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눈]남은 인생에서 가장 시원한 여름

온난화로 폭염일수 매년 증가…경제에 타격
국가·기업·개인 노력으로 티핑포인트 늦춰야
  • 등록 2024-07-01 오전 6:06:06

    수정 2024-07-01 오전 6:06:06

[이데일리 피용익 디지털콘텐츠부 에디터] 28년 전 여름 친구들과 여행했던 아부심벨에 대한 기억은 오로지 ‘뜨거움’만 남아 있다. 차를 얻어 타 가며 이집트 최남단까지 내려간 것은 분명히 아부심벨 대신전을 보기 위해서였는데, 정작 람세스 2세가 건설한 고대 이집트 유적에 대한 기억은 흐릿하다. 그 당시 아부심벨의 낮 기온은 45도(°C)였다. 한국에서는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더위, 아니 뜨거움에 제정신이었을 리가 없다. 그 후로 20여 년 동안 웬만한 더위에도 난 이렇게 말했다. “아부심벨에 비하면 이건 더운 것도 아니야”라고.

하지만 앞으로 얼마나 더 이런 말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기상 전문가들은 한국의 여름 최고 기온이 40도를 넘나드는 건 시간 문제라고 전망한다. 지금까지 40도가 넘는 기온은 2018년 8월 단 한 차례 겪은 바 있는데, 이런 뜨거운 더위가 잦아질 수 있다는 경고다. 이미 초여름으로 인식되는 6월에도 33도를 넘는 폭염이 수차례 이어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6월 1일부터 20일까지 폭염일수는 2.4일을 기록했다. 기상 관측 역사상 6월 폭염일수가 2일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여름이 관측 기록 역사상 가장 더웠던 것으로 나타났다.(자료=미국 항공우주국)
과거의 무더위가 단지 불쾌감을 유발하는 데 그쳤다면, 현재 수준의 폭염은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당장 건설, 농업, 운송 등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집배원들은 체감온도 38도 이상에서는 오후 2~5시 이륜차 배달 업무를 중단한다. 국제노동기구(ILO)는 폭염 영향으로 2030년까지 매년 전 세계 총 노동시간의 2% 이상이 손실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물가 상승도 걱정이다. 올 들어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폭염이 발생하면 히트플레이션(heat+inflation)이 발생해 이런 노력을 수포로 만들 수 있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연구팀에 따르면 폭염으로 기온이 1도 상승하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0.4~0.5%포인트 높아지고, 그 영향은 6개월가량 지속된다. 가계에 부담을 주는 푸드플레이션(food+inflation)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의미다.

폭염이 갈수록 심해진다면 미래에는 인류의 생존 자체가 문제 될 수도 있다. 이미 미국,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는 40~50도 이상 고온으로 인한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다. 한국도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니다. 지난해 온열질환자 수는 전년 대비 80% 증가했다. 올해는 폭염 대책 기간인 5월20일 이후 약 한 달간 119구급대가 이송한 온열질환자가 전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원인은 지구온난화다. 이미 끓어오르기 시작한 지구의 온도를 단기간 내에 낮추기는 어렵다. 하지만,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티핑 포인트’ 시점을 늦출 수는 있다. 국가적으로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야 하고, 기업들은 이 같은 정책에 부응하는 전략을 세우고 탄소 저감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개인도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일회용 컵 대신 하루 한 번이라도 텀블러를 사용한다든지, 잦은 육식보다 대체육이나 채소를 종종 소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우리는 지금 남은 인생에서 가장 시원한 여름을 보내고 있다”라는 한 기후학자의 말은 곱씹을수록 섬뜩하다. 서늘한 여름을 조금이라도 더 길게 보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우리 하나하나의 노력에 달렸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