부”라며 “미국은 중국 군대 장비에 도움이 된다는 우려를 이유로 첨단 칩 제조장비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고, 중국은 미국 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제품 구매를 자체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애플은 최근 몇 달 동안 여러 보안 문제들이 나타났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얼마 전에는 워싱턴에 위치한 시민단체 직원 소유의 아이폰이 이스라엘의 정보기술(IT) 기업인 NSO그룹이 만든 스파이웨어에 원격 해킹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애플은 지난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패치를 발표한 바 있다.
중국 외교부 기자회견이 열린 시점이 아이폰15 공개 후 몇시간만에 열린 시점도 공교롭다.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이폰 사용 논란이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애플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아이폰15, 아이폰15 플러스, 아이폰15 프로, 아이폰15 프로 맥스 등 4가지 새로운 모델을 출시했다. 제품 선주문은 15일부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