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정부, 3월까지 15조원 늘어난 138조원 지출…“적극 재정운용”
  • 정부, 3월까지 15조원 늘어난 138조원 지출…“적극 재정운용”
  • 기획재정부 월간 재정동향 2019년 5월호 중 1~3월 총수입·총지출·재정수지 추이. 기재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3월까지 전년보다 약 15조원 늘어난 138조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활력을 위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운용하겠다는 취지를 살린 것이다. 같은 기간 총수입은 줄며 재정수지 적자를 기록했다.기획재정부가 10일 공개한 월간 재정동향 2019년 5월호를 보면 올 1~3월 정부의 총지출은 138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5조4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예산 469조6000억원 중 진도율 29.5%다. 연간 예산이 지난해(432조7000억원)보다 큰 폭 늘었음에도 28.4%이던 진도율이 1.0%포인트(p) 이상 늘었다.정부는 경제활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상반기 중 일자리나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등 민생과 밀접한 재정은 상반기 중 65%를 집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었다.정부는 이에 올해 연간 예산 중 약 62.2%인 291조9000억원을 주요 관리대상사업을 지정하고 집행률을 별도 관리해오고 있다. 올 1분기까지의 집행 실적은 94조4000억원(집행률 32.3%)로 목표했던 88조원(30.1%)을 6조4000억원 초과 달성했다.수입은 줄었다. 올 1~3월 총수입은 121조원으로 전년보다 2000억원 줄었다. 진도율도 25.4%로 1.6%p 내렸다. 기금수입은 1조4000억원 늘었으나 국세수입과 세외수입이 각각 8000억원, 7000억원 감소했다. 지방정부에 이전하기 위한 지방소비세율을 11%에서 15%로 올리면서 부가가치세가 9000억원 줄어든 영향이 컸다. 지출은 늘고 수입은 줄면서 1~3월 통합재정수지는 17조3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사회보장성기금수지 7조9000억원을 뺀 관리재정수지는 25조2000억원 적자였다. 중앙정부 국가채무도 670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조5000억원 늘었다.기획재정부 월간 재정동향 2019년 5월호 중 올 1분기 주요 관리대상사업 집행실적 및 집행률 추이. 기재부 제공
2019.05.10 I 김형욱 기자
"韓경제 2.5% 성장 쉽지 않다..규제해소·혁신성장이 해법"
  • "韓경제 2.5% 성장 쉽지 않다..규제해소·혁신성장이 해법"
  • 빈센트 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분석실장. KDI 제공[이데일리 김형욱 조해영 기자] 국내외 석학이 우리나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소득 불평등 해소를 위한 재분배 정책 못지않게 규제 해소를 중심으로 한 혁신성장에 더 많은 힘을 쏟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빈센트 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분석실장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9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개최한 ‘소득 3만달러 대한민국 평가와 과제’ 국제 컨퍼런스에서 “한국이 국내외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혁신성장에 좀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역설했다.이날 행사는 한국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넘어서며 인구 5000만명 이상 기준까지 충족하는 세계 7번째 ‘30-50’ 클럽에 가입한 걸 기념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올해 韓 성장률 2.5%도 쉽지 않아…혁신성장 더 속도 내야”그는 “한국은 중국 노출도가 큰데다 국제 유가와 반도체 사이클 등 대외 위험요소가 큰 데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악재가 상존하고 있다”며 “한국은행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5%로 전망했으나 이마저도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코엔 실장은 그 해법으로 규제 해소 중심의 혁신성장을 꼽았다. 현 포지티브(positive) 방식의 규제를 어떤 시도이든 일단 허용 후 문제가 생기면 이를 해소하는 네거티브(negative) 규제로 전환하고 외국인 투자나 무역 장벽도 더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그는 “한국은 연구개발 투자가 높음에도 생산성은 OECD 평균보다 30%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 올해 상품시장규제(PMR) 지수 역시 (최상위권이던) 지난해와 달라지지 않았다”며 “정부 역시 규제 샌드박스(특례) 제도를 시행했으나 여전히 기업은 많은 서류를 내야 하는 등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장석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거들었다. 그는 “현 정부 경제정책인 포용적 성장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 공정경제가 맞물려 가는 것인데 지금까진 소득주도성장과 공정경제만 너무 강하고 빠르게 추진했고 기대와 달리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며 “3년차를 맞은 현 시점에서 차분히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연구위원은 이어 “기업은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의 공세로 절박한 상황”이라며 “기존 성장 모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지만 그렇다고 전통의 성장 모델이 사라지는 건 아닌 만큼 조화를 이뤄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소득불평등은 경제성장 걸림돌…재분배 정책도 이어가야”경제 석학들은 소득재분배 정책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조나단 오스트리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부국장은 “소득불평등 심화는 경제성장을 가로막고 장기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며 “정부는 포용적 성장 정책으로 이에 선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 경제학자는 낙수효과로 분배가 이뤄질 거라고 했으나 지난 30년 동안 선진국 중위소득은 생산성 증가에도 정체했다”며 “과하지 않은 수준에서의 소득이 재분배될 수 있도록 성장과 포용을 함께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포용도 혁신도 결국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인 만큼 정부뿐 아니라 기업, 국민이 함께 이를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한다는 제언도 있었다. 