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카를로스 곤 "닛산-미쓰비시 완전 합병은 없다"
  • 카를로스 곤 "닛산-미쓰비시 완전 합병은 없다"
  •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 회장.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 회장이 일본 닛산자동차와 지난해 그룹 내 편입된 미쓰비시자동차의 완전 합병 가능성을 부인했다.곤 회장은 2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 미쓰비시 신공장 개관식에서 두 회사의 완전 합병 가능성 질문에 “완전 합병 검토 계획은 없다”며 “미쓰비시는 독자적으로 재건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프랑스 르노자동차 출신의 곤 회장은 1999년 경영난에 빠진 닛산을 인수해 성공리에 정상화시킨 데 이어 지난해 연비조작 논란 속 위기에 빠진 미쓰비시까지 인수해 3개 그룹 회장을 겸임하고 있다. 그는 미쓰비시 재건에 집중하기 위해 최근 닛산 최고경영자(CEO)에서 물러나 회장직만 유지하고 있다.곤 회장은 그러나 “미쓰비시가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닛산의 다목적자동차(MPV) 부품을 생산하는 건 합리적인 일”이라며 양사를 별개로 운영하되 서로 협력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르노와 닛산 역시 별개 브랜드와 별개 전략으로 움직이지만 필요에 따라 부품공급·생산망을 공유하고 있다. 르노의 자회사 르노삼성이 부산 공장에서 닛산의 북미수출용차량 ‘로그’를 위탁생산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2017.04.25 I 김형욱 기자
美 연방통신위원장 26일 강연…망중립 반대 본격화?
  • 美 연방통신위원장 26일 강연…망중립 반대 본격화?
  • 아지트 파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미국 내 망 중립성 원칙 폐기가 본격화할 전망이다.아지트 파이(Ajit Pai·44)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인터넷 규제의 미래’란 주제로 강연하면서 망 중립성 폐기를 위한 앞으로의 계획을 밝힌다고 로이터통신이 24일 취재원을 인용해 보도했다.망 중립성(Net-Neutrality) 원칙이란 유·무선 네트워크 사업자가 망(Net)을 이용하는 모든 콘텐츠를 똑같이 취급하는 정책이다. 개인이든 콘텐츠(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든 망 이용 요금이 똑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통신사는 콘텐츠 사업자가 망에 ‘무임승차’해 수익을 낸다며 이 원칙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또 콘텐츠 사업자는 이미 고객이 망 이용료를 내는 만큼 본인까지 이용료를 내는 건 ‘이중 부과’라며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 이를 결정하는 FCC는 2015년 표결에서 3대2로 콘텐츠 사업자의 손을 들어줬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올 1월 취임 직후 선임한 파이 위원장은 대표적인 망 중립성 원칙 반대론자다. 이 원칙 폐기를 바라는 미 통신사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의 변호사로도 일했었다. 로이터의 이 취재원은 파이 위원장이 오는 5월18일 FCC 회의 때 당장 망 중립성 유지에 대해 찬반투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파이 위원장 측은 이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
2017.04.25 I 김형욱 기자
美, 캐나다산 연질 목재 수입사에 반덤핑 관세 부과 추진
  • 美, 캐나다산 연질 목재 수입사에 반덤핑 관세 부과 추진
  • 캐나다달러 추이. /FT[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캐나다산 연질 목재(softwood lumber) 기업들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추진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이날 FT와의 인터뷰에서 다섯 곳의 캐나다 목재 수입업자에 대해 3~24%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캔포(Canfor), 제이디 어빙(J.D.Irving), 레졸루트 에프피 캐나다(Resolute FP Canada), 톨코 마케팅(Tolko Marketing), 세일즈 앤드 웨스트 프레이저 밀스(Sales and West Fraser Mills) 5개사다.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9일 취임 100일째를 맞는 가운데 좌초 위기에 놓인 무역 정책에 다시 한번 고삐를 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로스 장관은 “우리는 이들에게 덤핑 관행을 지적해왔으나 이들은 멈추지 않았다”며 “우리는 이 관세를 90일 전까지 소급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미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 내 캐나다산 연질 목재 시장점유율은 약 31.5%로 그 규모가 50억달러(약 5조3000억원)에 달한다. 로스는 이들 캐나다 목재 회사가 미국 내 평균 목재 가격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한편 로스 장관의 발언 직후인 25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의 캐나다달러 가치는 전날보다 0.3% 떨어진 (미국)달러당 1.3541캐나다달러로 약세다.
