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中, 또 국유화 카드 꺼내나…부동산 중심 성장모델 한계
-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부동산으로 쌓아올린 중국 경제가 부동산으로 무너졌다.’중국 부동산 위기가 격화하면서 ‘피크 차이나’(Peak China)가 힘을 받고 있다. 지난 30년간 중국의 고도 성장을 이끈 부동산이 무너지면서, 성장 동력이 구조적인 한계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빠진 민간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은 당국 주도 하의 국유화 외에는 대안이 없어 보인다. 각종 부양책이 나오겠지만 과거와 같은 부동산 활황이 다시 오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래픽=김정훈 기자)◇“부동산 약화, 가장 도전적 장애물”20일(현지시간)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비구이위안은 다음달 2일 만기가 도래하는 5억3500만달러(약 7185억원) 규모 사모채권 상환을 향후 3년에 걸쳐 7회로 나눠 갚겠다고 채권자들에게 제안했다. 만기가 도래하면 채권자에게 10만위안(약 1838만원)을 먼저 지급한 후 나머지는 분할 상환하겠다는 것이다. 닛케이아시아는 “비구이위안은 채권자들과 이같은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면서도 “향후 부채 구조조정 경로는 불확실하다”고 전했다.비구이위안은 지난 7일 만기가 돌아온 액면가 10억 달러 채권 2종의 이자 2250만달러(약 300억원)를 지불하지 못해 디폴트 공포가 커졌다. 30일 간의 유예기간의 주어진 상태지만 앞으로도 올해 13억달러, 내년 23억달러, 2025년 52억달러, 2026년 46억달러 등 대다수 채권의 만기가 몇 년 안으로 예정돼 있어, 빚을 다 갚을 수 있을 지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크다. 비구이위안 같은 개발업체뿐만 아니다. 대형 자산운용사인 중즈그룹 계열사 중룽신탁 역시 유동성 위기에 빠져 있다.근래 표면 위로 드러난 부동산 위기는 어느 정도 예견된 측면이 있다. 지난 30년 중국의 고도성장은 부동산이 그 중심에 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부동산의 비중은 25%를 넘을 정도다.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은 모든 토지가 국가 소유다. 그런데 1990년대 일대 대전환점이 일어났다. 도시화율 상승을 점친 중국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지방정부 관리들에게 토지 사용권을 팔라고 제안했고, 지방정부는 이를 수용하면서 부동산 개발이 본격화했다. 농촌에서 도시로 노동자들이 대거 이주하면서 대규모 부동산 개발→연 10% 안팎 고속 성장→부동산 가치 상승→부동산 개발 수요 증가 등의 선순환 구조가 이뤄진 것이다.위기의 시작은 2020년 시진핑 국가주석의 과도한 시장 개입이었다. 시 주석이 3개의 레드라인, 이른바 삼도홍선(三道紅線)을 설정하고 부채비율이 높은 부동산 기업들의 대출을 급격하게 조이는 정책을 펼쳤다가, 헝다(에버그란데)를 시작으로 줄줄이 위기에 빠진 것이다. 부동산의 비중이 크다 보니, 이는 곧바로 경기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골드만삭스의 왕리성 이코노미스트는 “부동산 모멘텀과 정서는 중국 경제 성장과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며 “부동산 약화는 가장 도전적인 성장의 장애물”이라고 했다. 노무라의 팅루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성장률이 목표치인 5.0%를 밑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비구이위안, 결국 국유화 수순 갈듯중국 당국이 비구이위안을 어떻게 처리할 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려있다. 스스로 빚을 갚지 못하는 기업이라면 무너지는 게 정상이지만,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부동산 개발업체들을 파산하도록 내버려 둔다면 시 주석의 리더십에 치명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탓이다.그래서 유력하게 거론되는 게 비구이위안을 여러 국유 부동산 업체들이 나눠서 인수하는 방식이다. 비구이위안을 사실상 해체한 이후 국유화하는 식이다. 비구이위안은 중국 5대 부동산 업체 중 유일한 민간이었다. 통제 일변도라는 서구의 비판과 기업 경쟁력 저하를 감수하더라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국유화하는 방법 외에는 대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다만 과거 30년처럼 부동산을 띄우며 성장을 도모하는 경제 모델은 작동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생애 첫 주택 구입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조건을 완화하는 등 황급하게 부동산 정책 노선을 틀었다. 이같은 대책의 약발이 먹히기도 전에 시장에서는 더 나아가 금리 추가 인하, 전매제한 완화, 생애 첫 주택 대상 확대 등 거래 불씨를 살릴 만한 대책들을 기대하는 눈치다. 파인브리지 인베스트먼트의 앤디 수엔 아시아 채권부문 대표는 “부동산 안정을 위해 가시적이고 시의적절한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하지만 ‘장기 침체’ 디플레이션 공포가 커지는 만큼 집값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게 냉정한 현실이다. 로이터통신이 중국 국가통계국의 70대 도시 집값 지수를 분석해 보니, 지난달 신규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중국 경제 성장세가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시장에서 힘을 받는 배경이다.
