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배터리 3사의 직원 평균 임금은 1억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600만원(SK온 제외)에 비해 700만원 가량 올랐다.
급여가 가장 많은 곳은 SK온이다. SK온은 평균 1억600만원으로 나타났다. 직원 수는 2021년 10월 설립된 이후 1512명에서 지난해 2981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삼성SDI의 지난해 평균 급여는 1억1600만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반도체 소재 등 전자재료 사업을 제외하고 배터리 사업 부문만 떼놓고 보면 평균 급여는 1억370만원으로 이보다 낮다. 지난해 임금상승률은 0.7% 수준이다.
|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초 서울대와 ‘산학협력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에는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와 배터리 소재·분석기술을 위한 산학협력을, 연세대학교와 전기차 배터리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연세대(이차전지 융합공학협동과정)를 포함해 고려대(배터리·스마트팩토리 학과), 한양대(배터리공학과)와 계약학과도 설립·운영하고 있다.
SK온도 KAIST와 산학협력 배터리 교육 프로그램 ‘SKBEP’ 개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생명화학공학, 화학, 신소재, 전기전자, 전산, 인공지능(AI) 등 9개 분야이며, 프로그램 대상자는 등록금 및 개인 장학금은 물론 SK온 취업이 보장된다. 삼성SDI도 성균관대, 포항공과대, 서울대, 카이스트, 한양대 등 국내 대학들과 협약을 맺었다. 지난 2월에는 헝가리 오부다대학교와 인재 육성을 위한 MOU를 체결하면서 현지 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확보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R&D(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연구개발 인력은 물론, 시장 확대를 위한 영업 마케팅과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AI 전문가들도 많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