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7일 여신금융협회에서 2025년 카드수수료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카드업계에서는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내수진작 정책으로 자리 잡은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카드업계가 대승적 차원에서 결정했다”며 “이번 수수료율 인하 폭이 예전보다 작은 건 이미 그만큼 수수료율을 많이 내려 더는 인하할 여력이 없다는 걸 방증한다. 소상공인·자영업자 가맹점 수수료율을 계속 인하해왔는데 그렇다고 폐업률이 줄거나,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카드사는 가맹점 수수료율을 지금까지 다섯 차례 낮추면서 ‘본업’인 신용판매에서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카드이용실적은 지난 2014년 562조원에서 2022년 956조원까지 증가했지만 가맹점수수료 수익은 7조 1300억원에서 4조 810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신용판매 수익률은 2015년부터 감소해 최근 0.5%까지 떨어졌다. 2012년·2015년·2018년·2021년 등 4차례 적격비용 재산정을 통해 카드 수수료율을 계속해서 낮춘 영향이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적격비용 제도 도입 이후 수수료율 인하로 지난 2019~2021년 카드사 수익이 약 1조 4000억원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근본적인 문제는 가맹점이 3000억원 수수료 부담을 던다고 해서 내수진작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지용 교수는 “언뜻 소상공인 지원대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오히려 내수에 찬물을 끼얹는 정책이다”며 “신용카드 소득 공제율을 높이고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개최와 같은 정책이 내구재 소비를 촉진할 수 있고 카드사의 무이자 할부와 같은 프로모션을 많이 해서 카드 사용을 늘려야 가맹점 매출도 증가한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적격비용 제도 재검토와 함께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개인 간 월세 거래·중고거래 등으로 카드 결제 범위를 확대하고 법인 지급계좌 결제 허용, 무서명거래 한도 확대 등의 인센티브 정책 등을 수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