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이엔코퍼레이션, 수처리 EPC 기업 한성크린텍 인수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이엔코퍼레이션(066980)은 올해 산업용 수처리 분야 1등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한성크린텍을 인수한다고 5일 밝혔다.한성크린텍은 전자 및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초순수 및 폐수, 공업용수, 오·폐수 등 수처리설비의 설계(Engineering), 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EPC 전문 기업이다.한성크린텍의 매출은 최근 4개년 동안 연평균 14% 성장했다. 특히 지난해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20%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이 같은 고성장의 배경은 지난 30여년 간의 시공이력과 경험을 토대로 반도체 및 전자산업에 필수적인 국내 최고 수준의 초순수 수처리 공정기술을 보유하여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국내 대기업과 다수의 대기업 계열사를 고객으로 확보한 것이다. 또 경쟁사들이 초순수 처리시설이나 오·폐수 처리시설 및 재활용시설만 개별적으로 공사를 수임할 수 있는 것과 달리 한성크린텍은 초순수에서 오·폐수까지 연결되는 수처리 공정 일체와 연결 배관시공, 해수전해시설 시공까지 수처리 공정을 토탈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전체 직원 중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취득자가 약 76% 수준으로 업계에서도 최고의 기술력과 전문인력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용 수처리 시장은 반도체 및 전자산업의 생산라인 증설뿐만 아니라 제약,바이오 산업과 석유화학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제약,바이오 공정에서는 미생물 및 염분 유입에 따른 생산품질관리 문제가, 석유화학 등 플랜트 공정에서는 불순물로 인한 물성 변동 등 품질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성크린텍은 이 같은 시장 확대에 힘입어 올해 1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엔코퍼레이션은 지난 2월 5일 임시주주총회에서 ‘폐기물 및 폐수 종합처리업‘, ‘자원재생, 재활용업’, ‘대기, 수질오염 방지시설업’ ‘신재생에너지 공급업’ 등 환경 관련 사업목적을 추가한 바 있다.
- 한컴그룹, 드론 전문 스타트업 ‘어썸텍’ 인수
-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한글과컴퓨터(030520)(한컴)그룹은 드론 전문 스타트업 ‘어썸텍’을 인수했다고 3일 밝혔다.어썸텍 스마트 패러슈트. (사진= 한컴)어썸텍은 드론 추락 방지 패러슈트·패러글라이더 기술과 드론용 배터리 관리, 특수 목적용 드론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벤처기업 인증을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 대전세종청년창업사관학교 선정, 공간정보 활용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LX사장상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업기업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어썸텍이 자체 개발한 스마트 패러슈트·패러글라이더 기술은 위치정보시스템(GPS)을 내장해 독립적 비행 제어가 가능하다. 추락 시에 자동으로 낙하산을 펼쳐 낙하지점을 파악하고 지정한 지점으로 자동 복귀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어썸텍은 드론용 배터리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자동관리 모듈인 ‘배터리 닥터’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UAV, URV 항법 제어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고정적·회전익 드론과 같은 특수 목적용 드론 개발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한컴그룹은 또 드론 제조 전문 기업인 ‘순돌이드론’에도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순돌이드론은 2015년 설립된 국내 드론 1세대 기업으로 군사용, 산업용, 농업용, 교육용 등 산업별 분야별 드론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한컴그룹은 지난해 인수한 △한컴인스페이스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드론셋’ △한컴라이프케어의 드론 활용 재난안전 서비스 △한컴아카데미가 추진 중인 드론 임무교육 △한컴MDS의 드론 충전 및 드론 로드 사업 △한컴인텔리전스의 드론 인증 사업 등 그룹사들의 연합을 통해 한컴그룹의 드론 밸류체인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한컴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수 및 지분 투자를 통해서 드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기술과 노하우를 확보하게 됐다”며 “향후 드론 핵심 기술의 국산화는 물론, 드론 양산 체계 구축을 통해 국내 드론 시장을 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벙글, 고객분석기업 게임리파이너리 인수…모객 퍼포먼스 강화
- [이데일리 이대호 기자] 모바일 퍼포먼스 광고 플랫폼 기업 벙글(Vungle)이 모바일 게임 분석 솔루션 회사인 게임리파이너리(GameRefinery)를 인수했다고 3일 밝혔다.게임리파이너리가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 인텔리전스 플랫폼은 클라우드 기반 툴을 통해 징가(Zynga), 킹(King), 로비오(Rovio), 유비소프트(Ubisoft) 등과 같은 글로벌 게임사에 리텐션(재방문) 및 수익화 인사이트(통찰)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16만개 이상의 게임 앱을 분석하여 얻은 게임리파이너리의 상황 데이터(Contextual data)가 벙글 플랫폼에 타겟팅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광고주가 상황별 캠페인을 운영하고 개인 식별 정보가 없는 iOS 기반 익명식별자인 IDFA(Identity for Advertisers) 상황에서도 UA(모객)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벙글의 크리에이티브 및 UA, 장르별로 세분된 리포팅 기능과 결합해 고객에게 퍼포먼스 권장사항도 제공한다.이번 인수로 게임리파이너리의 공동창업자 마르쿠스 뢰마르크, 벨리 페카 율쿠넨(Veli-Pekka Julkunen), 요엘 율쿠넨을 비롯한 게임리파이너리 팀 전체가 벙글로 합류하며, 이들은 핀란드 헬싱키에 오피스 거점을 둘 예정이다.벙글의 마틴 프라이스(Martin Price) 프로덕트VP는 “게임리파이너리를 통해 플랫폼 전반에 걸쳐 보다 심도 있는 크리에이티브 분석과 인사이트, 상황 타겟팅 권장사항 및 리포팅을 벙글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iOS 14 및 업계 전반의 개인 정보 보호 관련 변화를 고려할 때, 광고 플레이스먼트와 송출 상황을 이해하는 크리에이티브 타겟팅 방법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며 그런 의미에서 벙글은 이번 인수를 통해 더욱 풍부한 데이터를 경쟁력 있게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라고 인수 취지를 설명했다.마르쿠스 뢰마르크(Markus Ramark) 게임리파이너리 공동 창업자이자 CEO는 “게임사의 모바일 게임 설계, 광고 및 수익화를 지원하는 최첨단 게임 분석과 독점적인 크리에이티브 인텔리전스를 구축하는 비전을 벙글과 함께 만들어나갈 수 있게 되어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벙글 제레미 본디(Jeremy Bondy) 최고경영자(CEO)는 “벙글과 게임리파이너리, 알고리프트는 개발팀, UA팀, 사업팀에 이르기까지 게임의 개발은 물론 라이브 서비스에 걸쳐 모든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