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청년층의 취업 장벽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보면 지난해 서울시 15~29세와 30~39세의 고용률은 각각 46.6%, 76.8%로 전년도에 비해 0.9%포인트, 1.2%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축소·연기하고 있는데다 직무중심 채용문화가 확산하면서 청년층의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시가 고안해 낸 것이 사전에 실전 중심의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전문 직무교육이다. 청년층이 실무 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3~4개월 가량 전문 직무교육비(1인당 약 350만원)를 지원하고, 이후 인턴십 급여(월 220만원)도 전액 지원하기로 한 것.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빅데이터, 클라우드 같은 신산업 분야 유망기업들과 청년층 간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결하겠다는 것이 시의 구상이다.
실제 지난해 하반기 시가 ‘강소기업 청년인턴 사업’을 시작했지만, 해당 사업은 목표 모집 인원(400명)의 25%에 그치는 104명이 참여하는데 그쳤다. 기업이나 청년들의 참여가 당초 예상보다 현저하게 적어 기정 예산(20억원)의 절반에 불과한 10억원을 사용하는데 그쳤다. 이 사업 역시 만 18~34세 서울 거주 청년 구직자가 강소기업 인턴십에 3개월(주 40시간 이내) 참여하면 매월 25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실상 올해 시행하는 청년인턴 직무캠프와 사업 내용이나 지원규모가 거의 비슷한 셈이다. 이와 별도로 시가 지난해 진행한 도시청년 지역상생 고용사업에도 246명이 참여했지만 단 1명만이 정규직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년 인턴사업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는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업계 관계자는 “청년인턴직무캠프 사업이 당초 계획했던 것과 달리 모집 인원이나 예산이 줄어든 것만 봐도 제도가 제대로 작동할지 의문”이라며 “청년인턴 기간을 늘리고 지원금 상향은 물론 참여기업들의 적극적인 채용을 담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