- SK에코·KIND 등 ‘팀 코리아’, 美 '6000억원' 태양광 사업 수주
-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공기업과 민간기업, 정책펀드 등으로 구성된 ‘팀 코리아’가 6000억원 규모의 미국 초대형 태양광 사업 개발 및 수주에 성공했다.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PIS펀드(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펀드), SK에코플랜트·현대건설·탑선은 EIP자산운용이 조성 예정인 미국 텍사스 콘초(Concho) 태양광 프로젝트 펀드 투자계약 및 사업권 인수계약(MIPA)을 지난 16일과 17일 각각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텍사스주 중부에 위치한 콘초 카운티 지역에 459MW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구축, 전력을 판매하는 사업이다. 여의도 면적 6배, 축구장 약 1653개에 해당하는 1173만5537㎡(약 355만평) 부지에 약 6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초대형 태양광 프로젝트다.발전소는 준공 이후 35년간 운영되며 매년 약 852GWh의 전력을 생산, 판매하게 된다. 월평균 300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 기준 약 24만 가구, 100만명에 육박하는 인원이 매년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생산된 전력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 등에 판매할 예정이다. 단순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생산과 기업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글로벌 캠페인 RE100 달성을 돕는 역할도 기대된다.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공공기관과 정책펀드, 국내 대·중소기업이 ‘팀 코리아’를 구성하고 사업 개발 단계부터 참여해 얻어낸 성과로 의미를 더했다. 신재생에너지 및 인프라 투자 전문 운용사인 EIP자산운용은 지난해 6월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 독점권을 확보한 이후 KIND 및 PIS펀드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 국내 에너지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이번 프로젝트를 본 궤도에 올렸다.SK에코플랜트는 약 6000억원 규모인 이번 태양광 프로젝트에 지분도 참여하며 사업의 핵심 플레이어 역할을 수행한다. SK에코플랜트가 확보한 태양광,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개발 역량과 제조, EPC(설계·조달·시공) 및 운영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한 그린수소 생산, 유통까지 에너지 사업 전반의 밸류체인이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텍사스 태양광 프로젝트의 EPC독점권도 확보했다.박희준 EIP자산운용 대표이사(오른쪽)와 미국 텍사스 콘초 태양광 개발사업자 하이로드에너지마케팅(High Road Energy Marketing)의 데릭 유진(Darrick Eugene) CEO(왼쪽), 크리스 컥시 (Chris Kirksey) 부사장(중앙)이 17일 온라인 화상시스템을 통해 미국 텍사스 콘초 태양광 사업권 인수계약(MIPA: Membership Interest Purchase Agreement)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KIND와 PIS펀드는 전방위 지원을 통해 사업개발 및 투자금 유치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국내기업의 해외투자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KIND는 사업개발단계부터 참여하며 민관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연결고리 역할로 힘을 보탰다. 긴밀한 소통으로 경쟁력 있는 팀 코리아를 구성하고, 투자를 기반으로 이번 사업 수주를 견인했다는 평가다. 투자자금 모집은 국내기업의 해외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국토부 산하 기관을 중심으로 결성된 정책펀드인 PIS펀드를 중심으로 진행됐다.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유일한 중소기업 탑선은 2008년 설립된 국내 대표 태양광 전문기업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현대건설과 함께 태양광 모듈 공급을 맡는다. 지난해 1월 150MW 규모로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단지인 신안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 데 이어 해외 모듈공급까지 사업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한편 미국 정부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투자 시 최대 40%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2%까지 확대하고 이 중 태양광 비중 47% 목표 등 달성을 위한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 예산으로만 3690억달러(약 481조5000억원)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책정했다.