알리스테르 맥그리거 영국 셰필드대 교수는 “소득 3만달러 시대를 맞은 한국의 목표는 국민 삶의 질 향상이어야 한다”며 “정부뿐 아니라 기업과 시민사회, 시민 하나하나가 각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은 “3만달러 달성은 종착점이 아닌 새로운 출발”이라며 “정부도 지난 2년을 돌이켜보고 성과가 있었던 부분은 강화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 정책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조나단 오스트리 IMF 아시아태평양국 부국장이 9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소득 3만달러 대한민국 평가와 과제’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KDI 제공
2019.05.09 I 김형욱 기자
이개호, G20 농업장관회의 참석차 일본행…현지 수입업체 간담회도
  • 이개호, G20 농업장관회의 참석차 일본행…현지 수입업체 간담회도
  • (왼쪽부터)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한창푸 중국 농업농촌부 장관, 요시카와 다카모리 일본 농림수산성 장관이 지난해 11월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농업장관회의에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주요 20개국(G20) 농업장관회의 참석차 일본을 찾는다.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11~12일 일본 니가타 시에서 열리는 G20 농업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10일 출국한다.G20 농업장관회의는 농식품 분야 국제협력과 안정적인 식량공급, 지속 가능한 농업, 식량안보 확보 등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리는 행사다. 2011년 프랑스에서 첫 개최 이후 2015년부터는 매년 열리고 있다.올해 회의 의제는 ‘농식품 분야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와 모범 사례’다. 특히 참가자는 농업 혁신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스마트팜 혁신 밸리와 청년 농업인 육성 등 우리 주요 정책을 소개하고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의 국제협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이 장관은 또 회의 개막 하루 전인 10일 도쿄에서 한국 농식품 수입업체 대표 초청 간담회를 열고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한다. 재일한국농식품연합회, 동일본수입유통협의회, 김치수입협의회 등 현지 단체가 참석 예정이다.
2019.05.09 I 김형욱 기자
“6월부터 외국축산물 반입 과태료 최대 1000만원…소시지·순대 포함”
  • “6월부터 외국축산물 반입 과태료 최대 1000만원…소시지·순대 포함”
  • 이개호(오른쪽 3번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올 2월25일 인천공항에서 현장 검역 관계자로부터 불법 휴대 축산물 실태를 보고받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6월부터 소시지나 순대 같은 외국 축산물을 국내 반입하다 적발되면 최대 10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할 수 있다.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의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유입 차단 추가대책을 9일 밝혔다.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이다. 치사율이 사실상 100%에 이르고 이를 막을 백신도 없다. 원래 아프리카·중국에서 유행했으나 지난해 8월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로 확산 중이다. 중국의 공식 감염 건수는 133건이지만 4억~5억마리에 이르는 중국 돼지 중 20%가 이 때문에 폐사했다는 추정도 나온다. 베트남도 첫 발생 2개월여 만에 감염 사례가 211건으로 늘었다. 아직 국내 감염 전례는 없으나 일단 감염 땐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농식품부는 중국에서 처음 발생한 지난해 8월 이후 국경 검역을 강화했다. 검역견과 엑스레이도 확대 투입했다. 이 과정에서 공항·항만에서 총 15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되는 등 여행객의 휴대 축산물 반입은 끊이지 않는 걸 확인했다.지난 한해 국경검역 과정에서 축산물을 들여오다 적발된 건수는 무려 11만7915건이다. 이중 9만8389건은 자진신고 형태로 과태료는 물지 않았으나 의도성이 확인돼 과태료가 부과된 건수도 3413건(전체의 2.9%)에 이른다.여행객 대부분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여긴 탓으로 풀이된다.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축산물도 소시지나 순대, 만두, 햄버거, 훈제돈육, 피자 같은 돈육가공품이었다.인천공항 내 동물검역 탐지견이 여행객의 수하물을 살펴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농식품부는 이에 6월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국에서 축산물을 반입하다 적발됐을 땐 1차 때 500만원, 2차 때 750만원, 3차 땐 1000만원의 과태료를 물도록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령 개정안을 시행키로 했다. 원래는 1차 적발 땐 10만원, 2차 땐 50만원, 3차 땐 100만원이다. 미납 땐 재입국을 거부하거나 체류기간 연장을 제한하는 등 추가 제재한다.당국은 또 외국인근로자 등이 인지하지 못하고 반입하는 일을 막기 위해 공항·항만은 물론 현지 취업교육기관에서도 관련 안내와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관세청과 협조해 국제우편이나 특급탁송화물 등에 대한 검역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국제우편 검역 불합격 사례도 1만4000건에 이르며 이중 절반은 돈육가공품이었다.돼지에게 남은음식물(잔반) 사료를 돼지를 주는 걸 원천 차단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국내 6000여 농가 중 약 200여 농가는 잔반 사료를 주고 있는데 현재까진 전담관을 지정해 고온 살균 후 급여토록 지도하는 수준이었다. 환경부는 이와 관련해 5월 중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할 예정이다.