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는 보고서에서 “한국경제는 일시적 소강국면에서 벗어나 성장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반도체 수요 회복에 따른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미약했던 내수도 하반기 이후 금리인하와 함께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4년과 2025년 성장률은 각각 2.6%, 2.2%로 예측했다.
반면 OECD는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2.7%)보다 0.1%포인트 낮춘 2.6%로 예상했다. OECD 전체 평균(4.8%) 및 G20 평균(5.9%)을 모두 크게 하회하는 수치다. 또 내년에는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0%로 물가가 내려가며 물가 안정 기조가 안착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상향한 건 지난 1분기 GDP가 1.3% 깜짝 성장했기 때문이다. 분기 성장률로는 2021년 4분기(1.4%) 이후 2년 3개월 만의 최고치로, 지난해 연간 성장률(1.4%)에 육박하는 수치다.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이 강한 회복세를 보였고, 내수 부진 우려 속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 역시 반등하며 예상보다 강한 성장을 보였다는 평가다.
실제 정부를 비롯해 국내 기관에서 한국 경제 성장률을 잇달아 상향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2.2%를 예상했던 정부에서도 오는 6월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경제성장률 상향을 예고한 상황이다.
다만 1분기에 워낙 큰 성장을 보여 2~4분기까지 이같은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강삼모 동국대 교수는 “올해들어 반도체 수출이 전년대비 50% 가량 증가하는 등 워낙 큰 회복을 보였기 때문에 2분기에도 지속되긴 어려울 수 있다”며 “건설노동자 고용 등 실적도 좋긴 했지만 아직 소비자들이 성장세를 체감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