이강훈 KIND 사장은 “KIND는 미국 신재생 에너지 발전사업에 사업개발단계부터 참여함으로써 사업개발 역량과 트랙 레코드(Track Record)를 확보하고, 추가 ESG 사업 개발 및 투자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는 지난 5월 캐나다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이어 이번 텍사스 태양광 프로젝트까지 북미 초대형 에너지 프로젝트에 연속으로 참여하며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며 “명실상부한 에너지기업으로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RE100 달성 지원 등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동관 “단말기 가격 낮춰야, 합의제 장점 있어”…세지는 방통위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어제(18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통신정책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단말기 가격을 낮춰야 한다며 단통법 개선과 함께 요금과 단말기 가격 분리 고지 등을 검토하겠다고 했고, 국내 통신망에 무임승차하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빅테크에서 망사용료를 받는 것에 대해선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통신분야 정책 소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나뉜 부분에 대해선 “(과기정통부와)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면서도 “합의제 조직의 장점도 있다”고 밝혀, 내년 총선 이후 정부조직개편이 이뤄진다면 과기정통부에 있는 방송·통신 정책 기능 중 일부를 방통위로 가져오려할 가능성도 있다.요금·단말기 가격 분리고지 합리적이동관 후보자는 ‘상반기 가계통신비가 7.1%, 13만 원 올랐는데 이중 단말기 가격 인상률이 28.9%이고, 통신은 7.1%였다. 단말기 가격이 비싸다’는 박완주 의원(무소속)의원 질의에 “단말기 가격을 낮춰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 의원은 ‘모토로라, 노키아, 샤오미 등 외산 중저가 단말기를 국내 시장에 도입해 100만 원이 넘는 단말기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국내 단말기 가격을 보면, 국내 유통 단말기 중 100만 원이 넘는 제품이 57%, 22%가 저가형이라고 했다.이동관 후보자는 “(통신비와 단말기 가격이 통합 고지돼 100만 원이 넘는 단말기 가격에 착시 현상이 생긴다는 지적에 대해) 통신요금과 단말기 가격을 분리고지하는 건 합리적인 방안으로 생각된다. 검토하겠다”고 답했다.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간 진행 중인 망사용료 소송에 대해서는 “그건 정확히 안다”면서 “더 신중한 검토가 답인데, 방향은(유럽 등처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완주 의원(무소속)국내 OTT육성 의지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맞춰 방송통신발전기금과 정보통신진흥기금을 통합하는 것에 대해선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OTT규제와 관련해 저희 국내 기업들이 사실은 차별받는 측면이 있어 개선해야 한다고 본다. 미국과의 FTA 협상이나 지적재산권 문제가 있으니 공론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이동관 후보자는 앞서 방통위원장 지명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OTT가 나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이에 따라 콘텐츠 공동 수급 및 세제 지원, 규제 혁파, 티빙·웨이브 등 국내 사업자간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OTT 육성 정책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방통위 조직 장점도 있다”이 후보자는 5기 방통위에 대해 “특정 종편(TV조선)을 탈락시키려는 목적으로 점수를 조작한 것은 중대 범죄 행위”라면서도 “IPTV 규제 개선 등 좋은 일을 많이 했다”고도 언급했다.이동관 후보자는 지명 이후 청문회를 준비하면서 방통위 간부들을 만나 방통위 조직 위상을 높이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청문회에서도 조직 관련 언급이 나왔는데, 옛 정보통신부 차관 출신인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방통위가 방송법, 전기통신사업법을 통합할 미디어 통합법을 준비 중인데, 산업육성은 독임제(과기정통부, 문체부)가 중심이고 방통위는 신중한 의사결정을 하는 합의제 규제기관이어서 한계이지 않느냐”는 취지의 발언을 하자, 온도 차가 나는 답변을 했다.이 후보자는 “공약에도 들어 있지만 미디어 혁신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만들려고 했는데 잘 안됐고, 규제나 혁신 기관이 흩어져 있다보니 행정이 잘 안된다. 권한이 분산되고 따로 움직이는 건 글로벌 미디어 강국으로 가는데도 큰 걸림돌이 된다고 본다”고 답했다. 그는 “합의제 기구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나름의 장점이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공정위가 조사중인 통신분야 독과점 조사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단말기유통법에 따른 차별행위 금지와 관련된 것인데, 현재 이동통신 3사와 한국통신사업연합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등을 조사중이다.변 의원이 “사실 단통법에 따르면 지원금 과다 지급은 처벌받는데 이는 공정거래법으로 보면 담합행위”라면서 “경쟁과 담합 등 이런 부분에 대한 규제는 방통위가 해야 한다”고 언급하자, 이 후보자는 “적절한 경쟁 촉진이 병행돼야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담합의 부작용도 계산할 필요가 있다”면서 “(공정위와 방통위 중)어느 쪽이 주도한다기보단 법이 개정되기 전 서로 합의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만 답변했다.