정부는 또 다른 감염 경로인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최대한 줄이고 양돈농가와의 접점을 막기 위해 총 60억원을 투입해 포획틀·울타리 지원사업도 시행한다.당국은 만에 하나 국내 유입이 현실화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달 중 구제역 등 다른 가축전염병과 별개의 긴급행동지침을 마련해 운영키로 했다. 발생 확인 즉시 전국에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리고 발생 농장 반경 500m 이내 양돈농가 돼지는 24시간 내 살처분할 계획이다. 위기경보도 발생 즉시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발령하고 주요 방역대별로 통제 초소와 거점 소독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달 국내 유입을 가정한 가상 방역훈련을 했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아프리카돼지열병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선 국민 모두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발생국 여행 땐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가게 되더라도 축산물을 반입하거나 5일 이내에 축산 농가 방문하는 일은 피해 달라”고 전했다.올 3월7일 인천공항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소속 검역견이 여행객 수하물에서 불법 휴대 축산물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
2019.05.09 I 김형욱 기자
OECD “韓 올해 성장률 2.5%도 쉽지 않아…혁신성장 더 속도내야”
  • OECD “韓 올해 성장률 2.5%도 쉽지 않아…혁신성장 더 속도내야”
  • 빈센트 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분석실장. KDI 제공[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5% 달성하기도 쉽지 않을 수 있다며 혁신성장에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제언했다.빈센트 코엔 OECD 국가분석실장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9일 오후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연 ‘소득 3만달러 대한민국 평가와 과제’ 국제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코엔 실장은 “한국은 현재 여러 부정적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5%라고 했으나 이보다 하향 조정해야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한국의 대외 위험요소로 중국과 유가, 반도체 사이클 변화를 꼽았다. 중국 노출도가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로 꼽히는 만큼 중국 수요가 줄어든다면 교역은 물론 주식시장에도 ‘쇼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원유 수입이 많아 최근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 등 주요 산유국에 영향이 크다는 점, 전체 수출의 5분의 1이 반도체와 관련해 있어 최근 반도체 가격 하락이 4개월 연속 수출액 전년대비 감소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라는 대내적 악재까지 겹쳤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코엔 실장은 올 1분기 한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3%를 기록한 걸 언급하며 “금융위기 이후 가장 안 좋은 모습”이라며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 등 노력을 하고 있는 만큼 나머지 기간에는 다시 회복하겠지만 올해와 내년에 잠재성장률만큼 성장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그는 한국이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규제 해소를 중심으로 한 혁신성장에 좀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엔 실장은 “한국은 2017년 기준으로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액이 이스라엘 다음으로 높음에도 생산성은 OECD 평균보다 30%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그만큼 행정 비효율성이 크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지난해 한국의 상품시장규제(PMR) 지수는 OECD 최상위권이었고 아직 공식 발표는 하지 않았으나 올해 역시 순위가 개선되지 않았다”며 “한국 정부도 여러 정책을 내놓은 것으로 알고 있으나 여전히 해야할 일이 많다”고 지적했다. 가령 정부가 올 들어 ‘선 허용, 후 규제’ 원칙의 규제 샌드박스(특례)를 시행했으나 이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선 여전히 많은 추가 서류가 필요하다던가, 외국인 투자와 무역장벽에 있어서도 여전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한국은 초고속 인터넷이 잘 보급됐으나 정작 교사의 디지털 역량이 부족해 디지털 격차가 발생하는 역설적인 상황도 있다고 지적했다.코엔 실장은 “한국 정부는 좀 더 강력한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해 어떤 시도이든 일단 허용하고 문제가 생기면 개혁하고 중소기업을 과도히 보호하고 규제하기보다는 적절히 파산해 시장에서 퇴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장석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KDI 제공장석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 역시 정부의 포용적(Inclusive) 성장 경제정책의 중요한 요소라며 혁신에 좀 더 힘을 실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장 연구위원은 “포용적 성장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 공정경제 어느 것 하나 빠져선 안되는데 정부는 지금까지 소득주도성장과 공정경제 정책을 너무 강하고 빠르게 추진했고 기대와 다른 부작용을 낳았다”며 “문재인 정부 3년차를 맞은 만큼 이런 현장 목소리를 듣고 좀 더 차분히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돼 온 혁신성장에 좀 더 힘을 실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는 “기업이 절박한 상황이란 걸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 역시 더 이상 성장만을 위한 성장 모델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지만 전통적인 경제 모델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기업 주도 성장의 낙수효과가 약화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만큼 새로운 문제애 대한 정책 모델과는 별개로 전통 경제 모델도 문제도 문제가 생겼다면 잘 작동하도록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그는 이어 “우리 기업이 가장 염려하는 건 중국이 정부 주도로 시행하는 강력한 산업정책은 대부분 한국이 경쟁력을 갖고 있거나 진출하려던 분야”라며 “중국의 제조 2025 계획이 성공하면 우리는 영향을 받는 정도가 아니라 시장을 잠식 당하거나 상실할 수 있다”고 말했다.