2017.04.25 I 김형욱 기자
  • 우버, 경쟁사 리프트 운전자 불법 위치추적 혐의로 피소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차량공유 회사 우버(Uber)가 경쟁사인 리프트(Lyft) 운전자의 위치를 추적했다는 혐의로 피소됐다.마이클 곤잘레스를 비롯한 리프트 드라이버는 24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법원에 우버에 대해 집단 소송했다. 우버가 비밀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헬(Hell)’을 이용해 리프트 운전자 동의 없이 위치를 추적하면서 전자통신보호법을 위반했다는 것이다.헬은 리프트 승객을 가장해 인근 리프트 드라이버의 위치를 모니터하는 소프트웨어(SW)다. 우버는 우버와 리프트를 동시에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더 많은 보상 체계를 줌으로써 경쟁자를 무력화하는 데 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그램은 1년 전까지만 사용됐으나 이 사실은 현지 IT전문매체 ‘더 인포메이션’의 한 달 전 보도로 뒤늦게 알려졌다. 우버는 이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한편 차량공유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등을 이용해 운전자와 탑승자를 연결해주는 것이다. 앱을 매개로 누구나 택시 운전사나 이용자가 될 수 있는 셈이다. 선두주자인 우버가 미국을 중심으로 급성장하고 2인자 리프트 등이 이를 뒤쫓고 있다. 특히 우버는 최근 최고경영자(CEO)의 막말과 도널드 트럼프 지지에 따른 불매운동, 사내 성추행 은폐 등 각종 추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7.04.25 I 김형욱 기자
테슬라, 모델3 車공장 가동 계획도 파격… '괜찮을까'
  • 테슬라, 모델3 車공장 가동 계획도 파격… '괜찮을까'
  •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모델S·모델X 등 파격적인 고성능 전기차를 앞세워 자동차 업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국 테슬라가 첫 대중 전기차 모델3 양산을 위한 공장 건설 때도 파격적인 방식을 도입한다.테슬라가 모델3 양산 라인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프로토타입을 투입한 시험생산 없이 즉시 실제 생산에 나선다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간) 전했다.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말했던 9월 양산 체제 시기를 맞추기 위해 속도전에 나선 것이다. 시장은 머스크가 다시 한번 자동차 업계의 통념을 깨려 한다는 점에서 기대와 함께 우려도 하고 있다. 생산 공정을 줄이는 건 모든 자동차 회사의 숙원이지만 어느 회사도 시험생산 과정을 생략한 적은 없다.테슬라는 모델3 양산 기대감에 올 들어 주가가 39% 급등했다. 전통의 자동차 왕국 포드를 시가총액 면에서 앞섰으며 한때 세계 3대 자동차 회사인 제네럴모터스(GM) 시가총액도 앞섰다. 테슬라는 모델3를 연 50만대씩 양산할 계획이다. 현 모델S·모델X 총 생산대수가 10만대라는 걸 고려하면 다섯 배 이상 생산한다는 것이다. 올리버 와이먼의 제조 컨설턴트 론 하버는 “머스크가 (자동차 생산) 공정에서 얼마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지 도전에 나섰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 전문가는 테슬라의 이 도전에 우려하고 있다. 시험생산에서의 조정 없이 양산을 시작했다가 문제가 생긴다면 이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시간과 돈이 들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테슬라는 연 10만대를 생산하는 현재도 품질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생산 규모가 훨씬 더 큰 모델3를 충분한 검토 없이 양산한다면 리콜이나 보증 비용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 최대 소비자단체 컨슈머리포트의 제이크 피셔는 “정말 실험적이다”며 “테슬라가 오류를 빠르게 바로잡고 생산 공정에 속도를 낼 수도 있지만 예상치 못한 문제를 만나 고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2017.04.25 I 김형욱 기자
오바마 전 대통령, 美시카고서 연설…지역 청년 만나
  • 오바마 전 대통령, 美시카고서 연설…지역 청년 만나
  • 버락 오바마 대통령.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퇴임 후 처음으로 공식 행보에 나선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24일 시카고대학교에서 젊은 지역사회 리더를 대상으로 연설키로 했다고 뉴욕타임스(NYT)를 비롯한 현지 언론이 전했다. 이 대학에는 오바마 기념관이 들어설 예정이다.정치적으로 반대편에 선 후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취임 100일을 앞둔 가운데 오바마가 처음으로 공식 행보에 나서면서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바마 측근은 그가 이를 시작으로 전직 대통령으로서 활발한 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장 5월7일 보스턴을 찾아 강연한다.오바마 전 대통령은 이에 앞선 23일 시카고에 도착해 ‘진짜 경제 운명을 만드는 시카고(CRED, Chicago Create Real Economic Destiny)’란 복지 프로그램을 통해 어려움을 겪은 청소년을 만났다. CRED는 스물다섯 살의 청년 오바마가 30년 전 몸담은 단체다. 설립자 안 던컨은 오바마 정부 때 교육장관을 지냈다. 오바마 전 대통령 대변인은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청소년기 도전에 대해 이야기해줬다”며 “폭력, 빈곤, 실업을 없애기 위한 오바마 재단의 첫 번째 노력”이라고 밝혔다.오바마 대통령이 활동을 재개하지만 어디까지나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활동일 뿐 현 트럼프 대통령 정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할 가능성은 작다고 NYT는 오바마 측근을 인용해 전했다. 강연이나 발언 주제는 시민 참여나 지구 살리기, 민주주의, 시민권, 청년 등 좀 더 광범위한 주제가 되리란 것이다.
