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근로장려금 확대해 을과 을 갈등 끝내자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다음은 9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1면-근로장려금 확대해 을과 을 갈등 끝내자-태풍 ‘카눈’ 전국이 영향권…尹 “위험지역 선제적 통제하라”-‘HBM시장 1위’ SK 따라잡은 삼성-‘파트타임 천국’ 네덜란드…60세도 “은퇴 아직 멀었죠”-[사설]고삐 못 잡는 근원물가, 긴축 기조 당분간 지속해야-[사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한미일 회담에 올릴 이유 없다△종합-묻지마 흉기 난동은 ‘코로나 후유증’ 청년 정신건강 관리체계 마련 절실-KB금융 ‘포스트 윤종규’ 윤곽 허인·이동철·양종희 후보 포함△연중기획 - 대한민국 나이듦-쇼핑하고 노래하고 친구 사귀고…기억 잃어도 일상은 잃지 않는 천국-“연금 충분하고 노인 일자리도 많아…노후 걱정 없죠”-“노동시간·임금 줄이고 정년연장…노인·기업 윈윈 합의”△태풍 ‘카눈’ 북상에 총력 대응-12년 전 침수·인명피해 ‘산바’급 위력…강풍·물폭탄 전국 할퀸다-11일 상암서 K팝 공연·퇴영식…인파 밀집 대응 촉각-쪽방촌 찾은 與민생특위 “냉방약자 ‘에너지 바우처’ 한도 상향 검토”△전문가와 함께 쓰는 스페셜리포트-英 저소득층 지원, 韓의 4배…복지 현실화해 최저임금 의존도 낮춰야-매년 공익위원 공정성 논란…“정부 개입 최소화해야”-내년 하한액 월 189만원…‘최저임금 연동’ 실업급여 개선 필요△종합-수입 급감에 상반기 경상수지 ‘깜짝 흑자’…하반기는 ‘안갯속’-조기 복귀, 안보 챙긴 尹…“드론작전사령부 임무 막중”-신규계좌 이체한도 ‘30만원 족쇄’, 올해 안에 푼다-삼성·SK ‘HBM 왕좌’ 쟁탈전 K반도체 ‘메모리 1위’ 굳히기△정치-野 “지역구 줄여 비례대표 60석으로 확대”…與, 선거제 개혁안 받을까-태풍 대비 점검차 기상청 방문 김기현 “호우재난문자 확대 검토”-자영업자·소상공인과 간담회 이재명 “가계부채 심각, 대책 시급”-골프대회 재개·항저우 AG 참가…‘스포츠 외교’ 카드 꺼낸 北, 왜?△경제-예산 깎인 출연연…북한 연구비부터 줄였다-여성 임금, 남성의 60% 수준…성별격차 27년째 OECD 최하위-폭염 가니 태풍…전력당국 연일 ‘초긴장 모드’-제조업 국내공급 3분기째 내리막…전자·통신 등 부진△금융-“우리도 상속세 깎아달라” TF까지 꾸린 저축은행들-“이사회가 탁월한 CEO 선임할 것” 윤종규 KB회장, 주주에 친필 서한-주담대 7%대 근접…영끌 대출족 부담 다시 커지나-이복현 “횡령사고 원인·내부통제 철저히 점검”△Global-소비·지출 부진한데 물가는 내리막…中 ‘D의 공포’ 확산-‘아마존 저승사자’ 리나 칸 드디어 칼 뺀다-TSMC, 독일에 첫 유럽공장 건설-美장기국채 금리 치솟는데…매수 권하는 월가-MS ‘빙챗봇’ 크롬서도 쓴다△산업-세계 3대시장 인도로 간 정의선…“퍼스트 무버 입지 다진다”-STX, 니켈광산 지분 인수 이차전지 소재 기업 도약-“80조 폐배터리 시장 곧 뜬다” 재활용사업 뛰어드는 기업들-‘친환경 사업 전환’ 팔 걷어붙인 상사들-‘힐링미 오브제컬렉션 아르테’ LG전자 안마의자 9일 출시△ICT-사전예약 100만대 넘었다…화면 키운 삼성 갤럭시Z ‘흥행’-‘2분기 실적 양호’ 통신3사, 신사업에 힘 더준다-정부, 법원에 판결문 공개확대 지속 요청…리걸테크 활성화 지원-신상·할인 소식 한눈에 카톡 ‘마이스토어’ 오픈△소비자생활-고물가에도…2분기 장사 잘한 ‘편의점 빅2’-새만금 잼버리 조기 철수…유통가 ‘대략난감’-1년도 안돼 또 주인 바뀐 완구업체 손오공…혼란 불가피-‘애슬레저 리딩기업’ 안다르 2분기 매출 616억 