장 연구위원은 또 “혁신도 전통적인 파괴적(destructive) 혁신과 포용적(inclusive) 혁신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둘 중 하나에 치우친다면 이 역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조화가 필요하다”며 “부처별로 파괴적 혁신이 필요한 곳은 계속 이를 추진하고 포용성이 필요한 곳에선 또 다르게 해서 전체 정부가 조화를 이뤄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장 연구위원은 “OECD의 최종적인 제언은 결국 정부 혁신”이라며 “정부는 기업이 잘 해나가는데 장애가 되는 걸 해결해주는 본질로 돌아가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9.05.09 I 김형욱 기자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4.1%↓…반도체 설비투자 감소 영향
  •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4.1%↓…반도체 설비투자 감소 영향
  • 이데일리 DB[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올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이 4.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설비투자 감소 영향이 컸다.통계청은 9일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발표했다. 이 수치는 1만여 종의 제조업 제품의 국내 공급량을 지수화하고 전년과 비교해 해당 기간의 제조업 경기를 살펴보는 것이다.올 1분기 지수가 4.1% 감소했다는 건 그만큼 제조업 부문의 공급이나 투자가 적었다는 것이다. 전년대비 감소 폭으로도 지난해 3분기(-5.5%) 이후 가장 컸다.반도체 설비투자 감소 영향이 컸다. 최종재 중 자본재 국내공급이 23.3% 감소했다. 자본재에는 반도체 생산설비인 웨이퍼가공장비와 비상업용 특수선박이 있다. 휴대용 전화기나 중형 승용차 같은 최종재 중 소비재 국내공급도 줄었으나 감소 폭은 0.8%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둘을 합한 최종재는 10.2% 줄었다. D램이나 자동차부품 같은 중간재는 반대로 0.2% 증가했다.업종별로는 1차금속 부문이 1.9% 늘었으나 기계장비(-20.2%)나 기타운송장비(-43.5%)가 큰 폭 줄었다. 전기장비 역시 6.7% 감소했다.국산·수입 모두 줄었다. 국산은 3.9% 줄었고 수입 역시 4.3% 감소했다. 수입 감소 폭이 더 크기는 했으나 수입점유 비율은 26.3%로 0.1%포인트(p) 올랐다.통계청 관계자는 “2017년 1분기부터 2018년 1분기까지 반도체 설비투자가 집중된 데 따른 기저효과로 자본재가 전년대비 큰 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2019년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통계청 제공
2019.05.09 I 김형욱 기자
산업부, 제주 전기차 엑스포서 전기·자율주행차 투자유치 포럼
  • 산업부, 제주 전기차 엑스포서 전기·자율주행차 투자유치 포럼
  • 8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6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전시된 기아자동차의 전기차 ‘쏘울 부스터 EV’. 기아차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주 국제 컨벤션센터에서 국제 전기·자율주행차 투자유치 포럼을 연다고 이날 밝혔다.이 포럼은 미래차 분야의 국외 투자유치를 위해 열리는 행사다. 올해는 8~11일 열리는 제6회 국제 전기차 엑스포와 연계해 시너지를 꾀했다. 제주 전기차 엑스포는 2014년 이후 열리는 연례행사로 지난해 기준 41개국 5만여명이 참석했었다.포럼에선 다쏘시스템 등이 전기·자율주행차의 의미를 설명하고 유미코아·바스프 등이 국내 투자 성공사례를 공유한다. 타타그룹과 모빌아이가 신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는 등 세션별 발표가 예정돼 있다. 산업부는 이 행사에 전기·자율주행차, 첨단소재 관련 국내외 주요기업 관계자와 투자가, 전문가를 초청해 교류의 장을 만들었다. 특히 국내 투자의향을 밝힌 데크라와 드라이브시스템디자인 등 외국 3개 기업에 대해선 1대 1 전담관을 지정해 지원한다.정대진 산업부 투자정책관은 현장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대외신인도와 전 세계 77% 시장과 연결된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FTA) 플랫폼, 창의적 인재와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한 정보통신기술(ICT)과 제조 인프라를 어필하며 참여 기업의 투자를 당부할 계획이다.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국제행사와 연계한 투자유치 활동(IR)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9.05.09 I 김형욱 기자
농식품부·aT, 식품 취업희망 대학생 800명 대상 1박2일 교육
  • 농식품부·aT, 식품 취업희망 대학생 800명 대상 1박2일 교육
  • 농림축산식품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식품분야 취·창업 지망 청년(대학 3~4학년생) 800명을 대상으로 1박2일 교육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정부는 식품산업 인재 육성 차원에서 매년 이 같은 ‘식품산업 청년 일자리성공 종합지원 과정’을 운영해 오고 있다.교육 대상자로 선정되면 6~10월 사이에 권역별로 1박2일 합숙 교육을 받게 된다. 강원·충청권은 6월, 영남권은 7월, 호남권은 8월, 수도권은 10월 중 두 차례 진행한다. 교육 대상자 수는 지난해와 같지만 교육 횟수를 4번에서 5번으로 늘렸다.국내 주요 식품기업 인사담당자를 초청해 채용설명회를 열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다. 면접·자기소개서 컨설팅과 TED형 강연,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 식품기업 탐방 등 일정이 있다.참가 희망자는 5월13일부터 포털 네이버의 농식품미래기획단 커뮤니티 카페나 지역별 대학교 취업지원센터, 식품산업 전공학과 게시판 공고를 참조해 지원하면 된다.김덕호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식품·외식기업에는 우수 인재 유입 기회를 제공하고 취·창업 희망 청년에게는 취업역량 강화 기회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9.05.08 I 김형욱 기자
