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업계에 따르면 HMM 인수 후보군으로 자금력이 뒷받침된 포스코·현대차그룹 등의 이름이 꾸준히 오르내리고 있지만 투자은행(IB) 업계에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본다.
먼저 대량화주에 속하는 포스코는 제품과 제철원료 등의 해상운송에 연간 3~4조원의 비용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가 HMM을 인수할 경우 비용감축이란 이점이 있지만 국내 해운업에 미치는 여파가 상당해 대량화주의 국적선사 인수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이 많다. 해운법 제24조에 따라 원유, 제철원료, 액화가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량화물의 화주가 해운업에 등록하려면 해양수산부 장관의 결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장인화 차기 포스코그룹 회장 후보가 회장직에 오르더라도 상황은 바뀌기 어렵단 관측이다. 포스코 측은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
무엇보다 해운업황 악화와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영업실적 발표에서 HMM은 이례적으로 “수요 회복이 더딘 가운데 최근 2~3년간 발주한 신조선의 인도로 회복 가능성이 작다”며 회사가 직접 부정적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에 2009년 매각 적기를 놓친 대우조선해양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뚝심 있는 투자와 해운 산업 재편에 대한 대응에 집중해야 한단 지적이 나온다. HMM도 친환경 전환에 수조원대 자금 투자를 앞두고 있다. HMM은 오는 2027년까지 약 15조원을 투자해 약 20년만에 미래사업 진출 전략을 밝혔다. HMM 관계자는 “친환경 선박 투자와 연료 확보를 위해 글로벌 해운선사들의 공격적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HMM도 생존을 위해 공격적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미 발표된 투자 계획도 충분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산업은행 측은 재매각 선결조건으로 안정적 경영 환경을 꼽고 있다. 따라서 재매각과 관련한 입장을 밝힐 단계는 아직 아니라는 게 산은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