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태양광 산업에 대한 공방이 이어졌다. 여권에서는 전 정부의 무분별한 태양광 보급 사업이 여러 부작용을 일으켰다고 주장했고, 야권에서는 이 같은 태양광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접근이 신재생에너지라는 세계적 흐름에 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은행별 태양광 관련 대출의 종류와 규모, 건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사전조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우선 해당 대출의 현황 파악에 집중한 후, 전수 조사를 통해 부실 여부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공동 상장기업 유관기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태양광 관련된 여신이나 자금 운용이 생각보다 다양한 형태, 구조로 돼 있다”며 “업권에서 어떤 형태로 자금이 나가거나 구조가 되었는지,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게 있는지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의 이 같은 행보는 지난 13일 국무조정실 발표와 맞닿아 있다. 당시 국무조정실은 전국 226개 지방자치단체 중 12곳에 대해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 운영실태 표본 점검을 벌인 결과, 위법·부당사례 2267건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부당 지급된 보조금과 대출 등의 규모는 총 2616억원에 달했다.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자금 중 부적절한 금융지원 규모는 226억원 수준이다.
|
반면 야당은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위축시킨다고 지적했다. 삼성을 비롯해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에 참여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세계적 추세를 고려할 때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정부 질문에서 “태양광 사정정국으로 재생에너지 투자를 위축시키는 상황에서 어떻게 이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겠느냐”며 “탄소국경세(자국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를 유럽에서 도입했고, 미국 연방정부까지 도입을 하게 되면 우리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찾아다니는 유목민이 될 수도 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투자를 하지 않고 떠날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민주당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의원은 이날 오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관계자를 불러 회의를 열고 “새 정부 들어 시대를 역행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염려가 든다”며 “이로 인해 우리 기업 경쟁력이 약화하고 제조공동화 현상이 일어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고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