신기록△세상을 변화시킬 미래기술 시즌6-코로나 이어 암·결핵·독감까지…개인 맞춤 백신시대 연다-삼성·SK바이오·LG화학…국내서도 mRNA 기술 확보 잰걸음-美日 백신개발 성공 비결 ‘정부 전폭지원’△증권-배터리서 반도체·로봇으로…ETF 머니 무브-로켓주목 쏘았다…로봇주 V자 반등-해외행 항공권은 동났다는데 휴가철 못 즐기는 여행주, 왜△증권-상한가 초전도체株, 美연구진 한마디에 ‘와르르’-하반기 AI 서비스 앞세워…돌아온 ‘네카오’-공모주 14개 중 5개 상장일 수익률 ‘마이너스’-한국한 나스닥 만들었지만…코스닥 기업들 “큰 집 갈래”△부동산-돌파구 찾아라…LH, 개혁안 용역 잇단 발주-서부선 경전철 연말착공…15년 숙원 풀리나-“비싼 감리비에도 무너진 LH…분양원가 공개해야”-집값 반등에 청약시장 다시 ‘활활’△건강-운동 중 ‘무릎 뚝’…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재파열 방지’ 성과 탁월-폭염 속 독감·코로나 급증…면역력 관리할 때-팔이 아픈데 오십견?…어깨 방치땐 손목까지 통증 확산△BOOK-오해·혐오·외면…우영우, 편견속 길을 잃다-부부의 심미안, 삼성家 컬렉션을 만들다-우리가 착하게 살지 못하는 여섯가지 이유△오피니언-교권을 살리려면-기후위기 시대, 건설산업이 갈 길-[기자수첩]정부, 결자해지 자세로 규제개혁 나서야△피플-번스타인 집중 조명…불꽃놀이 같은 무대 선보일 것-최재형 지사 부인 유해 韓도착…14일 현충원서 부부 합장식-농협, 내일부터 추석선물세트 사전 예약 할인행사 실시-LS전선, 강원도 동해시 학대 피해 아동 등에 1억원 지원-김유신 OCI 대표, ‘1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사회-반지하는 습하고 옥탑은 불볕…“여기가 지·옥”-손주 돌보는 조부모에 월 30만원…서울시, 내달부터 지급-상속세 아끼려 회사와 짜고 주식 매매…윤경립 유화증권 대표 법정구속-“가방 좀 봅시다” 불심검문 10cm 잭나이프·식칼 줄줄이-살인예고문, 최대 징역 10년 청소년도 형사처벌 가능성
- [마켓인]잇따른 매각 불발 '타다'…무엇이 문제였나
- [이데일리 김근우 기자] ‘타다’ 운영사 VCNC의 경영권 매각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경영상 위기를 겪고 있는 VCNC로서는 앞서 ‘아이엠택시’ 운영사인 진모빌리티와의 합병안이 좌초된 것에 이어 또 한번 계획이 틀어지게 됐다.8일 업계에 따르면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는 ‘타다’ 운영사인 VCNC 지분을 더스윙에 매각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이 같은 의사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유 킥보드 플랫폼 더스윙은 비바리퍼블리카가 보유한 VCNC 지분 60% 인수를 추진해왔다. 현재 VCNC 지분은 비바리퍼블리카(60%)가 최대 주주로, 쏘카(403550)(40%)가 2대 주주로 자리하고 있다.더스윙은 공유 전통 킥보드와 전기 이륜차 등 퍼스널 모빌리티(PM)뿐 아니라 사륜차로 사업 영역을 넓혀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으나, 계획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비바리퍼블리카 측은 더스윙 측에 지분을 매각하기보다는 직접 운영을 하겠다는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다만 더스윙 측은 비바리퍼블리카 측에서 일방적으로 매각 의사를 철회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스윙 앱에서 타다를 부르는 기능까지 개발하는 등 인수를 위한 준비를 마쳤지만, 매각 측이 의사를 번복했다는 입장이다.