- 하반기 주목 바이오주…북미 1위 제약사는 ‘이곳’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글로벌 증시에서 바이오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사 시가총액 기준 1위 제약사 일라이 릴리가 주목된다. 특히 올해 4분기쯤 비만치료제 터제파타이드와 알츠하이머 치매치료제 도나네맙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예상됨에 따라 향후 주가 상승이 전망됐다. 일라이 릴리 당뇨치료제.(사진=AFP)19일 유진투자증권 리포트(권해순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액 기준 글로벌 13위의 제약사이자 시가총액 1위인 일라이 릴리의 올해 2분기 실적에서 고성장을 기록했다. GLP-1, GIP dual agonist 기전의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의 매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저혈당 치료제 바크시미(Baqsimi, 코 분무 형태의 글루카곤 스프레이)의 매각에 따른 이익도 증가했다. 일라이 릴리의 2분기 매출액 9억7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023% 늘었다. 판매 수량 기준 29%의 매출 성장을 했다. 특히 신규 제품들의 판매 증가분의 40%를 기여했다. 영업이익률도 26%로 전년보다 7%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일라이 릴리는 신제품들의 매출 증가와 바크시미의 매각 이익을 반영해 연초 가이던스 매출액 303억~308억달러, 주당순이익(EPS) 7.65달러~7.85달러에서 매출액 334억~339억달러, EPS 9.2달러~9.4달러로 각각 10%, 20% 상향 조정했다. 특히 권 연구원은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에 주목했다. 지난해 2분기 판매 이후 올해 2분기에는 9.78억달러를 기록하며 출시 1년 만에 분기별 매출액 10억 달러의 블록버스터 약물로 등극했다. 일라이 릴리는 현재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를 비만 치료제로 임상 중이다.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 15mg)은 경쟁사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보다 체중 감량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회사 측은 해당 터제파타이드에 대해 하반기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하고, 연내 FDA 신약 신청 예정이다. 승인이 마치고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되면 2030년 기준 예상 매출액은 40억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일라이 릴리의 신약인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기대 신약 중 하나다. 일라이 릴리는 현재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을 억제하는 단일항체 치료제 도나네맙을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임상 3상 중간 결과를 지난 5월 발표한 이루 FDA 정식 승인 신청 진행 중이다. 이는 올해 연말이나 2024년 초에 신약으로 출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 연구원은 “경쟁사 에자이, 바이오젠의 레카네맙 대비 인지 저하 속도를 더 늦춘다는 임상 탑라인 결과가 발표되면서 주가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면서 “경쟁약 레카네맙처럼 ARIA 부작용으로 인해 투약 중 사망 환자가 3명 발생했고, 장기 투약에 따른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논란은 존재한다”고 전했다. 권 연구원은 “무엇보다도 고가 치료비에 대한 사회적 부담 증가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있어 승인을 받더라도 진단 및 처방이 활성화돼 시장이 형성되는데 최소 3년 이상이 소요될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라이 릴리가 향후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기업 인수를 진행한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앞서 일라이 릴리는 2023년 말까지 당뇨병 치료제의 생산능력을 2배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이후 1월 24일 4억5000만 달러 4월 17일에 인디애나에 신규 생산 시설 2개를 신설에 16억 달러를 투자를 발표했다. 또한 적극적인 기업 인수를 통해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 인터루킨 17(IL-17) 개발 기업인 다이스 테라퓨틱스를 24억 달러에 인수했고, ADC 연구개발 기업인 이머전스 테라퓨틱스(Emergence Therpeutics), 제1형 당뇨 세포치료제 시길론 테라퓨틱스(Sigilon Therapeutics)에 이어 신규 기전의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인 버사니스 바이오(Versanis Bio)도 인수했다.