터키, 철강 세이프가드 철회…韓 기업 불확실성 해소
  • 터키, 철강 세이프가드 철회…韓 기업 불확실성 해소
  • 철강 제품 모습. 연합뉴스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터키 정부가 일정량 이상의 수입 철강재에 보호 관세를 매기는 세이프가드 조치 철회했다. 철강 수급에 차질이 있었던 국내 기업의 불확실성도 해소됐다.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터키 무역부는 7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철강 세이프가드 조사를 조치 없이 마친다고 발표했다.터키는 지난해 4월 철강 세이프가드 조사를 시작했다. 또 그해 10월엔 예바판정을 토대로 2015~2017년 평균 수입물량을 넘어서는 수입 철강재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잠정 세이프가드 조치를 시행했다.지난해 미국 정부는 사문화했던 무역확장법 232조를 이유로 철강 수입품에 최대 53% 고율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나섰고 이에 유럽연합(EU)과 터키를 비롯한 주요국도 세이프가드를 통한 자국 철강산업 보호에 나선 것이다.자연스레 우리나라의 터키 철강 수출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우리나라의 대 터키 철강수출량은 지난해 기준 81만8000t(약 8억5000만달러어치)이다. 국내 자동차 회사 생산공장이 있어 자연스레 생산에 필요한 국내 철강재를 수급해야 했다. 정부는 이에 포스코와 현대제철, 현대BNG스틸, 현대자동차 등 관련 기업과 함께 터키 정부에 세이프가드 철회를 요청해 왔다.터키가 이번에 철강 세이프가드 조사를 마치며 임시조치를 철회하면서 이 같은 불확실성도 해소하게 됐다.산업부 관계자는 “국제 세이프가드 확산 방지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라며 “최근 주요국 보호무역 확대 추세에 맞서 우리 기업에 우호적인 통상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계속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9.05.08 I 김형욱 기자
“현 전기요금 부담이지만 환경 위해선 일부 감수할 수 있어”
  • “현 전기요금 부담이지만 환경 위해선 일부 감수할 수 있어”
  • 전기 계량기. 뉴시스 제공[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현재 전기요금 자체는 부담이지만 환경을 위해서라면 상당 수가 월 수천원 수준의 추가 전기료 부담은 감수할 수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과 대한전기협회가 8일 국회에서 공동 주최한 ‘전기요금에 대한 국민인식 현황과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제1회 전력정책포럼)에서 이 같은 전기요금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2.7%가 월평균 전기요금이 3만~5만원 선이라고 밝혔다. 1만~3만원이 26.5%, 5만~7만원이 17.3%였다. 또 7만~10만원이 11.0%, 10만~20만원이 6.3%로 뒤따랐다.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1만원 미만(4.0%)과 20만원 이상(2.2%)도 있었다.전체 응답자 중 55.3%가 에어컨 사용량이 많은 폭염기간을 빼고도 체감 전기요금을 부담스럽다고 여겼다. 이중 매우 부담된다는 응답도 14.6%에 이르렀다. 부담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은 44.2%였다. 폭염기간을 포함하면 이 수치는 더 커질 수 있다.실제로 폭염기간에 전기료가 오르는 주 요인인 누진제에 대해선 응답자 72.4%가 불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26.5%에 그쳤다. 현재 정부가 논의 중인 누진제 완화 개편에 대해서도 79.2%(반대 18.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격이 올랐을 때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공공서비스 항목 설문에도 통신요금(33.6%) 다음으로 전기요금(25.1%)이 많았다. 대중교통 요금(19.5%)이나 가스요금(17.6%) 부담을 웃돌았다.응답자 62.5%(반대 32.3%)가 다양한 전기요금 제도 수용 의사를 밝힌 것도 내 요금이 낮아질 것이란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으로선 예측하기 어려운 국제 원자재(도매) 가격 변동 연동제 도입에 대해선 찬성(49.2%)과 반대(47.5%)가 팽팽히 맞섰다.그러나 현 전기료 체감과는 별개로 발전 단계에서부터 환경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선호도는 높았다. 응답자 63.4%가 재생에너지 선택 구매 제도 도입을 찬성했고 이들 중 가장 많은 24.1%가 4000~5000원의 요금 부담을 감수할 것이라고 답했다. 5000원 이상을 부담하겠다는 응답도 16.8% 있었다.석탄화력과 원자력 발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늘린다는 현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비용 변화에 대해서도 가장 많은 29.6%의 응답자가 ‘비용 변화는 중요치 않다’고 답했다. 또 25.7%는 비용 현저히 증가를 전망했고 22.9%도 비용이 다소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비용 변화가 없으리란 응답은 14.0%에 그쳤다. 적잖은 숫자가 비용 증가와 상관없이 재생에너지를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비용 증가가 예상됨에도 재생에너지를 위해선 어느 정도의 비용 부담을 감수하겠다고 답한 셈이다.이택수 대표는 “전기요금이 외국보다 싸고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한 보기드문 나라라고는 하지만 많은 국민이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러나 아이를 키우는 30~40대를 중심으로 미래세대 자연환경을 위한 전기요금 인상에 긍정적인 측면도 함께 나타났다”고 평가했다.소비자가 단순히 부담을 느낀다는 이유로 전기요금을 무조건 낮춰선 안된다는 제언도 있었다. 정연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어떤 재화라도 사람들에게 비용 부담을 물으면 부담 된다고 얘기한다”며 “국내 전기요금은 OECD(국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저렴한 편인데도 요금을 국가가 정하는 체계이다보니 부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실제 통계청 집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전기요금은 4만1000원대로 35개 OECD국 중 세 번째로 낮다. 전체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6%로 통신요금이나 대중교통 비용보다 적다.그는 이어 “가령 지난해 여름 무더위에 3500억원을 들여 누진제를 일시 완화했으나 이를 에어컨조차 없는 저소득층 가정을 지원하는 데 쓰였다면 더 효율적이었을 수 있다”며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전기요금을 낮추려는 논의가 아니라 왜 소비자가 (국제적으로 싼) 전기요금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지 검토하고 인식 전환을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9.05.08 I 김형욱 기자
