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한국 홍보관에서 한국 기자단과 간담회를 열고 2030년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관해 “굉장히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2030년 NDC를 40%로 잡았지만 위기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리고 행동 의지를 표명하는 의미에서 대통령이 ‘40% 이상’이라고 선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 COP26 특별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40% 이상’으로 상향하겠다고 천명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는 우리나라보다 앞서 온실가스를 줄여온 선진국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한국을 비롯해 주요 선진국 역시 COP26 개최 이전 탄소중립 이행의 중간목표로서 기존 2030 NDC를 의욕적으로 상향해 발표한 바 있다. G7(주요 7개 국가) 가운데 독일(1990년 대비)은 40%에서 55%로, 일본(2013년 대비)은 26%에서 46%로, 미국(2005년 대비)은 26~28%에서 50~52%로, 영국(1990년 대비)은 55%에서 68%로 각각 상향했다.
이를 우리나라와 같은 시기인 2018년과 비교하면 독일은 34.5%, 일본은 38.6%, 영국은 45.2%, 미국은 44.6~46.9% 감축해야하는 것이다.
선진국들이 적극적인 상향치를 내놓는 반면 중국, 러시아, 인도 등 다배출 국가를 비롯해 신흥국들이 소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파리기후협약 이행이 삐걱대고 있다. 당장 인도는 목표 자체 제출을 거부했다. 중국도 제대로 된 목표를 내놓지 않았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COP26을 앞두고 지난 10월 집계한 143국의 탄소 배출 감축 규모는 2010년 대비 2030년까지 9%다.
특히 이번 COP26의 최대 관건은 국제 탄소시장과 관련한 주요 쟁점인 파리기후협약 6조 세부이행규칙(Paris Rulebook) 마련이다. 탄소저감을 위한 해외 투자와 기술이전에 대해 국외감축분을 얼마나 인정 받을 수 있을 지 여부를 국제사회가 합의하는 것으로, 고탄소 배출 산업 중심의 한국경제는 해외 감축분을 많이 인정 받을수록 2050 탄소중립 이행 과정이 상대적으로 수월해진다. 파리협약 6조 세부 이행계획이 수립되면 개도국과의 양자 및 다자간 협력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40% 가운데 5%를 해외감축분으로 잡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