- “은행금융지주, 비은행 자회사 경쟁력 확보 중요”
-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국내 은행금융지주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비은행 자회사의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은행이 금리의 영향을 받는 한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은행 부문에서 이를 보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은행금융지주 간 시장지위 차별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19일 한국신용평가가 발간한 은행금융지주 피어 리포트(Peer Report)에 따르면 은행금융지주의 사업다각화는 통상 증권, 캐피탈, 보험 순서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가 은행 부문과 함께 기업금융 등으로 시너지를 창출하기 수월하다는 이유에서다.캐피탈사도 증권사와 마찬가지로 기업금융으로 은행 부문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으나, 영업범위와 자금조달 수단이 상대적으로 열위하다. 보험사의 경우 소요자본 규모가 크고 지속적인 출자가 요구되기 때문에 대규모 자본 조달이 가능한 5대 은행금융지주를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한신평은 사업다각화 수준별로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매우 우수’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우수’ △우리금융지주,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양호’ 등의 순으로 평가했다. 은행 부문 순이익 의존도도 신한금융지주(63.8%)와 KB금융지주(64.2%)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전반적인 자산건전성 지표가 우수하지만, 금리인상과 물가 및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부터 자산건정성 지표가 저하되는 추세다. 은행 금융지주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0.44%에서 2022년 말 0.47%, 2023년 3월 말 0.55%로 하락했다.특히 DGB금융지주와 JB금융지주에서 2022년 이후 고정이하여신 증가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DGB금융지주의 경우 2023년 1분기 중 증가한 고정이하여신의 약 90%는 자회사인 하이투자증권 여신에 해당하며,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익스포져(위험 노출액) 부실 확대가 건전성 저하의 주된 원인이다. JB금융지주의 경우 전북은행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및 중저신용자 가계대출에서 부실 채권이 증가했다.한신평은 올해에는 은행금융지주들의 리스크 관리 능력과 비은행 자회사의 경쟁력이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주력 자회사인 은행으로부터의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사업다각화로 인한 안정적인 이익창출능력은 조달비용 하락, 자본비율 개선, 투자여력 상승의 선순환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김경근 한신평 연구원은 “지방은행 금융지주는 5대 금융지주 대비 자본비율이 열위하고 이중레버리지비율에 따른 투자여력도 현저히 낮아 성장 격차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그러면서 “5대 금융지주 내에서도 사업다각화 수준이 상이한 상황”이라며 “최근 부동산 PF 부실 확대 등에 따른 재무건전성 저하 우려 및 금리상승으로 인한 자본 조달비용 증가로 대규모 레버리지를 활용한 대형 금융사 인수부담도 과거 대비 높아졌다”고 덧붙였다.(자료=한국신용평가)
- ‘차세대 AI 리더’ 어도비, 내년부터 강력한 성장 전망 (영상)
-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포토샵 등으로 유명한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ADBE)에 대해 차세대 AI(인공지능)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미지 생성형 AI 기술이 접목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르면 내년부터 강력한 매출 성장이 이루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17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전문매체 CNBC와 배런스 등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브래드 실스 애널리스트는 어도비에 대한 투자의견을 종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 역시 575달러에서 630달러로 9.6% 높였다. AI 분야에서 최고의 소프트웨어 플레이어가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날 어도비 주가가 511.7달러에서 마감한 것을 고려할 때 23%의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한 셈이다. 