더스윙 관계자는 “이메일로 텀시트(Term-Sheet)까지 주고 받고, 이사회에 안건을 상정하기로 하는 등 태핑(Tapping) 단계를 넘어서는 논의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쏘카와 합의를 해오면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해주겠다고 해 쏘카가 제시하는 어려운 조건까지 대부분 수용하기로 했지만, 갑작스레 주말에 철회 의사를 밝혀와 당혹스럽다”고 밝혔다.더스윙은 비바리퍼블리카의 VCNC 지분 60%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2대 주주인 쏘카와 일부 갈등을 겪은 바 있다. 쏘카는 VCNC에 대여한 70억원의 차입금과 이자에 해당하는 더스윙 지분이나 이사회 참석권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스윙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기로 했는데도 거래가 성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비바리퍼블리카 측은 절차상 법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매각 논의가 무산되는 일은 업계에서 흔한 만큼, ‘일방적인 철회’나 ‘파기’ 라는 표현은 맞지 않으며,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는 입장이다. 텀시트는 투자 본계약 체결에 앞서 주요 조건을 요약한 문서지만, 법적인 구속력은 없는 것이 통상적이다.비바리퍼블리카(토스) 관계자는 “스윙(안)은 유력안 중 하나였던 것은 맞으나 최종적으로 결정하지 않기로 했다”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나 MOU 등의 어떤 계약서 서명도 없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구조조정의 자구책과 수익성 개선도 나타난 만큼 자체 운영하며 더 효율적인 운영안을 찾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업계에서는 토스 측이 투자금 대비 손실을 보고 매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 자체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는 지난 2021년 VCNC 지분 60%를 600억원에 쏘카로부터 사오며 경영권을 취득한 바 있다. 더스윙 측과 논의했던 지분가치가 240억원 수준으로 알려진 만큼, 투자금의 반도 건지지 못하는 거래가 될 수 있었던 셈이다.업계 관계자는 “최근 토스뱅크 위기설이 불거지는 등 유동성과 관련한 논란이 있었던 상황에서, 야심차게 인수한 타다가 실패한 딜로 남는 것을 원치 않았을 것”이라며 “조금 더 값을 올려 매각해보겠다는 생각이 결국 변심하게 된 요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밝혔다.타다 운영사 VCNC는 지난해 매출액 41억원, 영업손실 26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상태에 있다. 결손금이 592억3844만원에 달하는 등 자금난을 겪고 있다. 비바리퍼블리카는 토스의 금융 플랫폼과 모빌리티 플랫폼의 시너지를 추구했으나, 실적이 악화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합병이나 매각 등을 추진해왔다.
