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요금 알면 저렴해지는데…나만 몰랐나?

[돈이 보이는 창] 고물가에 뜨는 통신비 다이어트
①LTE는 알뜰폰…11GB 2만원대, 이통사의 7분의1
②5G는 알뜰폰과 격차 LTE보다 적어…‘중간요금제’ 살펴야
③제조사 지원금받아 자급제폰+알뜰폰 유심 꿀조합
④통신 자회사 알뜰폰 점유율 제한·금융권 허용 두고 갈등
  • 등록 2022-06-26 오후 5:09:21

    수정 2022-06-27 오후 1:17:32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디자인=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평소 유튜브를 즐겨보는 A씨(48). 5G폰을 사서 이통사 5G 요금제에 가입했지만, 자신의 데이터양에 맞는 요금제가 없어 할 수 없이 한 달에 110GB를 주는 6만9000원 요금제(선택약정할인으로 실납부 5만1730원)에 가입했다. 하지만, 5G만의 특별한 혜택을 느끼지 못해 약정이 끝나자 알뜰폰 LTE로 갈아탔다. LTE에서 데이터 110GB를 주는 요금제에 가입하고 LTE폰에 꽂으니 데이터를 사실상 무제한(110GB)으로 쓰면서도 한 달 통신 요금은 3만원 대(4만 900원 요금제·각종 카드할인 추가)로 줄었다. 한 달에 1만 5000원이상 통신비를 아낀 셈이다.

유튜브는 와이파이로 보고 인터넷 서핑과 카카오톡 정도만 이동통신망으로 했던 B씨(17). 그는 통신사 LTE 저가 요금제를 써왔다. 그런데 이번에 알뜰폰을 알고 유심요금제에 가입했더니 3만 3000원에 데이터 11GB를 쓸 수 있게 됐다. 통신 3사에서는 같은 요금으로 데이터 1.4~1.5GB만 가능하다.

물가가 비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8% 올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주요국 수출 제한 조치 여파 때문이다.

올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5.4% 상승하며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계 살림살이는 앞으로 더 팍팍해질 것으로 보인다. 밥상 물가와 함께 가계에 고통을 주는 것 중 하나가 통신비다. 통신서비스 요금과 통신기기(단말기) 구매 비용을 포함한 가계 통신비를 합리적으로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①LTE는 알뜰폰…11GB 요금제, 이통사의 7분의1


5G가 상용화된지 3년이 지났지만 5G를 써야 할 이유는 별로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콘텐츠들이 어느 정도 출시됐을 뿐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5G 서비스는 별로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속도가 좀 빨라지고 데이터 사용이 좀 자유로워졌을 뿐이다. 5G에 가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최신 플래그십 단말기를 사기 위해서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2019년 4월 3일 5G가 상용화된 뒤, 삼성전자·LG전자에서 출시된 최신 최고 성능의 단말기들은 5G only였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5G 가입자 수는 정체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5G 가입자 수는 2347만1125명으로 집계됐다. 전달(2290만6213명)에 비해 2.47%(56만4912명) 증가한 수치다. 지난 2월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2 시리즈 출시 효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2월 한 달동안 72만명 가까이 늘어났으나 3월에는 62만명대로 줄고, 이달에는 56만명대까지 쪼그라들었다.

4G LTE는 어떨까. 지난 4월 말 기준 LTE 가입자는 4754만6659명으로 전월보다 소폭(3만9493명)늘었다. 감소 추세에 있던 LTE 가입자가 증가한 것은 알뜰폰 덕분이다. 알뜰폰은 이동통신 서비스 전체에서 기존 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보다 저렴하나, LTE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갖고 있다.

이는 LTE 가입자의 평균 데이터 소모량에 따른 요금제로 알 수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LTE 사용자의 평균데이터 사용량은 8GB정도. 헤비 유저들을 고려하면 11GB 정도면 안심하고 쓸 수 있다.

그런데 ‘KB국민 LTE 든든무제한 11GB+’가 월 3만3000원‘, ‘헬로모바일 The 착한 데이터 유심 11GB’가 월 3만3990원, ‘U+알뜰모바일 유심 데이터통화 마음껏(11GB)’가 3만3990원, SK텔링크 ‘LTE유심 11GB+/통화맘껏’이 ‘3만7400원’ 이다.

여기에 KB국민은행의 경우 KB든든할인(KB국민은행 거래 실적에 따라 최대 월 3300원 할인) 적용시 월2만4800원이고, 세종텔레콤 ‘통화기본데이터 11GB+’는 월 4만5100원이나 6개월 약정시 2만3100원이다.