앞서 지난달 31일에도 모건스탠리가 AI를 통해 강력한 제품 혁신이 예상된다며 어도비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높이고, 월가 최고 수준(660달러)의 목표가를 제시한 바 있다. 어도비는 1982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사진·동영상 등 미디어 관련 소프트웨어), 다큐먼트 클라우드(문서작업과 변환 지원 소프트웨어), 익스피어리언스 클라우드(고객관리, 데이터 분석 등 기업 비즈니스 지원 소프트웨어) 등 크게 3가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어도비는 최근 이미지 생성 AI인 파이어플라이를 공개한 후 주목받고 있다. 개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베타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하반기 기업용 서비스 출시를 예고하고 있어서다. 브래드 실스 애널리스트는 어도비가 이르면 내년부터 강력한 매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어도비는 앞서 가는 기업이며 차세대 AI 리더로 부상할 것”이라며 “내년부터 이미지 생성 AI 소프트웨어 ‘파이어플라이’가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브래드 실스는 파이어플라이의 수익 창출 모델을 구독 서비스, 크레딧 팩 판매, 글로벌 브랜드 기업들과의 협업 방식 등 3가지로 예상했다. 그는 “2024회계연도부터 AI 소프트웨어가 의미 있는 매출 성장과 잉여현금흐름 증가를 이끌 것”이라며 “크리에이티브, 익스피어리언스 클라우드 설치기반 중 18%에 침투될 경우 2024년에는 3억달러, 2026년에는 9억6000만달러의 추가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고 침투율을 33%로 가정하면 같은 기간 매출 성장 규모가 각각 10억달러, 29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어도비 비즈니스의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디자인 협업 툴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 인수를 꼽았다. 브래드 실스는 “어도비 확신대로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의 규제 기관이 이 M&A 거래를 승인할 것으로 본다”며 “혹 M&A가 불발되더라도 어도비는 협업 툴 기능을 유기적으로 계속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지난 8일 유럽연합 규제 당국은 어도비의 피그마 인수 추진과 관련해 심층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정 경쟁을 해치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얘기다. 이번 조사는 오는 12월1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어도비는 지난해 9월 피그마를 200억달러에 인수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어도비 주가는 올 들어 52% 급등한 가운데 지난 6월부터 월가의 목표가 상향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어도비에 대해 ‘중립’ 입장을 고수하던 애널리스트들이 ‘매수’ 의견으로 돌아서는 모습이 상당수 관찰되고 있다. 어도비에 대한 월가의 매수의견 비중은 3개월 전 52.8%에서 이달 초 56.8%, 현재 59.5%로 상승했다. 37명 중 22명이 매수(비중확대 및 시장수익률 확대 등 포함)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것. 평균 목표주가도 이달 초 556.6달러에서 현재 559.43달러로 높아졌다. 이날 종가대비 9.3% 높은 수준이다. ※ 네이버 기자구독을 하시면 흥미롭고 재미있는 미국 종목 이야기를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든 국내 주식이든 변동엔 이유가 있습니다. 자연히 모든 투자에도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를 찾아가는 길을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이데일리 유재희 기자가 서학 개미들의 길잡이가 되겠습니다. 매주 월~금 오전 7시30분 유튜브 라이브로 찾아가는 이유 누나의 ‘이유TV’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포스코퓨처엠, 친환경 신 제련기술 활용 필리핀서 니켈 생산 추진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친환경 신(新) 제련기술을 활용해 필리핀에서 배터리용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니켈 생산에 나선다.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왼쪽)과 마이클 첸 MC그룹 회장이 필리핀 니켈 합작사업 MOA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제공포스코퓨처엠은 17일 필리핀 광산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MC그룹(MICHAEL CHEN GROUP)의 니켈 전문 자회사 NPSI(Nickel Prime Solutions Inc)와 합작사업 MOA(합의각서)를 체결했다. 포스코센터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포스코퓨처엠 김준형 사장과 정대헌 에너지소재사업부장, MC그룹 마이클 첸(Michael Chen) 회장 등이 참석했다.