- “친환경 사업 확대”…‘포트폴리오 전환’에 두 팔 걷은 상사들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국내 종합상사 업계가 각 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주요 이슈로 ‘친환경 사업 전환’을 꼽고 관련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나섰다.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따라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하기 위해선 친환경 사업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데 업계가 공감대를 이룬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이 조성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태양광 발전 단지 (사진=삼성물산)◇삼성물산, 태양광·수소·SMR·배터리 재활용 사업 강화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028260)은 최근 발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주요 8대 ESG 이슈 중 하나로 ‘친환경 기술 투자’를 꼽았다. 친환경 사업 전환을 위한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삼성물산은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1조5000억~2조원을 투자해 △태양광 △수소 △소형모듈원자로(SMR)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태양광 발전 사업 부문에서 2025년까지 25기가와트(GW) 이상의 태양광 개발 가능 자산을 확보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웠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프로젝트 기획부터 부지 사용권 확보, 전력 계통 연결 평가, 인허가 등 발전소 착공 직전 단계에 이르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기획·판매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현재 미국·호주에서 누적 기준 16.2GW 이상의 태양광 안건 포트폴리오를 개발·투자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4GW의 개발 자산을 매각한 바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태양광 발전소 EPC(설계·시공·조달) 사업 개발 참여·운영, 상사부문은 태양광과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결합사업 프로젝트에 각각 나서고 있다. 삼성물산은 수소를 중점사업 중 하나로 선정해 상사부문에 전담 조직인 ‘수소그룹’을 신설, 해외 청정수소 수입부터 변환, 국내 활용까지 전체 공급망을 연결하는 ‘청정 수소 전 주기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또 건설부문과 상사부문은 각각 SMR 사업과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진출을 위해 국내외 기업들과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친환경 에너지 전문회사’ 도약 방향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인터·LX인터, 친환경 신사업 포트폴리오 재편포스코인터내셔널은 10대 ESG 중요 토픽 중 두 번째로 ‘신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LX인터내셔널은 10대 ESG 중대 이슈 중 첫 번째로 ‘환경경영 이행 및 내재화’를 각각 선정했다. 이 역시 탄소규제와 친환경 시장 요구 강화에 따라 친환경 신사업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해 기후변화에 사회·경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은 △에너지 △소재 △식량 부문에 집중한다. 에너지 사업엔 오는 2025년까지 3조8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GW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권 2개 이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2035년까지 인천·광양·포항을 중심으로 126만톤(t)의 청정수소 공급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소재 사업에선 풍력·태양광, 전기차, 이차전지(배터리) 등 친환경 에너지산업과 관련한 철강 판매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면서 친환경 미래차 구동계 핵심부품 생산체제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식량 사업에선 지속 가능한 팜오일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생산하는 등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확보할 방침이다. 한국유리공업 군산공장 (사진=LX인터내셔널)LX인터내셔널(001120)은 친환경·소재 분야로 진출하고자 최근 포승그린파워와 한국유리공업을 인수하는 등 친환경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승그린파워는 친환경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신재생 발전 사업을, 한국유리공업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고기능성·친환경 유리 제품 사업을 각각 벌이고 있다. LX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친환경 복합물류센터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도하면서 신성장 동력이 될 사업을 선별하고 있다”며 “자회사와 함께 친환경 사업 저변을 넓혀 나가는 동시에 LX인터내셔널이 추진할 수 있는 환경경영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롯데케미칼, 2분기 영업손실 770억…5분기 연속 적자(상보)