즉, 최대 2만원 대로 LTE 평균 데이터 사용량(8GB)에 가까운 11GB를 쓸 수 있는 셈이다. 반면, 통신3사에는 11GB LTE 요금제가 없다. 또, 월 3만3000원내는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량은 1.4~1.5GB에 불과하다. 데이터양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같은 요금제에서 알뜰폰이 7분의1 가격인 셈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IoT(사물인터넷) 회선 포함


②5G 알뜰폰과 요금 격차 LTE보다 적어…7월 ‘중간요금제’ 살펴야


최신 5G폰을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 삼성전자가 8월16일부터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Z 폴드4’와 ‘갤럭시Z 플립4’를 예약판매할 예정인 가운데, 역시 우리나라에선 5G only로 출시될 전망이다. 여기에 이동통신3사는 데이터 10GB~110GB 사이의 중간요금제(5만 9000원대 이하 요금제)를 7월 중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5G 데이터 평균 사용량(23~27GB)에 는 해당하는 5G 요금제가 없었지만, 앞으로는 내 데이터 사용량에 근접한 조금 더 저렴한 요금제가 나오는 셈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7월 7일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통신3사 CEO 상견례 이후 중간요금제가 출시될 것 같다”고 전했다.

다만, 알뜰폰으로 갈아타려는 사람들은 5G는 LTE보다 알뜰폰(MVNO)과 통신3사(MNO)간 요금 격차가 적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알뜰폰 점유율 1위와 통신사 점유율 1위 업체를 비교해 보면, LTE 데이터 100GB는 kt엠모바일은 월 4만900원, SKT는 월 6만9000원이다. 반면 5G 데이터 110GB에서는 kt엠모바일은 월 4만7500원, SKT는 6만9000원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③제조사 지원금 받아 자급제폰+알뜰폰 유심 꿀조합


불황을 이기는 통신비 절감법으로 가장 추천할만한 모델은 ‘알뜰폰 유심 요금제와 자급제폰간 결합’이다. 오픈마켓이나 제조사가 휴대폰을 팔 때 주는 단말기 지원금을 받아 저렴하게 자급제폰을 산 뒤, 기존 통신사보다 훨씬 저렴한 알뜰폰 유심요금제에 가입해 유심을 꽂아 쓰는 방식이다.

알뜰폰 유심요금제란 알뜰 통신사의 유심칩(0원~8800원)만 구매해 가입한다. 유심요금제는 자급제폰이나 공기계(중고폰·해외직구폰)이 있어야 한다. 자급제폰은 TV처럼 매장이나 오픈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는 휴대폰이다. 이통사가 제공하는 공시지원금 혜택은 없지만, 유통회사나 제조사가 주는 지원금은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자급제폰으로 이통사에 가입해도 선택약정할인(25%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를테면, 8월에 출시되는 ‘갤럭시Z 폴드4’를 단말기 지원금을 받아 오픈마켓에서 구매한 뒤 이통사에 가입하면 25% 요금할인을 추가로 받는다.

④통신 자회사 알뜰폰 점유율 제한·금융권 허용 갈등

유례없는 고물가로 알뜰폰이 합리성을 중시하는 MZ세대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앞으로의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정해지느냐에 활성화 정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소비자들만 보면 통신 자회사들(kt엠모바일·kt스카이라이프·미디어로그·LG헬로비전·SK텔링크)의 시장 점유율을 강하게 제한하지 않고 KB국민은행외에도 NH농협은행 등 다른 금융사도 진입하게 규제를 푸는 게 맞다.

하지만, 세종텔레콤·큰사람커넥트·에넥스텔레콤 등 중소알뜰폰회사들은 통신 자회사들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지금보다 강하게 규제하고 금융권의 알뜰폰 시장 진입은 불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대기업들이 뛰어들면서 중소 알뜰폰이 고사 위기라는 논리다. 한 중소 알뜰폰 회사 대표는 “최근 LG유플러스가 알뜰폰 장기고객 케어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독형 제휴 요금제 출시를 계획하는 등 상생에 나서고 있지만, 솔직한 마음은 이통 3사 자회사들이 알뜰폰에서 철수하는 것”이라면서 “KB리브엠이 도매대가보다 낮은 요금제로 알뜰폰을 제공하는 것은 막대한 자금력 덕분이다. 금융사 알뜰폰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례없는 고물가가 지속하는 와중에 정부가 소비자들이 더 신뢰하는 통신 자회사나 금융권 알뜰폰을 멈추기는 쉽지 않다. 결국, 통신 자회사와 금융권 알뜰폰의 가계통신비 절감 역할과 대·중소기업 상생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쪽으로 정책이 정해질 전망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추위 속 핸드폰..'손 시려'
  • 김혜수, 방부제 美
  • 쀼~ 어머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