협약에 따라 포스코퓨처엠과 NPSI사는 니켈 사업을 위한 합작사(JV)를 필리핀 현지에 설립하고, 포스코퓨처엠과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가 공동개발 중인 신 제련기술을 활용해 니켈 혼합물(MHP) 생산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포스코퓨처엠이 해외에서 배터리소재 원료 직접 생산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니켈 혼합물(MHP : Mixed Hydroxide Precipitate)은 니켈광석(니켈함량 약 1%)의 불순물 제거 공정을 거쳐 생산하는 중간재로, 양극재용 고순도 황산니켈 생산 원료로 활용된다. 니켈은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사용 비중이 높을 수록 배터리 저장용량을 높일 수 있다. 전기차 주행거리 증대를 위해 중요한 광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수요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포스코퓨처엠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글로벌 니켈 생산량 2위 국가인 필리핀에 생산체제를 구축해 안정적인 양극재 원료 공급망 확보와 함께 사업 수익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글로벌 니켈 생산량은 인도네시아 160만톤, 필리핀 33만톤, 러시아 22만톤, 뉴칼레도니아 19만톤 순이다.포스코퓨처엠은 “이번 합작 사업에 사용하게 될 신 제련기술은 현재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제련기술에 비해 공정 프로세스가 단축돼 원가경쟁력이 높고, 탄소배출량이 약 50% 이상 줄어드는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ESG 차원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전했다.또 “필리핀에서 생산한 니켈 혼합물(MHP)로 국내에서 양극재를 제조하면,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규정한 ‘적격 핵심 광물(Qualifying Critical Minerals)’요건을 충족할 수 있어 북미 시장으로의 공급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2030년까지 연 100만톤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갖출 계획인 포스코퓨처엠은 양극재 핵심 원료 중 그룹 차원의 투자로 밸류체인을 구축한 리튬 외에 니켈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서도 지속 노력해 왔다. 이번 합작 공장도 필리핀 팔라완 지역에 약 4000만 톤의 광석이 매장된 광산을 보유한 MC그룹에서 니켈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MC그룹은 현지 광산에 대한 추가 지분 투자와 인수를 통해 2026년까지 약 2억 톤의 니켈 광석을 확보하고, 포스코퓨처엠과의 원료 분야 협력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빅파마 손잡은 바이오다인, ‘생산거점’ 태국공장 불발…향후 계획은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체외진단전문기업 바이오다인(314930)이 태국에 생산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철회하고 다른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오다인은 지난 2019년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 암 조기진단 액상세포검사(LBC) 기술에 대한 독점계약을 맺었고 이를 위한 생산거점으로 태국을 낙점해 관련 계획을 추진해오고 있었다. 다만 태국 생산공장 설립 철회에도 계획된 글로벌 판매에는 지장이 없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태국서 생산 안 한다…“기존 빅파마 공급계약엔 이상無”11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다인은 2020년 실사까지 마친 태국 생산공장 건립계획을 백지화했다. 태국 생산공장 건립은 지난 2019년 바이오다인이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 독점계약을 맺으면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추진해온 사안이다. 이를 위해 약 2000평 규모, 400만개 시약 생산이 가능한 부지매입을 위한 실사를 진행했고 2021년에는 그해 연말 착공에 나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코스닥 상장 당시 상장자금도 거점 공장 건립 및 운영자금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하지만 태국 현지 최종부지선정 및 가계약 진행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연되다 지난해 결국 관련 계획이 철회됐다. 실제로 그전까지 언급되던 태국 생산기지 관련 내용은 지난 3월 공시된 2022년 사업보고서부터는 기재되지 않고 있다.바이오다인 관계자는 “태국에 공장을 짓지 않기로 한 것은 맞다”며 “실사는 마쳤지만 실제 착공에 들어가지 않았다. 