-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롯데케미칼(011170)이 올해 2분기 석유화학 시황 악화로 5분기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8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으로 매출 5조24억원, 영업손실 77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29.6% 감소했다. 롯데케미칼 2분기 실적 요약.(자료=롯데케미칼)사업별로 살펴보면 기초소재사업은 매출 2조7557억원, 영업손실 828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과 유가 및 원료가 하락에 따른 역래깅(원재료 투입 시차) 효과가 반영돼 수익성이 감소했다. 롯데케미칼은 액화석유가스(LPG) 투입비중 확대를 통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고 범용 제품 비중을 축소함과 동시에 태양광 소재, 이차전지(배터리) 분리막용 폴리머 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첨단소재사업은 매출 1조988억원, 영업이익 751억원을 기록했다. 고수익 지역에 대한 수출 확대와 제품 스프레드 개선 및 운송비 안정화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고객 특화 고부가 컴파운드 제품의 그레이드 개발 및 안정적 공급 역량을 바탕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할 예정이다.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 5437억원, 영업손실 1116억원을 기록했다. 동남아지역 증설 물량에 따른 공급 부담과 수요부진 지속으로 매출과 수익성이 감소했다. LC USA는 매출 1498억원, 영업이익 78억원을 기록했다. 에탄 가격 하향 안정화로 원재료 부담이 완화되며 흑자 전환했다.이번 2분기부터는 올해 3월 인수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가 연결손익에 반영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 1982억원, 영업이익 15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하반기에도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수익성 제고를 위한 운영 최적화와 포트폴리오 개선 노력을 지속함과 동시에 2030 비전 달성을 위한 전지소재사업, 수소에너지 및 리사이클사업 등 미래사업의 속도감 있는 실행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루시드, 실망스런 실적·가격 인하에도 시간외서 상승…왜(영상)
-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상승으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 넘는 상승세를 기록했고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0.9%, 0.6% 올랐다. 특히 S&P500은 4500선 이탈 하루 만에 회복에 성공했다. 오는 10~11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미시간대가 집계하는 기대 인플레이션 등 주요 물가지표 발표를 앞두고 `확인하고 가자`는 심리가 큰 상황이지만 지난주 조정이 깊었던 만큼 반발 매수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고용시장이 점진적으로 냉각되고 있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둔화되면서 긴축 우려가 완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은행 총재는 “인플레 압력을 완화할 만큼 현재 기준금리는 충분히 높다”며 “경제 데이터가 전반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인플레 완화시 이르면 내년쯤 기준금리 인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특징주 흐름은 다음과 같다. ◇테슬라(TSLA, 251.45, -0.95%) 세계 최대 전기차 회사 테슬라 주가가 1% 하락했다. 최고 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의 오른팔이자 테슬라내 2인자로 통하는 최고 재무책임자(CFO) 재커리 커크혼이 지난 4일 돌연 사임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여파다. 커크혼은 지난 2010년 테슬라에 합류해 테슬라의 흑자전환 및 성장 목표 달성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커크혼이 사임함에 따라 최고 회계책임자(CAO)인 바이바브 타네자가 CFO까지 겸임할 계획이다. 커크혼은 업무 인수인계 등을 위해 연말까지 근무할 계획이다. 여기에 일론 머스크도 목 수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이날 주가 하락은 사이버 트럭 출시를 앞두고 경영 공백에 대한 우려가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루시드(LCID, 6.41, -3.17%, 2.96%*) 미국의 럭셔리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가 정규 거래에서 3% 넘게 하락했지만 장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3%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날 루시드는 실적 발표에 앞서 루시드 에어 모델(퓨어, 투어링, 그랜드 투어링 등)의 가격을 최대 11.5% 인하한다고 밝혔다. 테슬라가 수요를 견인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가격을 인하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루시드는 이어 장마감 후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55% 증가한 1억5100만달러로 예상치 1억7500만달러를 밑돌았다. 인도량도 1403대에 그쳐 예상치 1873대를 크게 밑돌았다. 주당순이익(EPS)은 40센트 적자로 전년도 -0.33달러, 예상치 -0.35달러를 밑돌았다. 