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책]그, 그것, 그들…다르게 읽히는 ‘대명사’
-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왜 대명사인가. 58편이 실린 시집 속 제목은 딱 9개다. ‘그곳’이라는 제목의 시 3편을 비롯해 그것들(6편), 그것(16편), 이것(1편), 그들(9편), 그(9편), 우리(9편), 너(4편), 나(1편) 전부 대명사들이다. 대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 또는 그런 말들을 지칭하는 품사를 말한다.오은(41)의 여섯 번째 시집은 ‘그’ 놀이에서 시작한다. ‘나는 이름이 있었다’(2018, 아침달) 이후 5년 만의 신작이다. 그는 ‘그곳’, ‘그것들’, ‘그것’들을 호명하고 ‘그’, ‘우리’, ‘너’, ‘나’를 불러낸다. 시인에 따르면 제목은 시의 길잡이가 될 수도 있지만, 시를 가둘 수도 있다는 것. 그는 “‘그것’이 ‘그들’이 될 수도 있고, ‘우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며 대명사로 바꾼다면 불친절하지만 접근을 조금 더 투명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아 수수께끼 내듯 제목을 정했다고 했다.시를 읽다 보면, 시인의 시선을 따라 ‘그것’이 ‘있었던’ 자리에 머물다가, 불시에 찾아든 감정들에 펄럭거리게 된다. 시집의 해설을 쓴 오연경 평론가에 따르면 “‘그것’이라는 텅 빈 대명사 하나를 던져놓고 신나게 변죽을 울려 우리로 하여금 꽉 찬 의미를 낚아 올리게”한 다음 “‘그곳’에 데려다 놓”는 것이 바로 오은이 시를 쓰는 방식이라는 것이다.“온다 간다 말없이 와서/ 오도 가도 못하게 발목을 붙드는,/ 손을 뻗으니 온데간데없는”(‘그것’ 37쪽). “사람은 고유명사로 태어나 보통명사로 살아간다/ 제 이름을 대신하는 명사로 분해야 한다/ 그는 자신에게 분해서 허허 웃어버렸다”(‘그’ 98쪽). 독자의 ‘그’, 혹은 ‘그것’은 다 다르게 읽힌다.시인은 ‘없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주로 상실하고 상처받은 이들의 속사정이다. 잃어버리고, 지금-여기 없는 것들을 시인은 대명사로 불러들인다. ‘없다’와 ‘있었다’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은 그러니까, 슬픔이다. 오 평론가는 “다짜고짜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듣는 이를 이야기의 당사자로 호출하는 일”이라면서 “시집은 무수한 ‘그것’과 ‘그들’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놓고 거기에 독자를 연루시킨다. 시인의 대명사는 잃어버린 것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있게 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우리가 ‘없다’라는 단어에서 ‘있었다’를 목격하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부채협상 막판 진통에도…'엔비디아 강세' 나스닥 상승
-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뉴욕 증시가 엔비디아의 주가 고공행진에 강세 압력을 받고 있다. 다만 부채 한도 상향이 막판 진통을 겪을 수 있다는 소식에 혼조 흐름을 보이고 있다.30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7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40% 하락하고 있다. 반면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18% 오르고 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0.73% 뛰고 있다.(사진=AFP 제공)3대 지수가 장 초반 다소 엇갈리는 것은 호재와 악재가 동시에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호재는 엔비디아다.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연일 강세를 띠고 있는데, 이 덕에 나스닥 지수는 상승하고 있어서다. 엔비디아 주가는 현재 5.79% 뛰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무려 190% 가까이 치솟았다.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제조업체다. 챗GPT 같은 생성형AI를 위한 거대언어모델(LLM)을 자체 개발하려면 중앙처리장치(CPU)를 도와줄 GPU 같은 보조칩이 필요한데, 엔비디아의 칩이 최적화돼 있다. 엔비디아의 GPU가 이른바 ‘AI칩’으로 불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에 AI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에 나서고 있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빅테크들은 데이터센터 성능을 키우기 위해 엔비디아의 칩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엔비디아의 시총 역시 불어나고 있다. 현재 시총 규모는 1조달러를 기록하면서 반도체 업체 중에서는 사상 처음 1조달러 클럽에 가입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사우디 아람코, 알파벳(구글 모회사), 아마존에 이은 전 세계 6위다. 테슬라 주가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3년여 만에 중국을 방문했다는 소식에 현재 4.15% 오르고 있다. 테슬라에게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동시에 상하이 공장은 테슬라의 최대 생산 거점이다.다만 부채 한도 상향 과정이 막판까지 만만치 않다는 점은 변수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주말 동안 한도 상향을 잠정 합의했으나, 법안 통과 과정에서 난항이 불가피한 탓이다. 하원 운영위원회는 오는 31일 하원 전체 회의 표결을 앞두고 이날 오후 법안 논의에 돌입한다. 운영위는 공화당 의원 9명, 민주당 의원 4명으로 각각 구성돼 있다. 문제는 공화당 위원 9명 중 2명이 이미 이번 합의안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강경파 공화당원들은 매카시 의장이 백악관에 굴복했다고 맹비난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공화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합의 전에도 미국은 파산을 향해 기울고 있었다”며 “그런데 합의 이후 미국은 계속 파산으로 향할 것”이라고 했다.인터렉티브 인베스터스의 리처드 헌터 시장담당 대표는 “부채 한도 합의안이 완전히 결승선을 넘은 게 아니라는 사실에 투자 심리는 누그러질 것”이라며 “최종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시장은 현상 유지를 할 것 같다”고 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