퇴역 경주마 도살 동물학대 논란…농식품부·마사회 "관리 강화"
  • 퇴역 경주마 도살 동물학대 논란…농식품부·마사회 "관리 강화"
  • 미국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가 유튜브에 공개한 제주 도축장의 퇴역 경주마 도살 영상 캡처.[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동물보호단체가 제주의 한 도축장이 퇴역 경주마 도살 영상을 공개해 동물 학대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이에 전국 도축장의 동물보호법 준수 여부를 재점검하고 한국마사회와 함께 퇴역 경주마 관리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미국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는 지난 3일 약 4분에 이르는 제주 도축장의 퇴역 경주마 도살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하고 운영사인 제주축협을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또 성명을 통해 한국마사회의 무리한 경주마 수입으로 연 1600마리에 이르는 은퇴 경주마 상당수가 제주 도축장에서 도살돼 말고기 식당으로 보내진다며 비난했다.영상을 보면 퇴역 경주마가 전기충격기로 기절해 한쪽 다리만 묶인 채 들어 올려지는 과정을 다른 말이 지켜보다가 겁에 질린 듯 뒷걸음질치는 모습이 나온다. 아직 경기용 보호장비를 달고 있는 말도 있고 작업자가 막대기로 말의 얼굴을 때리기도 한다.같은 종의 동물이 보는 앞에서 다른 동물을 죽이거나 상해를 입히는 행위는 동물보호법 위반이다.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 벌금 부과 대상이다.농림축산식품부는 이에 지자체와 협력해 전국 149개 도축장의 동물보호법 준수 여부를 재점검하기로 했다. 경마 선진국에서도 말을 식용이나 사료, 화장품 재료로 사용하는 게 현실인 만큼 도축 자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순 없지만 최소한 그 과정은 인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또 마사회와 협의해 퇴역 경주마의 승용마 전환을 촉진하고 개인 마주가 경주마의 임의로 처분하는 일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퇴역 경주마 관리 체계를 마련키로 했다.마사회에 따르면 매년 1400여마리의 퇴역 경주마 중 700여마리는 승용마로 전환하고 약 150마리는 번식마로 활용한다. 또 150여마리는 폐사·안락사한다. 그러나 나머지 약 400마리 정도의 용처는 불분명하다. 경주마는 모두 개인 마주의 소유물이어서 경주마 땐 마사회가 말 복지를 엄격히 관리할 수 있지만 퇴역 이후 처분은 마주의 재산권 행사여서 관여가 쉽지 않다는 게 마사회의 설명이다.마사회는 퇴역 경주마 활용을 높이기 위해 학교승마나 재활승마, 힐링승마 등 승마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또 경주마를 포함한 모든 말의 생애 전 과정을 추적해 공개하는 말 이력체계를 구축기로 했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사건에 대해선 검찰 수사에 따라 필요한 법적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며 “전국 도축장에서 동물보호법 위반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퇴역 경주마 관리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2019.05.08 I 김형욱 기자
김수현 靑정책실장, 연구기관에 큰 역할 당부…“쓴 약 먹을 준비 돼 있어”
  • 김수현 靑정책실장, 연구기관에 큰 역할 당부…“쓴 약 먹을 준비 돼 있어”
  • 김수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연합뉴스 제공[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김수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이 쓴 약을 먹을 준비가 돼 있다며 국책연구기관에 가감 없는 정책 제언을 당부했다.김수현 실장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경사연)와 소속 26개 연구기관이 8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연 2019 대국민 연구성과 보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그는 “이번주로 정부 출범 2주년을 맞고 내주부터 3년차에 접어든다. 국민의 기대가 엄정한 평가로 바뀌는 시기”라며 “국책연구기관도 정부 정책의 공과를 국민 눈높이에서 객관적으로 진단해 칭찬할 건 칭찬하고 보완할 부분에 적극적으로 제안을 제시해 정부가 수용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김 실장은 이어 “정부는 입에 쓴 약을 먹을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경제사회인문분야 국책연구기관을 광범위하게 운영하는 독특한 나라인 만큼 정부도 이 중요한 사회적 자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관의 말을 경청하고 활용하도록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날 보고회는 정부에 정책 제언을 하는 역할을 하는 국책연구기관이 지금까지의 성과를 국민에게 알리고 평가받기 위한 취지에서 열린 행사다. 국책연구기관이 이 같은 취지의 행사를 연 건 이번이 처음이다.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정해구 위원장은 “국책연구기관은 지금껏 국민의 삶에 큰 영향을 주면서도 국민과 떨어져 해당 분야 전문가만 관여하는 영역처럼 여겨져 온 측면이 있다”며 “국책연구기관이 국민에게 보고하고 토론하는 자리는 이번이 처음인 만큼 전문성의 경계를 넘어 국민과 소통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귀중한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강신욱 통계청장은 “(국책연구기관) 연구자의 노력과 성찰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믿는다”며 “통계청이 만든 통계 숫자를 더 힘 있는 존재로 만들어주는 연구기관과 합심해 국민을 위한 정부를 만들려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경사연은 이날 행사에서 혁신·포용·평화로 여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다양한 주제발표와 분야·연구원별 보고를 진행했다. 또 우수 연구기관과 연구자에 대한 시상도 했다.