조정 EBITDA(상각전 이익)도 -7억1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도 -4억1000만달러, 예상치 -5억9600만달러보다 적자폭이 컸다. 루시드는 다만 “신차 모델인 그래비티 SUV를 11월에 공개하고 내년 후반쯤 생산할 것”이라며 투자자들에게 기대감을 줬다. 이어 “유상증자 등을 통해 현재 유동성은 62억5000만달러에 달한다”며 “2025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타이슨푸드(TSN, 54.30, -3.83%) 미국 최대 육류 가공 및 판매 기업 타이슨푸드 주가가 4% 가까이 하락했다. 실망스런 실적 여파다. 이날 타이슨푸드는 2023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3% 감소한 131억4000만달러로 예상치 136억3000만달러를 밑돌았다. 조정 EPS는 무려 92% 급감한 0.15달러에 그쳤다. 예상치 0.26달러에도 크게 못 미쳐 ‘어닝 쇼크’였다. 타이슨푸드는 이어 연간 매출 가이던스로 530억~540억달러를 제시했는데 이마저 예상치(537억달러)에 미달했다. 회사 측은 “닭고기 가공 시설 4곳을 폐쇄하고 생산 시설을 이전할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3억~4억달러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이지 테라퓨틱스(SAGE, 16.75, -53.6%) 우울증, 신경 정신과 치료제를 주로 개발하는 바이오 제약사 세이지 테라큐틱스 주가가 54% 폭락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세이지는 바이오젠과 공동개발한 우울증 치료제 `주르주베`가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부분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세이지는 당초 주르주베를 최장 2주간 복용하는 산후 우울증 치료제와 주요 우울 장애 치료제로 각각 승인 신청을 했는데 산후 우울증 치료제로만 승인을 받게 된 것. 이번 치료제는 세이지의 첫 번째 경구용 치료제이자 두 번째 치료 약물이라는 점에서 다소 실망스러운 결과다. 시장 규모 등 측면에서 주요 우울 장애 치료제 미승인은 재정적으로도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 회사 측은 “6월초 기준으로 현금 유동성은 10억달러 규모”라며 “향후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재무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부분 승인 소식이 전해지면서 오펜하이머, 웨드부시 등이 일제히 세이지에 대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했다. ※ 네이버 기자구독을 하시면 흥미롭고 재미있는 미국 종목 이야기를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든 국내 주식이든 변동엔 이유가 있습니다. 자연히 모든 투자에도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를 찾아가는 길을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이데일리 유재희 기자가 서학 개미들의 길잡이가 되겠습니다. 매주 월~금 오전 7시30분 유튜브 라이브로 찾아가는 이유 누나의 ‘이유TV’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대기업집단 계열사 석달새 7곳↑…에너지 사업 진출 '활발'
-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5월부터 지난달까지 최근 3개월 동안 자산 5조원 이상인 대규모기업집단의 소속회사 수가 7곳 증가했다. 특히 발전 및 에너지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회사설립과 지분인수가 활발하게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공정거래위원회 전경.(사진=이데일리DB)공정거래위원회는 8일 이같은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내용을 공개했다. 대규모기업집단의 소속회가는 5월 1일 기준 3076개에서 이달 2일 기준 3083개로 7개사 증가했다. 이 중 37개사가 소속회사 변동이 있었다. 변동 현황을 보면 회사설립(신규 32개사, 분할 7개사), 지분취득(10개사) 등으로 25개 집단에서 66개사가 계열편입됐다. 흡수합병(12개사), 청산종결(16개사) 등으로 22개 집단의 59개사가 계열 제외됐다.신규 편입 회사가 많은 집단은 유진(13개), 한화(9개), 포스코(6개) 순이었다. 제외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삼표(20개), SM(5개) 순이었다. 일부 대규모기업집단에서 발전 및 에너지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회사설립 및 지분인수가 활발하게 이뤄져 최근 3개월산 10개사가 계열 편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LG(003550)는 폐목재 등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업체인 티더블유 바이오매스에너지를 신설하고, 농심은 수소연료 발전업체인 밀양수소발전을 지분취득으로 인수했다.한화(000880)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위한 신안우이해상풍력, RE100 사업 추진을 위한 알이100솔라팩토리1호를 신설했다. 일부 대규모기업집단은 지주회사 전환 추진, 사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기업집단 내 소속회사를 분할 및 신설하는 등 사업구조를 개편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및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에서 제외됐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전체 국내계열회사의 자산총액 합계액이 10조원 이상으로 올해 5월 1일 상출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됐지만, 한화가 대우조선해양의 지분을 취득하게 되면서 기업집단을 형성하지 않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