태국 생산공장 건설 철회 이유나 이후 계획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의 기존 계약에서 특허기술을 토대로 제품화함으로써 글로벌 판매를 하는 데는 문제가 없도록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20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다인은 1999년 설립됐고 2009년 임욱빈 대표가 인수하면서 지금과 같은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지난 2019년 2월 글로벌 10위권 체외진단기기 회사와 암 조기진단 LBC 기술에 대해 20년 독점 장기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이 계약에 대해 회사측은 거래상대방, 거래 규모, 거래 구조 등에 대해 한국거래소에 공시유보를 신청했다. 계약상대방은 면역진단 및 분자진단 분야에서 최상위 수준에 속하는 다국적 제약사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한때 계약상대방이 기존에 바이오다인과 계약관계가 있는 로슈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바이오다인이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로 칭하는 이 회사는 바이오다인의 특허기술을 적용한 장비를 생산하고 글로벌 시장에 판매하기로 했지만 아직 관련 매출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다. 2019년 계약 당시에는 올해부터 이 계약으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코로나19 팬데믹 탓에 글로벌 시장 판매가 늦어졌다는 설명이다.회사 관계자는 “지난 2~3년간 세계 진단시장의 역량이 모두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몰리면서 자궁경부암 진단 사업은 진행속도가 더뎠다”며 “하지만 지난해 마일스톤을 수령하는 등 기존계약은 문제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4분기 바이오다인은 약 77억원을 마일스톤으로 수령, 매출로 인식하면서 흑자전환을 했다.◇신규거래처 없어도 1년간 주가 200% 이상↑2019년 41억원 수준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로부터 마일스톤을 수령하기 전까지만 해도 40억원 안팎을 오가는 수준에 그쳤다. 이는 ‘독점’판매 조항 탓에 신규 거래처를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보고서에도 “당사는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 계약을 체결하기 이전인 2017년 말부터 효과적인 협업을 위해 영업 관련 계약을 체결해 기존 거래처 외 신규영업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명시돼 있다.바이오다인 1년간 주가 추이(자료=네이버 금융)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의 독점판매 거래 이후 별다른 추가계약이 없었음에도 바이오다인의 주가는 지난 1년간 206% 올랐다(2022년 8월11일 2만7700원→2023년 8월11일 5만7100원). 2019년 계약의 기대감은 물론, 자궁경부암 진단시장의 성장성, 기술의 혁신성 때문이다.바이오다인은 자궁경부암 LBC에 주력하고 있으며 2013년 자체 개발한 ‘블로윙’ 기술이 핵심역량이다. 블로윙은 공기압을 이용해 세포를 슬라이드에 밀착시키는 기술이다. 물리적인 압력을 사용하지 않아 기존 방식인 침전식과 필터식에 비해 세포 보존상태가 우수하고 세포가 고르게 분포돼 중첩도 최소화된다.자궁경부암 LBC 시장은 미국의 홀로직, 벡톤 디킨슨이 각각 필터식 ‘씬프렙’(ThinPrep), 침전식 ‘BD슈어패스’(BD SurePath) 제품을 선보인 이후 사실상 홀로직이 독점하다시피 해왔다. 하지만 약 30년 만에 바이오다인이 필터식과 침전식의 단점을 개선한 제3의 블로윙 기술을 개발해 아시아와 유럽은 물론 가장 까다로운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에서도 특허를 받으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아왔다.바이오다인에 따르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 △음성예측률로 구성되는 정확도가 기존 필터식 제품대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필터식 제품의 민감도는 50%에 불과하지만 바이오다인의 ‘패스플로러’ 민감도는 73.1%이고, 음성예측률도 90.9%로 기존 제품(83.3%) 대비 높다. 특이도와 양성예측률은 기존제품과 동등한 수준이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모도 인텔리전스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자궁경부암 진단시장은 2019년 80억 달러(약 9조5000억원) 규모였고 2025년까지 110억 달러(약 13조원)로 시장 성장이 예상됐다. 자궁경부암 진단시장은 LBC 검사는 물론 분자진단, 면역진단 등으로 나뉘어 있는데 LBC 검사의 비중이 절반을 차지한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진단방식을 병행하는 경향이 있다.2030년까지 세계보건기구(WHO)가 유럽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53개 회원국에 자궁경부암 퇴치 로드맵 승인을 촉구하는 등 자궁경부암에 대한 예방 및 조기진단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업계에서는 70~80% 이상의 시장 성장폭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회사 관계자는 “회사 내부적으로도 (글로벌 바이오테크컴퍼니와의) 계약이 실현됐을 때의 성장세, 수익성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