2019.05.08 I 김형욱 기자
'사상최대' 수출 대기업이 67% 견인…중견기업도 선전
  • '사상최대' 수출 대기업이 67% 견인…중견기업도 선전
  • 부산항 감만부두와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 부문에서의 대기업 집중 현상은 여전했다. 다만 중견기업이 대기업 이상의 높은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기준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속보)를 8일 발표했다.지난해 대기업 수출액은 전년보다 6.2% 늘어난 4038억달러였다. 전체 수출의 67.0%를 차지했다. 대기업이 2018년 역대 최대 수출액(6052억달러·약 708조원)을 기록한 데는 가장 큰 역할을 한 셈이다.대기업 중에서도 상위 기업의 집중도가 컸다. 지난해 수출 상위 10대 기업의 수출액은 전년보다 10.4% 늘어난 2288억달러였다. 10대 기업이 전체 수출의 38.0%를 차지한 것이다. 100대 기업으로 범위를 넓히면 전년보다 5.7% 늘어난 4028억달러로 전체의 66.9%를 차지했다.전체적으론 대기업 집중도가 여전히 컸으나 중견기업도 선전했다. 지난해 수출액은 970억달러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1%였으나 전년대비 증감으로는 6.8%로 대기업을 웃돌았다. 중견기업은 특히 미국이나 유럽연합(EU) 등 주력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했다.중소기업 수출액은 1016억달러로 총액이 중견기업보다 컸으나 전년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치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9%로 전년보다 감소했다.업종 편중도 여전했다. 지난해 전체 수출의 84.1%인 5068억달러는 광제조업 수출액이었다. 도·소매업은 744억달러로 전체의 12.4%에 그쳤다. 기타 산업이 212억달러(비중 3.5%)였다.지난 한해 우리나라 수입 역시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수입액은 전년보다 15.7% 늘어난 3284억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62.2%를 차지했다. 중견기업은 9.3% 늘어난 763억달러로 전체의 14.5%였다. 중소기업은 3.1% 늘어난 1232억달러로전체의 23.3%를 차지했다.기업규모별 무역액. 통계청 제공
2019.05.08 I 김형욱 기자
지진 촉발 포항 지열발전 부지 복구 ‘스타트’
  • 지진 촉발 포항 지열발전 부지 복구 ‘스타트’
  • 8일 서울 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포항 지열발전 부지안전성 검토 대책반(T/F) 1차 회의 참가자가 기념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 다섯 번째가 위원장을 맡은 이강근 서울대 교수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지진을 촉발한 것으로 결론 난 포항 지열발전 부지에 대해 본격적으로 복구 작업에 착수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오전 10시반부터 정오까지 서울 무역보험공사 11층 대회의실에서 포항 지열발전 부지안전성 검토 대책반(T/F) 1차 회의를 연다고 이날 밝혔다.2017년 11월 포항시 인근에 역대 두 번째인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정부는 인근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촉발했다는 의혹에 지난해 3월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한 조사단을 꾸려 정밀조사를 했고 조사위는 올 3월 당시 지진이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고압의 물이 지진 본진을 촉발했다고 결론 내렸다. 정부는 이 결과를 수용하고 국내 첫 지열발전소인 이곳을 원상 복구키로 했다.포항 지열발전 부지안전성 검토 T/F는 지난 1년 동안 포항 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으로 활동한 이강근 서울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삼고 대한지질학회 추천 교수 5명과 한국자원공학회 추천 교수 2명, 포항시 추천 교수 3명과 시의원 2명, 시민활동가 1명 등 총 14명으로 구성했다. 대한지질학회 추천 5인은 모두 조사연구단에 참여했던 인사다. 여기에 한국자원공학회가 암반공학과 시추 분야 전문가 2명을 추천했다. T/F는 이날 1차 회의에서 앞으로의 활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전공분야별로 실무분석팀을 구성·운영해 전문적인 검토를 해나가기로 했다. 저명한 해외석학을 추천해 초빙하는 안도 추진한다. 이들의 활동 기간은 6개월로 정하되 필요에 따라 연장·단축할 수 있도록 했다.산업부는 이들 T/F 구성원의 의견을 토대로 지열발전 부지를 안전하게 복구한다는 계획이다. 이은호 산업부 포항 지열발전 조사지원단장은 “정부는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해 가능한 모든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T/F 권고안에 대해서도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조속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위치한 지열발전소가 모든 연구 활동을 멈춘 채 서 있다. 뉴시스 제공
2019.05.08 I 김형욱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 공포증 전세계 확산…‘금겹살’ 우려에 사재기도
  • 아프리카돼지열병 공포증 전세계 확산…‘금겹살’ 우려에 사재기도
  • 이개호(오른쪽 3번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올 2월25일 인천공항에서 현장 검역 관계자로부터 불법 휴대 축산물 실태를 보고받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조모씨(35·서울 광진구)는 지난달 말 국산 돼지고기 7㎏(약 7만원)를 한꺼번에 사서 냉동 보관했다. 평소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 편은 아니었으나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유입 우려가 커진다는 소식에 혹여나 가격이 오를까 미리 사둔 것이다.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유입 우려가 확산하면서 소비자 사이에서는 돼지고기 가격 상승, 이른바 ‘금(金)겹살’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격이 오르기 전 돼지고기를 ‘사재기’하는 웃지 못할 풍경도 나타나고 있다.◇세계 최대 생산국 中 휩쓸며 전 세계 ‘긴장’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치명적인 돼지전염병이다. 구제역과 달리 이를 막을 백신도 없어 일단 퍼지기 시작하면 감염 돼지를살처분하는 것 외엔 막을 방법이 없다. 