2017.04.24 I 김형욱 기자
日 “민간 인공위성 우주공간 사고 땐 정부가 손실 보전”
  • 日 “민간 인공위성 우주공간 사고 땐 정부가 손실 보전”
  •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일본 정부가 우주산업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일 정부가 5월 중 법 개정을 통해 민간 기업의 우주산업 참여를 높이는 ‘우주산업 비전’을 정리할 계획이라고 일본경제신문(닛케이)이 24일 보도했다. 일본도 현 정부 중심의 우주산업을 유럽·미국처럼 기업 중심으로 활성화하자는 취지다.기업 등 민간의 인공위성이 사고로 손실을 보면 정부가 일정액을 넘는 금액을 정부가 모두 보상해주는 방안이 핵심적으로 검토된다. 현재도 위성이 발사 중 낙하해 실패하면 민간보험과 정부보상을 조합해 수당을 지급하고 있는데 이 보상 범위를 우주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르면 내년 정기 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안을 낼 계획이다. 영국, 네덜란드 등은 위성끼리의 충돌 등에 대비해 법 정비를 추진 중이다.관련 유망 벤처기업에 대해 정부 연관 금융기관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민간 수요가 많은 소형 로켓 개발 및 발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도 박차를 가한다. 연내 현재 일본 내 2곳(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우치노우라 우주공간관측소) 외에 새로운 발사장 확보를 위해 지자체로부터 입지 신청을 받는 체제도 만들기로 했다.한편 우주 산업은 전 세계 2000억달러(약 230조원) 시장으로 추산되고 있다. 각국 벤처기업은 아이디어로 자금을 모으는 중이다. 싱가포르의 벤처 기업 아스트로스케일은 우주 공간의 쓰레기(파편)를 제거하는 소형 위성을 2019년 상반기에 쏘아 올릴 계획이다. 미국 스페이스X는 4000기 이상의 위성을 활용해 전 세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구상도 갖고 있다.
2017.04.24 I 김형욱 기자
‘환경 대신 개발…’ 트럼프, 이번주 새 행정명령 서명 예고
  • ‘환경 대신 개발…’ 트럼프, 이번주 새 행정명령 서명 예고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지난 1월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환경보호를 이유로 중단됐던 미국 내 2개 송유관 건설 강행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 후 이를 내보이고 있다. /AFP[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주 중 환경·에너지와 관련하나 새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23일(현지시간) 로이터가 익명의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전부터 온실가스를 비롯한 환경 문제를 음모론으로 치부하며 기존 화석연료 자원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또 앞선 1월 취임과 동시에 환경보호를 이유로 막혔던 미국 내 2개 송유관 건설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지난달에도 트럼프의 ‘청정전력 계획(Clean Power Plan)’ 재검토 명령에 서명했다.이 관계자는 “(이번주 서명할 행정명령은)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송유관 건설 추진과 함께 에너지 생산의 혁신과 에너지 생산 기업의 불필요한 부담을 줄여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로이터는 트럼프 정부가 수요일(26일) 1906년 발표한 ‘문화재관리법(1906 Antiquities Act)’ 관련 내용을 손본 후 금요일(28일) ‘미국 최우선(America First)’라는 이름의 에너지 정책에 서명하리라 전망했다.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고 환경·문화 자원 훼손에 가로막힌 원유 시추나 광산 채굴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한편 오바마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 때보다 ‘문화재관리법’을 엄격히 적용했다. 유타·네바다 주(州) 160만에이커(약 6500㎢)가 새로이 문화보호지역으로 지정했으며 대서양과 북극해 일부의 원유 시추를 금지했다.
2017.04.24 I 김형욱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