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애널리스트는 “상반기 주택 가격이 상승했던 배경에는 유동성의 확대(변동금리 주담대 기준 코픽스 금리 80bp 하락, 증시 상승)가 있었다”며 “하반기는 미국발 유동성 축소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의) 부채한도협상이 타결된 이후에는 채권을 대량으로 찍어내 시장 유동성을 단기적으로 빨아들일 것”이라며 “하반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감소 우려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결정 시 증시는 (과거 경험적으로) 10% 이상 빠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유동성 축소에 따라 국내 증시도 하락할 여지가 있으며, 부동산 경기도 일시적으로 축소될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때를 바닥으로 판단하며, 현 시점에서는 관망 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