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방한 의중 우회적으로 언급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27일자 1면에 머리기사로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 내용을 자세히 보도했다. 관영 중앙(CC)TV도 한중 정상 통화 소식을 이날 아침 톱뉴스로 전했고, 신화통신은 통화 내용을 카드뉴스 형식으로 만들어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언론은 이번 통화를 비중있게 전하면서도 정치적으로 예민한 북핵문제, 시진핑 방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 사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 측 관영 언론 보도는 정부가 발표한 내용을 전하는 수준이며 해석 보도는 나오지 않았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시 주석은 “내년이 한중 수교 30주년으로, 양국 관계는 심화·발전할 새로운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면서 “문 대통령과 함께 ‘한중 문화교류의 해’의 정식 시작을 선포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중 양국은 2021~2022년을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했다.
국내 보도와 달리 문 대통령이 국빈 방문을 초청했다는 것이나 이에 시 주석이 희망 의사를 밝혔다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시 주석의 발언으로 미뤄봤을 때 방한을 통해 ‘한중 문화교류의 해’를 정식 선포하고 싶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중국은 한국과 국제문제에서 협조를 강화하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을 지키기 위해 함께 힘쓰고 싶다”면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이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조속한 발효,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건설 등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검토하고 있는 CPTPP은 나오지 않았다.
중국 보도에서는 북핵 문제도 언급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시 주석은 통화에서 “비핵화의 실현은 공동의 이익에 부합한다”라며 “중국은 문재인 대통령을 높이 평가하며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국 언론은 “문 대통령이 한국 측은 중국 측과 밀접한 교류와 국민 간 우의를 심화하기 원한다”며 “계속해서 코로나19 방역, 경제무역, 문화, 교육 등 영역에서 협력 해나가자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기후 변화 등 문제에 있어 지속적인 소통을 원한다고 전했다. 기후변화는 미국과 중국이 갈등 속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로 꼽히고 있다.
|
한중 정상통화는 지난해 5월13일 코로나19 방역협력을 계기로 이뤄진 이후 8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조 바이든 미국 신 행정부가 출범한지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한중 정상통화를 진행한 것은 시 주석이 미국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SCMP는 미국과 영국이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한국과 인도, 호주를 추가해 ‘민주주의 10개국’(D-10) 모임을 꾸리려고 하고 있다는 점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이 이러한 미국 주도 반중 동맹에서 적극적 역할을 하지 않도록 확인하려 한다”는 전문가의 분석을 전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지난 22일 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 6월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한국을 공식 초청하면서 중국 측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국내에서도 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하기 전에 시 주석과 통화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런 여론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한중 정상통화는) 신년 인사 차원의 통화다”면서 선을 그었다.
SCMP는 미중 경쟁 사이에서 어느 편도 들고 싶지 않은 한국을 존중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발언도 소개했다.
미국 예일대 세계법적분쟁센터 브라이언 킴은 지난 15일 외부 기고문에서 “서울은 베이징과 1000㎞ 떨어져 있지만 워싱턴과는 1만1000㎞ 떨어져 있고, 미국 관광객보다 6배 많은 중국 관광객이 한국을 찾는다”며 “한국의 입장에서는 미중 간 선택을 강요하는 것은 미중 양쪽으로부터 모두 타깃이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