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미래 인력 양성의 초석이 되는 학령인구 감소는 현실화된 상태다. 한때 대학수능시험생은 50만~70만명대였지만 지금은 학생수 부족으로 일부 대학들이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해 폐교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결국 생산인력 감소로 이어지면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두고 사회 각계각층과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미래는 낙관적이지 못하다.
가뜩이나 인력난을 겪고 있는 우리 산업계는 더 큰 위기에 놓였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반도체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첨단산업에서의 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들 산업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될 만큼 향후 우리의 미래 먹거리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차세대전지(배터리) 분야에서도 적정 수준의 학령인구 부족으로 대규모 전문 인력 수급이 요원할 전망이다. 실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조사에 따르면 국내 업계는 매년 3000명 정도의 연구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석·박사급 연구·설계 인력은 1000명 이상, 학사급 공정 인력은 약 1800명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다. 디스플레이, 배터리 분야의 경우 최대 경쟁국인 중국을 뛰어넘는 수준의 기술 격차를 다지지 못한다면 우리에겐 큰 위협이 될 수밖에 없는 만큼 학령인구 감소는 재앙이 될 수도 있다.
당장 300조원에 달하는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경기도 용인에 2042년까지 세계 최대 시스템 반도체 산단을 구축키로 한 정부의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해선 당장의 인재 확보를 넘어 저출산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법 모색이 절실하다. 산단 조성과 함께 맞물린 수만명 수준의 미래 인재 육성은 장기적으로는 출생아수와 직결될 수밖에 없어서다. 인적 경쟁력 없인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산단의 불을 밝히기 어렵다는 얘기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라는 미래 먹거리가 있어도 이를 성장시킬 인력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