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6일 7·14·28일짜리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단기 금리와 6개월~1년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등 단·중기 유동성 공급 금리를 0.1%포인트씩 올렸다. 올 들어 두 번째다. 전날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따른 조치로 해석된다.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인상 인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확대 해석 자제를 당부했지만 시장 해석은 다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금리 인상으로 중국도 금리 인상기조가 궤도에 올랐다고 논평했다. 안 그래도 자본유출 압박 때문에 긴축 압박을 받고 있었던데다 이를 막기 위해 활용해 온 외환보유액도 2014년 중반 이후 4분의 1 가량이 소진됐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가운데서도 경기 회복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을 동시에 안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이 때문에 중국 당국이 금리인상 대신 자본 해외 이탈을 방어나 재정투입 확대, 금 보유량 확대 등 제3의 대책을 우선 활용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그러나 때이른 긴축 추진에 따른 부작용이 발목을 잡고 있다. 시장에선 ECB의 양적 완화 종료와 함께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은행들이 부실채권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프랑스 대선(4월), 독일 총선(9월) 같은 정치적 불확실성도 크다. 피터 프라에트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5일 “유로존 성장은 가시화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의 지속적인 회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아직 ECB가 금융완화정책을 끝낼 때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일본의 고민은 금융완화정책의 효과가 좀처럼 실물 경기 회복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본은행의 목표는 ‘물가인상률 2%의 안정적 유지’이지만 현재는 1%에도 못 미친다. 달성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리라는 전망이 대다수다. 그 와중에 미 연준은 올해부터 매년 세 차례씩의 금리인상을 예고한 상황이어서 일본은행도 시간에 쫓길 수밖에 없다. JP모건자산운용의 채권총괄 담당자인 밥 미첼은 “현재 과소평가됐지만 미국은 물론 유럽과 일본 등 모든 주요 시장에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