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OECD가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 따르면 한국 경제성장률을 기존 2.8%에서 3.3%로 0.5%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OECD는 매년 통상 5월과 11월 회원국, G20 대상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중간 3월과 9월 G20 중간전망을 내놓는다. 앞서 지난해 12월 경제전망에서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8%로 제시했다.
한국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1.0%로 G20 국가 중 중국(2.3%), 터키(1.8%)에 이어 3위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는 대다수 국가 경제가 반등하면서 G20 중 16위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상향 조정으로 15위에 올랐다.
OECD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3.2%)는 물론 국제통화기금(IMF·3.1%), 한국개발연구원(KDI·3.1%), 한국은행(3.0%) 등 주요 기관보다 높은 수준이다. 최근 세계 경제 회복세와 추가 경정예산 등 정책효과 등을 반영했다는 게 기재부 판단이다.
특히 OECD는 2019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기준(100)으로 했을 때 한국은 102.3으로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9년 기준을 넘은 국가는 G20 중 중국(110.3), 터키(107.8), 미국(102.8) 등 7개국 뿐이다. 다만 내년 한국의 성장률은 기존 3.4%에서 3.1%로 0.3%포인트 낮췄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백신 보급 속도에 따라 상·하방 시나리오를 별도로 제시했다. 백신 보급이 가속화하는 상방 시나리오에서 세계 경제는 7% 성장하고, 백신이 지연될 경우인 하방 시나리오상 성장률은 4.5%를 제시했다.
국가별로 보면 인도는 성장률을 4.7%나 높이면서 G20 중 가장 큰 성장세(12.6%)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중국(7.8%), 미국(6.5%), 프랑스·터키(각 5.9%), 스페인(5.7%), 영국(5.1%) 등 순이다.
|
OECD는 향후 경제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 요인으로 인플레이션과 가계부채 등 금융 리스크 등을 꼽았다.
글로벌 경제는 전반적으로 가계·기업 부문의 부채 비율이 높아 채무불이행·파산 등 금융 리스크 확산 가능성도 우려된다.
OECD는 백신의 신속한 생산·보급 등 효율적 방역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적극적인 거시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을 권고했다.
통화정책은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되 자산가격 상승 등에 대비한 거시건전성 조치를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재정정책은 성급한 정책 중단에 따른 부작용에 유의하고 수요 진작과 일자리 기회 확대를 위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집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제 위기 초반에는 전체적으로 지원을 실시했다면 이제는 피해 계층을 집중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코로나19 위기 이후 경제 복원력과 성장잠재력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화와 기후변화 대응 등 구조 개혁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