스페인·포르투갈은 1960년대 퍼진 이후 전염병을 완전히 근절할 때까지 무려 30년이 걸렸었다.지금까지 우리나라에게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남의 일’에 가까웠다. 1920년도 아프리카에서 처음 확인한 이후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 국가에만 발생했기 때문이다.지난해 8월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이웃 국가인 중국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으로 퍼졌고 올 들어선 몽골과 베트남, 캄보디아로 전파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 4억~5억마리의 사육돼지 중 1억~2억마리가 폐사했다는 추정이 나온다.중국은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이어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부상했다. 미 최대 육가공업체 타이슨 푸드의 노엘 화이트 최고경영자(CEO)는 6일(현지시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미국에 상륙할 가능성도 있다”며 “전례 없는 위협”이라고 말했다.올 3월7일 인천공항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소속 검역견이 여행객 수하물에서 불법 휴대 축산물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주변국 에워싸듯 퍼지며 국내도 ‘일촉즉발’국내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다. 일단 유입하면 돼지고기 가격 급등으로 ‘금겹살’이 현실화할 수 있어서다. 안 그래도 회식 문화 변화로 약세였던 돼지고기 가격은 최근 봄 행락철을 맞아 예년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 올 5월 평균 삼겹살(국산 냉장 기준) 가격은 100g에 1941원으로 전년(1835원) 5.8% 높은 수준이다.여기에 아프리카돼지열병까지 퍼진다면 정부도 손 쓸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있다. 1960년대 스페인이나 현 중국처럼 양돈 농가가 궤멸한다면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베트남도 올 2월 첫 발생 이후 불과 2개월 만에 200건 이상 발생하며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방역 당국은 지난해 8월 이후 국경 방역 인력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으나 긴장감은 더 커지고 있다. 발생국이 점차 우리 주위를 에워싸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지난해 8월 이후 국경 검역 과정에서 여행객의 소시지와 순대, 만두 등 돈육가공품에서 15건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나왔다.◇당정 긴급회의 “축산물 반입 과태료 500만원 상향”위기감이 커지자 더불어민주당과 농림축산식품부은 한층 더 강화한 고강도 대책을 내놨다. 당정은 7일 국회에서 긴급 당정회의를 열고 올 6월부터 축산물 반입금지 위반 과태료를 현 10만원에서 최대 500만원으로 50배 높이기로 했다. 3회 위반 땐 1000만원의 과태료를 내도록 관련법을 개정한다.또 다른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경로로 꼽히는 남은음식물 사료 급여 양돈농가에 대해서도 당분간 자가 급여를 제한한다. 이를 아예 금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현재 267개 양돈 농가가 잔반 사료를 주고 있다.나머지 6300여 전체 양돈농가에 대해서도 2730명의 담당 공무원을 지정해 월 1회 이상 방문해 방역 실태를 살필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야생멧돼지를 통한 감염 차단을 위해 경기와 강원북부 접경지역 개체 수 조절도 추진한다.정부는 오는 9일 이를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국내) 발병 땐 양돈업계는 물론이고 사료와 육가공업체, 일반음식점에 이르기까지 피해 규모가 2011년 구제역 파동 이상 클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는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한 외교적 대응과 국내 방역체계 점검 등 종합 대책을 수립해 달라”고 당부했다.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 네번째)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 당정 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019.05.07 I 김형욱 기자
농협식품, 100% 국산농축산물 가공식품 ‘100 시리즈’ 잇따라 출시
  • 농협식품, 100% 국산농축산물 가공식품 ‘100 시리즈’ 잇따라 출시
  • 농협식품이 최근 출시한 100 시리즈 농협아름찬 제주 국산콩 콩나물. 농협식품은 주원료를 100% 국산 농축산물로 만든 가공식품을 ‘100 시리즈’로 묶어 상품화할 계획이다. 농협식품 제공[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농협식품이 주원료가 100% 국산 농축산물인 가공식품 ‘100 시리즈’를 잇따라 출시한고 7일 밝혔다.첫 상품은 제주지역농협의 ‘농협아름찬 제주 국산콩 콩나물’이다. 제주 해풍을 맞고 자라 잘고 단단한 제주콩만을 사용한 제품이다. 농협식품은 이 제품으로 3년 전부터 수입산에 주도권을 내준 국내 콩나물 유통 시장 재탈환을 꾀한다는 각오다.농협식품은 또 국산 쌀 100%로 만든 ‘쌀누룽지’ 100 시리즈도 출시했다. 그밖에 원당·기린·안동 등 3개 지역농협이 함께 내놓은 ‘농협아름찬 국산콩두부’도 100 시리즈 타이틀을 달고 새로이 나온다. 포기김치인 ‘농협 아름찬김치’와 채소 원물로 만든 간식 ‘채소미각’도 100 시리즈의 이름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농협식품은 앞으로도 100 시리즈를 계속 출시해 늘어나는 수입 농축산물의 공세 속에서 국내 농·축산업의 활성화를 꾀할 계획이다. 시중에도 ‘국산’을 붙인 농축산 가공식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나 주원료 중 일부는 수입산이 섞여 있는 게 보통이다. 농협식품은 213만여 조합원이 1000여 지역 농·축협에서 활동하는 농협 조직 중 농협경제지주 산하 식품 부문 계열사이다.조완규 농협식품 대표이사는 “농부가 땀 흘려 재배한 농산물이 우리 식탁 위 귀한 음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100 시리즈를 내놓게 됐다”며 “국산 농축산식품 산업 보호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05.07 I 김형욱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