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지난해 12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41년 만에 최고치인 4%를 찍으면서 그간 유지했던 금융완화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시장 압박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기대감은 시장에서 일본이 곧 긴축정책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으로 이어졌고 연초 국채금리가 0.5%가 치솟는 등 시장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시장 혼란이 커지자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0년물 국채금리 변동폭을 높이거나 아예 YCC정책을 포기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왔지만, 일본은 기존 정책을 유지했다. 일본은행 입장에서는 채권시장의 혼란을 피하면서도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해 완화적인 금융정책 유지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고피나스 부총재는 “우리는 여전히 현시점에서 일본이 대규모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면서도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상당한 리스크를 볼 수 있는 만큼 수익률 통제 정책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옵션으로 △장기 국채금리 변동폭 확대 △단기 금리조정 △국채매입량 조절 등을 제시했다.
IMF는 다만 일본은 장기적으로 다시 물가가 2% 이하로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MF는 올해 물가상승률이 1.8%, 내년에는 0.9%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고피나스는 “우리는 일본이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이 2% 목표치를 달성할 것이라는 충분한 징후가 없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