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장은 20일 수소경제는 우리 경제의 주요 인프라가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수소경제포럼 주최, 이데일리 주관으로 열린 ‘왜 수소경제인가’ 정책토론회의 주제 발표에서다.
화석연료 한계·성장동력 악화..수소로 돌파
정부는 지난 1월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우리나라가 ‘수소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하지만 수소경제는 여전히 불투명한 미래다. 미국, 유럽연합(EU)을 비롯해 일본 역시 수소경제에 시동을 걸고 있지만, 화석연료를 비롯해 재생에너지를 대체할 주요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을지 정답이 없는 게 현실이다.
신 단장은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을 고려하면 수소경제는 갈 수밖에 없는 길이라고 확신했다. 환경 측면만 고려하더라도 수소를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는 “전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Co2)를 감축하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화석연료 사용은 줄여나갈 수밖에 없다”면서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과거 원전, 석탄발전과 달리 분산형 전원인 터라 송전선을 구출할 필요가 없어 자연 훼손 방지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 단장은 특히나 잠재성장률이 갈수록 저하되는 환경에서 수소경제가 우리경제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수소의 생산, 저장, 이송, 활용 등 밸류체인별로 다양한 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면서 “수소연료 기반의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제조업뿐만 아니라 발전 등 연관 산업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기후 변화협약 등으로 국제 규제가 강화하는 상황에서 화석연료 기반의 제조업을 친환경연료기반으로 전환하는 추세에도 적합하다는 것이다.
|
“로드맵 뒷받침할 만한 인센티브·보조금 체계 마련 필요”
신 단장은 우선 컨트롤 타워부터 구성해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수소경제 위원회 등 수소경제를 안착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특히 수소경제를 체계적으로 끌고 가기 위한 수소경제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간 사업자들이 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적정 수준의 보조금 체계 마련도 필수 과제다.
그는 “민간이 현 상황에서 수소경제에 뛰어들려고 해도 수익성이 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면서 “충전소 운영보조금을 비롯해 수소차 보험료 지원, 수소생산·저장장치에 ‘공급인증서(REC)’를 제공하는 등 인센티브 방안도 검토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