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은 “공공기관의 출자회사 개념은 ‘사업상 관계가 있는 회사에 자본·현물을 투자해 주식을 취득하거나, 자본금을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회생채권은 투자회사로 볼 수 없다”며 “기재부에 통합공시 때 이를 제외해줄 것을 몇 차례 건의했으나 현재로선 이를 출자회사로 공시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를 비롯한 일부 언론은 이날 기획재정부가 운영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시스템 ‘알리오’ 집계를 토대로 지난해 말 기준 출자회사가 있는 144개 공공기관의 전체 출자회사 수가 2112개로 전년대비 5.5% 늘었으며 이중 한전이 496개로 가장 많았다고 보도했다. 실제 알리오 집계에 따르면 한전의 출자회사는 496개로 한국자산관리공사(89개)나 한국산업은행(85개), 주택도시보증공사(81개), 한국해양진흥공사(53개) 등 출자회사가 많은 다른 공공기관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많다. 전체 출자회사의 23.5%에 이른다.
한전이 이같이 부연한 것은 이 수치가 자칫 한전이 최악의 재무위기 속에서도 방만하게 경영한 것으로 비칠 것을 우려해서다. 국내 전력 수급을 도맡은 공기업은 재작년 말부터 글로벌 에너지 위기 여파로 석탄·가스 등 발전 연료 단가가 급등하며 원가 이하에 전기를 공급한 탓에 재작년 5조8000억원, 작년 32조6000억원의 천문학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한전은 이에 지난해부터 전 그룹사와 함께 5년에 걸쳐 20조1000억원의 비용 절감 계획을 담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이달 초엔 절감 목표를 25조70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차장급 이상 직원의 올해 연봉인상분과 정부 경영평가에 대한 성과급 반납기로 했다.
그러나 한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은 쉬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한전이 원가 급등 부담을 고려해 정부 승인 아래 전기요금이 1년 새 30% 이상 올리며 전 국민적으로 비용 부담이 늘어난데다, 한전이 그럼에도 지난해 기준 평소의 두 배 이상 늘어난 원가 부담을 감당하지 못한 채 적자를 이어가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전은 “재정건전화 계획과 공공기관 혁신계획 아래 실제 출자회사 중 비핵심 출자지분에 대한 매각과 청산을 진행 중이며 더 속도를 내려 하고 있다”며 “출자회사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앞으로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