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임론 논란에 신호탄을 쏘아올린 것은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다. 박 전 원장은 전날 저녁 선거 참패가 예상되자 페이스북에 “`자생당사`(自生黨死)라는 말이 당내 유행한다더니 이 책임을 누가 질까요”라고 썼다. 인천 계양을 보궐 선거에 출마해 자신은 당선된 이재명 상임고문을 겨냥한 것이다. 전략공천위원장을 맡았던 이원욱 의원은 공개 저격했다. 이 의원은 “이재명 친구. 상처뿐인 영광! 축하합니다”라고 쓴 뒤, 직접 댓글을 달아 “이 말에 내 친구 이재명의 답이 있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은 이 고문과 송영길 전 대표를 싸잡아 `명길 책임론`을 집중 부각시켰다.
반면 반성과 혁신을 게을리한 내부에서 패배의 원인을 찾는 시각도 있다.
`이재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은 “국민들께서 다시 매서운 회초리를 내려치면서도 가느다란 희망은 남겨 놓았다”며 “국민들의 호된 경고를 받고도 기득권 유지에 안주한다면 내일은 없다”고 주장했다. 이 고문에게 집중되는 책임론을 덜어주면서도, 차기 당권 도전을 염두에 둔 이 고문의 향후 정치 행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김태년 의원은 “당과 국회의원들의 책임이 크다. 성찰과 혁신은 한 몸”이라고 주장했고, 김용민 의원은 “개혁을 해서 실패했다는 의견과 개혁을 하지 못해서 외면 받았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민주당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당원과의 관계(당원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당)가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당내 갈등 양상은 원내 입성에 성공한 이 고문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고문이 전면에 등장하지 않는다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도 있지만 반대의 경우 확전 양상으로 번질 수도 있다.
조응천 의원은 “문재인 정부 임기 종료와 함께 각료들이 대거 당에 돌아왔다. 그들을 중심으로 (친문) 세력이 뭉칠 것”이라며 “굉장한 내상을 입은 이 고문이 깔끔하게 전당대회에 출마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용진 의원은 “이번에도 `졌잘싸`를 주장하며 쇄신의 대상이 혁신의 주체가 되겠다고 나선다면, 평가와 반성 대신 자기 위로를 위한 땜질식 처방만 한다면 이번 지방선거 결과는 2년 뒤 총선의 예고편에 불과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고문이 아니었으면 경기지사마저 패했을 거란 소리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면서 “`졌잘싸 시즌2`가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